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슬람" 주제의 글
  • 2013년 1월 15일. 이슬람 사원의 변신은 무죄?

    이슬람교의 성전인 모스크 하면 대부분 둥근 아치형 돔과 네 귀퉁이의 탑, 가운데에 뾰족하게 솟아오른 첨탑 등 비교적 획일적인 이미지를 떠올리는 사람이 많을 것입니다. 하지만 꾸란과 율법에는 성전의 모양에 관해 아무런 구체적인 가이드라인이 없습니다. 건물이 반드시 메카를 향하고 있어야 하고, “적들의 침입으로부터 보호 받아야 한다”고만 되어 있습니다. 이처럼 형식에 구속 받을 필요가 없다는 점에 착안해 유럽과 미국, 호주 등 이슬람교도가 소수인 지역의 도시들을 중심으로 실험적인 건축이 잇따라 시도되고 있습니다. 독일 뫼르스의 라인강변에 자리 더 보기

  • 2012년 10월 17일. 탈레반, “유사프자니는 죽어야 마땅”

    탈레반이 집권한 뒤 문을 닫아버린 학교에 다시 다니고 싶다는 연설을 해 많은 지지를 받아 온 14살 소녀가 탈레반 저격수가 쏜 총에 맞아 사경을 헤매자, 파키스탄에서 극단주의를 배격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졌습니다. 하지만 탈레반은 여전히 떳떳했습니다. 성명을 통해 “이슬람을 모독하는 자는 누구든 죽음으로 응징해야 한다고 꾸란에도 써 있다. 유사프자니는 신과 탈레반을 모독하고 이슬람의 영원한 적인 오바마를 찬양했다. 유사프자니를 총으로 쏜 건 신의 뜻”이라고 주장했습니다. 파키스탄 의료진은 유사프자니가 총에 맞은 뒤 3시간에 걸친 수술 더 보기

  • 2012년 10월 11일. 팀북투 고문서들도 훼손 위기

    아프리카 서남부 말리의 북부도시 팀북투는 15~16세기 무역과 학문, 예술이 번창했던 유서 깊은 도시입니다. 그런데 얼마 전 이곳을 장악한 근본주의 이슬람 반군단체가 팀북투의 유적들을 파괴하고 있습니다. 가장 먼저 희생양이 된 건 이슬람 학자들의 무덤과 사원입니다. 유네스코가 세계문화유산에 등재했지만 반군단체 ‘안사르 딘’은 우상 숭배는 신의 뜻에 어긋난다며 유적들을 파괴해 왔습니다. 팀북투의 유산은 건축물들만이 아닙니다. 이슬람과 철학, 수학, 천문학 등 종교와 학문에 관련된 소중한 고문서들이 팀북투 곳곳에 보관돼 있습니다. 말리 정부는 반군이 이 더 보기

  • 2012년 9월 28일. 무슬림 여성의 성지순례, 사우디vs나이지리아 외교 신경전

    1억 6천 만 나이지리아 인구의 절반 가량이 무슬림입니다. 나이지리아는 아프리카 대륙에서 가장 많은 이슬람교도가 사는 나라입니다. 이슬람교 신자들이 평생 지켜야 할 계율 가운데 하나가 사우디아라비아에 있는 성지 메카로 순례를 떠나는 일이죠. 그런데 최근 사우디아라비아 정부가 순례를 위해 메카를 찾은 나이지리아 무슬림 여성 241명을 강제 추방했습니다. 또 1천여 명의 여성이 순례는 커녕 메디나의 한 수용소에 갇혀 있는 상황입니다. 모든 여성은 반드시 남성 보호자의 동행 하에 성지순례를 해야 한다는 법을 어겼다는 게 이유입니다. 더 보기

  • 2012년 9월 26일. 마약밀수 주요루트가 된 서아프리카

    지난 2009년 서아프리카 말리의 북서부 사막에서 고장난 보잉 727 비행기 한 대가 발견됐습니다. 베네수엘라발 이 비행기에는 코카인이 가득 들어 있었습니다. 2010년에는 감비아에서 유럽으로 가던 마약 2톤이 적발됐고, 나이지리아 정부는 최근 대형 필로폰 생산공장을 찾아내 폐쇄시켰습니다. 정정 불안과 국제사회의 무관심 속에 서아프리카 지역이 마약 허브로 변질되고 있습니다. 변변한 검색대 하나 없는 이 지역 공항들은 비행기에 마약을 잔뜩 실어나르기 용이하고, 치안이 허술한 틈을 타 아예 대규모 차량수송도 빈번히 이뤄집니다. 예전에는 라틴아메리카에서 생산한 마약을 더 보기

  • 2012년 9월 14일. ‘이슬람 모독’ 동영상을 둘러싼 미스테리

    리비아 주재 미국 대사의 목숨을 앗아간 로켓포 공격에 이어 예맨에서도 격렬한 반미 시위가 일어났습니다. 반미 정서에 불을 붙인 건 유튜브에 올라온 ‘이슬람의 무지’라는 제목의 13분 짜리 편집본 동영상이었습니다. 이슬람교의 예언자 무하마드를 사생아에 성추행범으로 비하해 묘사한 동영상을 지난 7월 처음 올린 건 샘 바실이라는 유대계 미국인이었습니다. 화면 곳곳에 여러 작품들을 대충 짜깁기한 흔적이 남아 있는 동영상을 둘러싼 의문이 증폭되고 있습니다. 우선 샘 바실은 실존인물이 아니었습니다. 미국과 이스라엘 정부 모두로부터 “그런 사람은 없다”는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