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무시간과 생산성
영국의 철학자인 버트렌드 러셀은 1932년 “게으름에 대한 찬양” 에서 사람들은 하루 네시간 일하는 게 가장 적정하다는 결론을 내렸습니다. 하루 생활에 필요한 일들을 그 네시간 내에 끝내고 나머지 시간을 과학, 그림, 글쓰기에 보내야한다고 주장했죠. 러셀과 당시 철학자들은 기술의 발전이 인류의 삶에 필수적인 업무시간을 줄여줄 거라 믿었습니다. 존 메이너드 케인즈도 1930년에 2030년이 되면 인류는 주 15시간만 일하면 될 것이라 예측했지요. 그러나 80년이 지난 지금, 사람들은 그 어느때보다 많이 일하고 있습니다. 파이낸셜타임즈는 워커홀릭 신드롬에 대해 보도하고, 지난 여름 뱅크오브아메리카에서 일하다 과로로 사망한 인턴은 큰 화두가 되었습니다.
그래도 OECD 발표 자료에 따르면 인류는 1990년 대비 업무시간을 단축했습니다. 그리고 생산성도 증가했죠. 그리스인의 업무시간이 연 2000시간 이상인 반면 독일인은 연 1400시간만 근무했는데, 생산성은 독일인이 70% 높았습니다.
여기서 떠오르는 질문은 시간 당 임금이 높은 노동자들이 돈을 충분히 벌어서 업무시간을 줄였는가 하는 것입니다. 반대로 생각하면 시간대비 연봉이 높아졌기 때문에 여가의 기회비용 또한 증가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Colin Camerer와 동료들이 한 유명한 연구에 따르면 택시기사들은 하루 “목표 금액”을 달성하면 일을 멈춘다고 합니다. “임금이 높은 기사는 목표금액을 빨리 달성하고 퇴근하죠. 높은 임금이 일을 더 하게 유도하지는 않습니다.” 지나치게 일하지 않고 적당하게 일하는 사람이 생산성이 높다는 연구 결과도 있죠. “적당한 시간을 일하는 건 장기적으로 볼때 노동가능시간을 늘려줄 뿐 아니라 결과물의 질도 높여줍니다.” 아담스미스의 말입니다.
이제 얼마나 오래 일했느냐가 아니라 얼마나 생산적으로 일했는가 고민해볼 때입니다. (Economist)
원문보기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