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인만" 주제의 글
-
2018년 2월 12일. 물리학자 리처드 파인만 부고기사 Feb.17 1988 (2/2)
문제에 봉착한 이론 일상에서 작용하는 전자기력은 이미 잘 정립되어 있었다. 그러나 아원자 수준에서 전하를 띤 입자가 어떻게 움직이는 지에 대한 이론에는 문제가 있었다. 이론의 예측 결과는 실험과 맞지 않았고 물리학자들이 계산을 더 정확히 하려하면 할수록 오차는 끝없이 커져만 갔다. 물리학자들은 이 문제에 십년 이상을 매달려 있었다. 그러던 어느날 파인만, 일본의 신-이테로 도모나가, 하버드의 줄리안 슈빙거가 각각 독자적으로 이 문제를 해결했다. 도모나가와 슈빙거의 풀이는 기존 이론의 확장이었고 다른 물리학자들은 이 방법을 더 보기 -
2018년 2월 12일. 물리학자 리처드 파인만 부고기사 Feb.17, 1988 (1/2)
전후 세대 이론물리학자 중 가장 똑똑하고 창조적이면서도 대중적으로 잘 알려진 리처드 파인만이 지난 월요일 밤 위암으로 로스앤젤레스에서 세상을 떠났다. 향년 69세. 양자 이론의 한 설계자이며 맨하탄 프로젝트에서는 젊은 물리학자들의 리더였고, 입자의 움직임을 계산하는 유례없는 기법인 “파인만 다이아그램”을 발명한 그는 1940년대 불완전했던 물질과 에너지의 관계를 다듬어 평범한 물리학자들도 이를 이해하고 계산할 수 있게 만들었다. 그의 연구들은 현대 물리학에 널리 사용되고 있었음에도 미국인 대부분은 그가 1986년 첼린저호 폭발사건 조사를 위한 대통령 직속위원회에서 더 보기 -
2017년 11월 21일. 파인만은 어떻게 60년 전에 중력파가 실재한다는 사실을 보였나
중력파의 존재를 두고 사람들의 의견이 엇갈린다는 이야기를 들은 파인만은 다른 사람들의 주장을 확인하기보다 가장 근본적인 원리로부터 출발해 중력파의 존재를 증명해보겠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는 자신만의 방법을 통해 답을 먼저 얻었습니다. 1957년 채플 힐에서 열린 미국의 첫 일반상대론 학회(GR1)에서 그는 중력파가 에너지를 전달한다는 사실을 기발한 방법으로 증명했습니다. 이 주장은 거의 60년이 지난 2016년, 중력파의 실재를 보인 레이저 간섭계 중력파 관측소(LIGO)의 결과를 예견한 것입니다. 파인만은 어떻게 일반 상대론 학회에서 발표를 하게 된 걸까요? 그는 더 보기 -
2017년 5월 22일. 20세기 물리학의 거장들에 대한 프리먼 다이슨의 회상(2/2)
Q: 선생님은 로스알라모스에서 프린스턴으로 온 로버트 오펜하이머와도 알고 지냈죠. 나는 그가 맨해튼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정말 타고난 리더였고, 어쩌면 과학자의 역할보다는 행정가로 더 뛰어났다고 들었어요. 사실인가요? A: 그 말이 사실인지는 모르겠군요. 그는 과학자로서 블랙홀 이론이라는 매우 중요한 업적을 남겼습니다. 그는 블랙홀을 거의 발견한 것과 마찬가지이고, 후에 이는 대단히 중요한 문제가 되었지요. 그가 자신의 학생 하틀랜드 스나이더와 그 일을 한 것은 1939년입니다. 그들은 왜 블랙홀이 존재하는지, 어떻게 블랙홀이 형성되는지 밝혔고 모든 더 보기 -
2017년 5월 22일. 20세기 물리학의 거장들에 대한 프리먼 다이슨의 회상(1/2)
사람들은 프리먼 다이슨이 모든 것을 보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는 그가 지금 92살이고 지난 세기의 과학 혁명을 일선에서 지켜보았기 때문, 혹은 그가 한스 베테와 볼프강 파울리에서 로버트 오펜하이머와 리처드 파인만에 이르는 20세기 물리학의 거장들과 가깝게 지냈기 때문만은 아닙니다. 다이슨은 오늘날 과학계의 현인 중 한 명이며, 만약 과학이 어떻게 발전해 왔고 지금 어느 방향으로 가고 있는지가 궁금하다면, 바로 그 질문에 답해줄 수 있는 사람이기 때문입니다. 다이슨은 수에 대한 재능과 함께 영국에서 성장했습니다. 더 보기 -
2013년 1월 31일. 책: 천재적 사고(Mastermind)-셜록 홈즈처럼 생각하는 법
“나는 사람들이 과학에는 상상력이 필요없다고 생각한다는 것이 무척 놀랍습니다. 물론 과학에 필요한 상상력은 예술가들에게 필요한 상상력과는 무척 다른 종류의 것입니다. 과학자는 한 번도 보지 못한 것이면서도 지금까지 보던 것들과 모순이 없는 어떤 것을 상상해야 하고 아무도 생각해내지 못했던 것이면서도 명확하고 모호하지 않은 어떤 것을 생각해내야 합니다.” 이것은 노벨상을 수상했던 리처드 파인만의 말입니다. 상상력이란 관찰과 경험을 바탕으로 새로운 것을 생각해내는 능력을 말합니다. 1968년, 높이뛰기는 이미 체계가 잡힌 종목이었습니다. 사람들은 도움닫기 후에 더 보기 -
2012년 11월 6일. 파인만의 물리학에 대한 통찰
20세기 후반 가장 뛰어난 물리학자로 여겨지는 리처드 파인만은 양자컴퓨터를 예견하는등의 시대를 앞서간 통찰력으로도 유명합니다. 그는 1973년 정상우주론의 대가인 프레드 호일과의 대화 중 흥미로운 질문을 던집니다. “지금 우리가 물리학의 영역으로 생각하고 있지 않는 것들 중, 결국 물리학에 속하게 될 것들이 어떤 것이 있을까요?” 그는 간단한 예로, 물질들의 특성계수, 예를 들어 유리의 굴절율과 같은 숫자들은 과거에는 화학의 영역이었으나, 양자역학이 발전하면서 그러한 숫자들도 모두 물리학의 영역으로 들어왔다고 설명합니다. 그리고 위의 질문에 대해, 자신은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