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고양이는 쌀쌀맞을까요
2014년 12월 12일  |  By:   |  문화  |  2 Comments

강아지 애호가의 눈으로 보면 왜 고양이가 그토록 인기있는 애완동물인지 이해할 수 없습니다. 고양이는 수동적이면서도 공격적이고 (passive-aggressive), 감정 소통이 어려운데다 쌀쌀맞게 독립적입니다. 이런 성질 때문에 고양이는 기껏해야 “사람의 최고의 친구이자 적”이라고 불립니다.

고양이와 사람 사이에 놓인 이런 긴장관계에는 진화론적 이유가 있습니다. 고양이가 아직 완전히 길들지 않았다는 겁니다.

“강아지와 달리, 고양이는 절반만 길들었습니다 “라고 워싱턴 대학 유전학 교수 웨스 워런은 말합니다.

워런 연구팀은 집고양이와 야생고양이의 DNA를 비교한 결과, 둘의 유전자가 갈라지는 지점은 털의 패턴과 온순한 성격 등과 관련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여기서 성격 유전자는 보상을 원하거나 공포에 반응하는 등의 행동에 영향을 끼칩니다.

이 유전자 차이로 통해 알수 있는 사실이 있습니다. 집고양이의 유전자 변화는 인류가 농경을 시작한 9천년 전부터 시작됐습니다. 추수기에 몰려오는 쥐떼를 막기 위해, 인류는 야생고양이를 길들이기 시작했습니다. 고양이가 쥐의 번식을 억제하기 때문에, 인류는 고양이에게 먹다남은 음식을 보상으로 주면서 곁에 머물도록 유도했습니다. 결국 고양이는 인간과 같이 살게 됐습니다.

연구진은 “성격이 온순한 고양이들이 자연 선택되는 현상은 처음 길든 고양이의 유전자를 변형시킨 가장 강력한 힘이 되었을 것이다”라고 설명합니다. 다시 말하자면, 인간 주변에 머물게 된 고양이는 성격이 온순해 인간과 교류하기 쉬운 그런 유전자를 가진 고양이였고, 그래서 온순한 성질은 전 세계 집고양이 사이에 널리 퍼지게 됐을 것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흥미있는 사실은, 9천년이 지난 지금도 집고양이가 여전히 야생성을 가지고 있다는 점입니다. 집고양이는 여전히 육식동물 가운데 가장 청각 범위가 넓어서, 포식자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습니다. 집고양이는 여전히 야간에 사물을 보는 능력이 뛰어나고 육식 습관(고단백질, 고지방 음식을 소화할 수 있는 능력)을 지니고 있습니다. 이 말인 즉슨, 개와는 달리, 고양이는 아직도 인간이 주는 사료에 의존하도록 진화가 완성되지 않았다는 뜻입니다.

개와 비교해보면, 집고양이의 유전자 변화는 아직 크지 않다고 연구팀은 말합니다. 유전자 조사 결과, 개가 “인간의 최고의 친구”가 된 때는 인류가 아직 수렵생활을 하던 1만1천 년부터 1만6천 년 사이 시대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개는 (늑대나 고양이와 달리) 인류의 농경 생활에 맞춰 잡식동물로 진화했습니다.

왜 고양이는 야생성을 지니고 있을까요? 게놈 지도 연구자들은 집고양이가 야생 고양이와 계속 교배를 해 왔기 때문이라는 이론을 내세웁니다. 더 나아가 인간의 “고양이 사랑”, 즉 고양이 품종을 개량하고 예쁜 고양이를 찾는 행위는 기껏해야 2백년 전부터 시작됐다는 점도 고려해야 합니다.

고양이들은 쥐를 잡아 먹기 위해 사람들과 가까이 지내기 시작했고, 남은 음식들을 먹으며 사람들과 지냈습니다. 그러나 기회가 될 때마다, 야생의 고양이들과 여전히 번식했습니다. 즉, 고양이는 그저 야생으로 남아있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를 환경에 맞게 적응시켜온 것입니다. 그것이 (고양이가 사람의 최고의 친구가 아니라) 인간이 “고양이의 최고의 친구”라는 말의 뜻일겁니다.

원문출처: 디 아틀란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