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나 칸" 주제의 글
-
2025년 2월 11일. “미국 떠받쳐온 힘인데 무색해질 판… 그런데도 나만 좀 봐달라?”
트럼프 행정부 출범과 함께 자리에서 물러난 리나 칸 전 연방거래위원장이 얼마 전 세상에 충격을 몰고 온 중국의 AI 모델 딥시크를 좀 다른 관점에서 분석하는 글을 썼습니다. 칸 전 위원장은 딥시크라는 혁신이 가능했던 건 중국 기업들이 최소한 지금 빅테크가 독과점 체제를 구축한 미국의 시장 상황보다 훨씬 더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다는 증거라며, 미국도 경쟁을 보장하지 않는다면 기업들이 도태되는 건 피할 수 없다고 주장합니다. 칸 전 위원장이 쓴 칼럼을 번역하고, 미국 반독점 더 보기 -
2023년 5월 3일. [뉴페@스프] “경쟁 금지를 금지”하려는 승부수, 통할까
* 지난해 11월부터 뉴스페퍼민트는 SBS의 콘텐츠 플랫폼 스브스프리미엄(스프)에 뉴욕타임스 칼럼을 한 편씩 선정해 그에 관한 해설을 쓰고 있습니다. 그 가운데 저희가 쓴 글을 스프와 시차를 두고 소개합니다. 스브스프리미엄에서는 뉴스페퍼민트의 해설과 함께 칼럼 번역도 읽어보실 수 있습니다. ** 1월 26일 스프에 쓴 글입니다. 연방거래위원회(FTC, Federal Trade Commission)는 우리나라의 공정거래위원회에 해당하는 미국 정부의 시장감시 기구입니다. 5명의 위원(commissioner)으로 구성된 위원회가 최고 의사결정 기구이고, 그중 한 명이 위원장(chair)을 맡습니다. 7년 임기의 위원은 대통령이 임명하고 상원의 인준을 받아야 더 보기 -
2022년 3월 24일. [필진 칼럼] 플랫폼 경제 독점 기업의 초상화: 아마존 검색결과
팟캐스트 아메리카노 지난 시즌에서는 우리나라 공정거래위원회에 해당하는 미국 연방거래위원회(FTC, Federal Trade Commission)의 리나 칸(Lina Khan) 위원장이 쓴 논문 “아마존의 반독점 역설(Amazon’s Antitrust Paradox)”을 같이 읽었습니다. 리나 칸 위원장이 지적한 플랫폼 기업의 이해관계 충돌에 관해 대표적인 사례를 마크업이 자세히 분석해 쓴 기사를 네이버 프리미엄 콘텐츠에 요약, 소개한 글입니다. 칸 위원장은 예일 법학대학원을 졸업하기 전, 28살에 쓴 논문에서 보여준 통찰을 바탕으로 미국 반독점 규제를 총괄하는 기관장으로 발탁됐습니다. 논문의 핵심은 플랫폼 경제에서는 플랫폼 사업자에게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