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진 칼럼] 이란 여성들은 반정부 시위에서 왜 히잡을 불태웠나
2022년 11월 30일  |  By:   |  네이버 프리미엄 콘텐츠  |  No Comment

히잡을 바로 쓰지 않았다는 이유로 이란 도덕 경찰에 붙잡혀 살해된 여성 마사 아마니의 죽음으로 반정부 시위가 빠르게 번지던 지난 9월 26일 네이버 프리미엄 콘텐츠에 쓴 글입니다.

 

한 여대생의 죽음으로 인해 촉발된 이란의 반정부 시위 사태가 심상치 않습니다. 이른바 “도덕 경찰”이 히잡을 헐렁하게 썼다는 이유로 22세 대학생 마사 아미니를 때려 숨지게 했고, 이에 반발한 시민들이 히잡을 불태우고 머리를 자르며 항의에 나선 것입니다. 시위는 수도 테헤란을 포함, 전국 각지로 퍼져나가고 있고, 당국은 총과 물대포를 앞세운 무자비한 진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시위대와 당국의 충돌로 사망한 사람이 정부 발표로만 지난 22일 기준 17명에 달합니다.

물론 마사 아미니의 죽음은 하나의 도화선일 뿐, 이처럼 시위가 폭발적으로 번지는 데는 복잡한 배경이 있습니다. 경제 제재 속에서 날로 악화되는 경제 상황과 치솟는 물가 등 이란 시민들을 괴롭혀온 것은 비단 여성에 대한 복장 강요뿐이 아닙니다. 이란의 최고지도자 아야톨라 알리 하메이니는 개혁주의자와 세속주의자들을 탄압하면서 점점 더 종교적인 색채를 더해왔습니다. “도덕 경찰”의 히잡 단속은 그러한 사회 분위기의 일환이죠.

워싱턴포스트는 이번 시위의 원인을 크게 4가지로 정리했습니다. 날로 강도를 더해가는 정부의 압제, 대표 선출에 있어 줄어드는 선택지, 만연한 부패, 그리고 기본적인 복지 약화가 그 원인입니다. 이란 정부는 정부에 반기를 드는 활동가, 학생, 언론인을 폭력적으로 제압해왔을 뿐 아니라, 형식적으로나마 강경파와 개혁파 사이의 경쟁이었던 선거 제도를 개악하여 2019년부터는 강경파만 공직 선거에 출마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그 와중에도 고위층의 부패, 특히 처벌받지 않는 부패는 국민의 분노를 샀고, 기본적인 공공 서비스의 약화는 삶의 질 저하로 이어졌습니다.

워싱턴포스트는 또 이번 시위가 과거의 시위와 다른 점도 4가지로 정리합니다. 첫째, 여성들이 창의적인 방식으로 시위를 주도하고 있고, 둘째, 운동선수, 예술가, 기업인 등 유명인들이 지지를 보내고 있으며, 셋째, 일반 시민들이 자신이 직접적으로 타격을 입는 경제 사안이 아니라 여성의 권리문제로 촉발된 시위에 참여하고 있고, 넷째, 평소에는 뜻을 달리하던 다양한 집단이 이번 시위를 계기로 한데 뭉치고 있다는 것입니다.

물론 이란 당국의 대응도 진화하고 있습니다. 여성의 복장을 단속한 것은 1979년 이슬람 혁명 때부터지만, 이제는 얼굴인식 소프트웨어를 활용해 지하철에서 복장이 불량한 여성을 적발하려는 계획을 세우고 있고, 택시 앱에도 복장이 부적절한 여성 승객을 신고하는 기능을 추가했습니다. 물론 여성들도 기술로 맞서 “도덕 경찰”의 위치를 공유하는 앱을 활용하고 있지만요.

뉴스페퍼민트도 무슬림 여성의 복장 문제에 대한 글을 여러 차례 소개한 바 있습니다. 다만, 종교의 이름으로 여성의 복장을 단속하는 것이 인권 침해라는 것은 너무나도 자명하고, “여성에게 히잡을 강요해서는 안 된다”가 새삼스레 소개할만한 주장은 아니라고 판단했기 때문에 전혀 다른 이야기를 하는 서구권 무슬림 여성들의 이야기를 다뤘죠. 실제로 2010년대 중반, 유럽에서는 프랑스를 중심으로 종교를 드러내는 복장을 금지하는 조치들이 도입됐고, 국가 안보, 공공 질서, 여성의 권리 등 거창한 명분을 내세웠지만, 그 배경에 특정 종교나 이민자를 겨냥한 혐오가 없다고 단정 짓기 어려워 보였기 때문입니다.

2017년에는 알제리계 영국인 저널리스트 이만 암라니가 가디언에 기고한 칼럼을 소개했는데, 유럽사법재판소가 직장 내 히잡 착용 금지를 허용하는 판결을 했을 때였습니다. 암라니는 히잡이 착용자의 삶의 방식에서 핵심적인 부분이고 스스로 선택한 종교적 생활 방식이라며, 직장 내 히잡 착용 금지는 무슬림 여성들의 사회 진출 금지나 다름없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는 세속화된 사회에 살기를 원하고 법과 정의가 종교적 영향력으로부터 자유로워져야 한다고 믿지만, 여성의 머리에 쓴 스카프가 보기 싫다고 느끼는 불관용에는 굴복할 수 없다고 썼습니다.

또한, 히잡 벗기를 강요하는 것이 히잡을 강요하는 것만큼이나 여성을 통제하는 데 악용된 역사가 길다는 점도 지적했죠. 무슬림이 종교적 소수자, 이민자로 차별받는 맥락에서는 당연히 이러한 지적이 일리가 있습니다. 히잡을 쓰지 않을 자유를 누리기는커녕, 당장 히잡을 제대로 쓰지 않는다는 이유로 목숨을 위협받고 있는 이란 내 여성들에게는 딴 세상 이야기로 들릴 수밖에 없죠. 하지만 동시에 두 입장이 충돌하거나 서로를 배제하는 것은 아닐 겁니다. 이민자로서 히잡 쓸 권리를 주장하는 사람이라면, 현재 이란 여성들의 고통에 이입하고 시위를 지지할 가능성이 훨씬 높을 것입니다. 이번 시위가 이란에 실질적인 변화를 불러올지, 국제사회가 지속적인 관심의 눈으로 지켜봐야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