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울 실험과 동물의 마음(1/2)
지난 1월, 가디언의 한 편집자는 대머리 독수리가 자신의 모습이 비친 물을 바라보는 사진을 두고 이런 트윗을 올렸습니다. “독수리가 자신의 모습을 바라보는 이 사진이 최근 뉴스란을 채우고 있는 내용들에 대한 비유는 아닐 것이다.” (역주: 독수리는 미국의 상징입니다.)
이 사진은 모두 62,000 번 리트윗 되었습니다.
그리고 곧바로 애틀랜틱의 내 동료는 이렇게 물었습니다. “독수리가 자기 모습을 알아볼만한 지능이 있을까?”
글쎄요.
1838년 3월, 젊은 무명의 생물학자 찰스 다윈 역시 같은 의문을 가졌습니다. 런던 동물원을 방문한 그는 우리에 갇힌 제니라는 오랑우탄이 거울을 가지고 노는 것을 보고 놀랐습니다. 그는 제니가 거울을 보고 “소스라치게 놀랐다”고 기록했습니다. 제니는 거울을 검사하고, 거울에 키스했으며, 거울에 얼굴을 대고, 거울에 다가가면서 몸을 숙였습니다. 제니는 거울 속에서 무엇을 본 걸까요? 그게 자기 자신이라는 것을 알아챈걸까요? 그리고 아마 가장 중요한 질문은, 어떻게 해야 이 질문들에 대한 답을 우리가 알 수 있을 것인가일 것입니다.
100년 뒤, 심리학자 고든 갤럽 주니어는 이 마지막 질문에 대한 한 가지 방법을 발견했습니다. 1970년 그는 거울에 익숙한 네 마리 침팬지를 구해, 이들을 마취했습니다. 그들이 마취된 사이 그는 침팬지의 눈썹을 붉게 염색했습니다. 정신이 돌아온 침팬지가 다시 거울을 보게 되었을때, 이들은 인간이 그런 상황에서 할법한 행동을 그대로 했습니다. 바로, 거울을 본 뒤 자신의 눈썹을 만진 것입니다. 그러나 침팬지와 달리 원숭이들은 자기 얼굴의 붉은 표시에 손을 대지 않았습니다. 갤럽은 침팬지는 자신을 알아보지만 원숭이는 알아보지 못한다고 결론을 내렸습니다.
그는 이렇게 썼습니다. “자신의 모습을 인식하는 것은 보다 고등한 지능을 필요로 하는 것처럼 보인다… 특히, 거울 속 자신의 모습을 인식하는 것이 자아라는 개념과 관계 있다는 점에서 이번 실험은 유인원에게서 자아 개념을 발견한 최초의 실험이 될 것이다.”
갤럽의 거울 실험은 동물의 지능을 연구하는 가장 유명하면서도 논쟁적인 방법입니다. 이 실험은 수십 종류의 동물들에게 똑같은 방법으로 이루어졌습니다. 동물이 거울이 아닌 자기 몸의 해당 부분을 건드릴 경우, 그리고 그 영역을 평소보다 더 자주 만질 경우 사람들은 그 동물이 거울 속 자신을 인식한다고 결론을 내렸습니다. 최소한 이런 행동은 자아를 인식한다는 신호일 수 있습니다. 곧 그 동물이 자신의 몸에 대한 개념을 가지고 있음을 암시합니다. 어쩌면 갤럽이 반복해서 주장한 것처럼, 이 실험은 자기 자각(self-awareness)을 검사할 수 있는 실험일지 모릅니다.
어떤 동물들은 일관적인 결과를 보여주지 못했습니다. 침팬지와 오랑우탄은 대부분 분명하게 실험을 통과했지만, 항상 그런 것은 아니었습니다. 해피라는 아시아코끼리는 2006년 아주 커다란 거울을 빤히 쳐다본 후, 자신의 머리와 몸통의 표지를 확인했습니다. 하지만 다른 두 코끼리는 그러지 못했습니다.
범고래와 큰돌고래 역시 실험을 통과한 것으로 결론내려졌습니다. 이들은 원숭이나 코끼리처럼 사지를 자유롭게 움직일 수 없지만, 자기 몸의 표지를 확인하기위해 특별하게 몸을 꼬고 늘였습니다. 사육된 가오리 두 마리 역시 비슷한 행동을 보였지만, 다른 관련 연구들과 마찬가지로 이들의 행동을 분명하게 해석하는 것은 쉽지 않았습니다.
사실 거울 실험을 통과하지 못한 동물들, 그러니까 거의 대부분의 동물들의 경우에 이들의 행동을 해석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습니다. 판다와 개도 거울 실험을 통과하지 못했고 바다사자 역시 실패했습니다. 이들은 거울속 자신을 무시하거나, 싸우거나, 같이 놀기를 원했으며 그 모습이 자기 자신이라는 사실을 이해하지 못했습니다. 고릴라는 실험에 따라 다른 모습을 보였습니다. 수십 년 동안, 고릴라는 거울 속 자신을 인식하지 못하는 유일한 유인원으로 여겨졌지만, 그 후 인간과 긴 시간을 지낸 몇 몇 고릴라가 거울 실험을 통과했습니다.
갤럽의 최초 실험 이후 수십 년 동안, 원숭이의 성적 역시 좋지 않았습니다. (마크 하우저의 원숭이 사기사건도 이와 관련된 것입니다.) 그러나 2010년 위스콘신 매디슨 대학의 아비게일 라잘라는 다른 실험 때문에 뇌에 이식물을 심은 실험실의 원숭이가 거울 속 자신을 보고 자기 머리를 확인한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거울실험에 실패했던 다른 원숭이들과 달리 이 원숭이는 분명 자기 머리 위 물건을 확인했습니다. 이들은 이후 자기가 보지 못했던 성기를 거울을 통해 확인하는 행동까지 보였습니다. “우리는 이들이 자신을 자각한다고 객관적으로 주장할 수는 없지만, 이들이 보이는 여러 행동이 그럴 가능성을 암시합니다”라고 라잘라와 그녀의 동료들은 기록했습니다.
갤럽은 동의하지 않았습니다. 그는 원숭이가 거울 실험을 통과하지 못할 때에도 눈에 보이지않는 물건을 찾는데 거울을 이용한다고 말했습니다. 곧, 자신을 자각하지는 못하지만, 거울이 빛을 반사한다는 사실은 안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거울 속 자기 머리위 물건을 만진것은 자기가 느끼지만 보지못하는 위치의 이상한 물건을 만진 것일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이제 거울 실험을 해석하는 것은 더욱 어려워졌습니다.
(애틀랜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