"개미" 주제의 글
-
2022년 5월 11일. [필진 칼럼] 진화생물학자 E.O. 윌슨 타계
‘현대의 다윈’이라고 불리던 진화생물학자 E.O. 윌슨이 지난 12월 26일 92세를 일기로 타계했습니다. 국내 언론에서도 부고 기사를 찾아볼 수 있었지만, 오늘은 윌슨 교수와 지난해 11월 진행한 인터뷰 내용을 추려 다시 올린 복스의 기사를 요약해 소개합니다. 뉴욕타임스 과학 칼럼니스트 칼 짐머가 쓴 부고 기사도 참고했습니다. 고 윌슨 교수는 실로 많은 업적을 남겼지만, 그 가운데 ‘종 다양성(biodiversity)’이란 말을 고안해 주창한 것으로 가장 유명할 겁니다. 인간 외의 다른 생물을 관찰하고 연구하는 것이 그저 돈 더 보기 -
2016년 8월 3일. 공룡의 시대가 끝나자 농사 짓는 개미의 시대가 왔습니다
공룡이 멸종하고 얼마 되지 않아 개미는 농사 짓는 방법을 알아냈습니다. 잎꾼개미와 균류 작물 간의 상호주의는 그 효율성 면에서 인간의 농업을 뛰어넘는 대규모 농업으로 귀결되었습니다. 더 보기 -
2016년 7월 26일. 에드워드 윌슨의 새 책 “인간 존재의 의미”
최고의 자연과학자들이란 우리에게 놀라움을 안겨주지 않을 때는 반대로 우리 인간이 얼마나 작고 무의미한 존재인지를 계속 상기시키는 이들입니다. 스티븐 호킹은 인류를 “가장 평범한 별의 한 작은 행성에 사는 원숭이 중에 조금 발달한 종에 불과하다.”고 말했습니다. 생물학자이자 자연주의자인 에드워드 O. 윌슨은 겸손한 제목을 붙인 그의 새 책 “인간 존재의 의미(The Meaning of Human Existence)”에서 우리의 작은 별에 대한 새로운 비유를 제시합니다. “이렇게 비유해 보지요.” 그는 말합니다. “지구는 우주의 관점에서 볼 때, 마치 더 보기 -
2016년 6월 9일. 개미의 초기 진화에 실마리를 던져주는 백악기 화석이 새로 발견되었습니다
중국의 연구자들이 기묘한 개미인 케라토미르멕스 엘렌베르게리(Ceratomyrmex ellenbergeri) 를 보고했습니다. 이 개미는 버마에서 발견된 9천9백만 년 전의 호박 안에 화석화되어 있었으며 머리에 눈에 띄게 큰 뿔, 그리고 머리 위쪽으로 높게 솟아 있는 큰 낫처럼 생긴 주둥이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구조들은 아마도 커다란 몸집을 가진 먹잇감을 잡는 데 쓰이는 고도로 특수화된 덫으로 기능했던 것으로 보입니다. 개미의 머리에 있는 뿔은 두순(clypeus) 이 극단적으로 변형된 것으로 현생, 혹은 화석 개미들 중 어떤 종류에서도 발견된 적이 없습니다. 이 뿔의 존재는 줄기군 개미류의 초기에 과장된 올가미턱 모양이 만들어졌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더 보기 -
2015년 7월 7일. ‘게으른 일개미’들은 왜 아무 것도 안 하는 걸까?
대부분의 개미 군집에서 아무 것도 안 하고 가만히 있는 개미들이 전체 일개미의 절반 가까이 차지한다는 것이 관찰을 통해 확인됐습니다. 아직 이 개미들이 정말 아무 것도 안 하고 그냥 쉬는 건지, 아니면 어떤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움직일 필요가 없어서 게으른 것처럼 보이는 것인지 우리는 모릅니다. 한편 이 개미들이 일종의 경비병, 혹은 예비군으로 다른 군집과 전투를 벌이거나 외부 침입자로부터 군집을 지켜야 할 때 투입된다는 주장도 있습니다. 더 보기 -
2014년 8월 11일. 동물은 어떻게 병의 전염을 막을까요?
동물들은 진화를 통해 병이 옮는 것을 막는 법을 터득해왔습니다. 인류가 병에 대한 치료법을 개발하기 훨씬 전부터 지금까지 이어진 동물과 기생충의 생사를 건 싸움의 역사를 BBC가 소개합니다. 더 보기 -
2012년 10월 9일. 우리의 행동을 제어하는 것은 무엇인가
일반적인 기생충은 숙주의 양분을 섭취하여 생존을 유지하고 번식합니다. 그러나 어떤 기생충은 숙주의 행동을 조절하기도 합니다. 어떤 촌충에 감염된 쥐는 살이 찌고 행동이 둔하여집니다. 이런 쥐는 여우에게 잡혀먹히기 쉽고 촌충은 여우의 몸을 다음 단계의 숙주로 이용합니다. 베르나르 베르베르의 소설 “개미”를 통해 잘 알려진 창형흡충은 개미를 감염시킨 후 개미의 뇌로 이동해 개미의 행동을 조절합니다. 이 개미는 풀잎의 끝에 자리 잡고 양에게 먹힐 때까지 기다립니다. 그리고 기생충은 양의 배설물에 섞여 달팽이의 몸으로 이동하고 달팽이는 다시 유충을 배설하고 이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