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거" 주제의 글
  • 2016년 4월 22일. 아무리 트럼프가 대통령이 되어서는 안 된다고 해도

    페이스북이 선거에 개입하면서까지 트럼프를 떨어트리려 해서는 안 됩니다. 트럼프를 낙선시키는 게 대의를 위해 모두에게 좋다고 하더라도, 페이스북이 여론을 좌지우지할 수 있는 엄청난 권력을 잘못 썼다가는 민주주의에 몹시 나쁜 선례만 남고 말 겁니다.
    더 보기

  • 2016년 4월 13일. 선거 관련 기사 모음

    오늘은 20대 국회의원 선거가 있는 날입니다. 뉴스페퍼민트가 올렸던 선거 관련 글들 모아봤습니다. 포스팅 마지막의 “원문읽기”를 누르시면 영어로도 보실 수 있습니다.   투표, 선택인가 의무인가 [폴 크루그먼 칼럼] 선거는 중요합니다 심리학과 민주주의: 왜 자꾸 바보들이 선거에서 승리할까? 한국의 지방선거 결과, 어떻게 해석할까 [칼럼] 학교에서 정부와 정치에 대해 가르쳐야 하는 이유 트위터로 세상을 바꿀 수 있을 것 같았지만, 선거 결과는 달랐습니다 선거에서 이기면 뭐든 다 해도 괜찮은가? – 터키의 껍데기 민주주의(zombie democracy) 더 보기

  • 2016년 4월 9일. 당신의 선거는 안전합니까? (5)

    "두 가지 다른 차원의 정치가 있어요. 사람들 눈에 보이는 정치와 그리고 실제로 그 모든 걸 가능하게 하는 물밑에서 일어나는 정치가 있습니다. 저는 지금껏 사람들 눈에는 보이지 않는 곳에서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해온 겁니다."
    더 보기

  • 2016년 4월 7일. 당신의 선거는 안전합니까? (4)

    세풀베다의 뛰어난 기술과 렌돈의 정치를 향한 원대한 비전이 의기투합해 진가를 발휘한 곳이 바로 멕시코입니다. 이는 특히 야당 생활을 청산하고 다시 수권 정당이 되고자 하는 제도혁명당(PRI)이 자원을 아끼지 않았기에 가능했던 일이기도 합니다.
    더 보기

  • 2016년 4월 6일. 당신의 선거는 안전합니까? (3)

    한 프로젝트가 마무리될 때마다 대단히 엄격한 자료 폐기 절차가 뒤따랐습니다. 데이터별로 중요도에 따라 등급이 색깔별로 다르게 매겨져 있었습니다.
    더 보기

  • 2016년 4월 6일. 당신의 선거는 안전합니까? (2)

    "사람들이 현실에서 일어나는 일보다도 인터넷에 떠도는 말을 더 쉽게 믿는다는 걸 깨달았을 때 저는 저의 재주로 어떤 가상의 일이라도 그런 일이 실제로 일어났다고 세상 사람들이 믿도록 할 수 있다는 걸 알았어요."
    더 보기

  • 2016년 4월 5일. 당신의 선거는 안전합니까? (1)

    지난 10년간 라틴아메리카 여러 나라의 선거에 지속적으로 개입한 해커 안드레스 세풀바다가 블룸버그 비즈니스위크와 단독 인터뷰를 진행했습니다. 세풀베다가 털어놓은 라틴아메리카 정치의 민낯을 다섯 편에 걸쳐 소개합니다.
    더 보기

  • 2016년 1월 20일. [이코노미스트 그래픽 디테일] 총통선거 결과로 보는 대만 정치의 지형도

    그것은 대만 정치를 바꾸고 심지어 중국에도 영향을 미칠 압승이었습니다. 대만의 민주진보당(DPP) 소속 차이잉웬 총통 후보는 지난 16일 선거에서 승리할 것으로 확실시되었습니다. 그러나 그 승리의 규모는 사뭇 놀랍습니다. 차이 후보는 56%를 득표하여 대만의 첫 여성 지도자가 되었습니다. 뿐만 아니라 선거 당일 국회에서는 민주진보당이 113석 중 68석을 확보함으로써 35석을 얻은 국민당(KMT)을 가볍게 눌렀습니다. 1949년 장개석이 대만으로 망명한 이래, 국민당이 국회에서 다수당 지위를 빼앗긴 것은 처음 있는 일입니다. 대만 사람들은 자신을 중국인이라기보다는 대만인으로 더 보기

  • 2015년 9월 1일. 리콴유 없이 치르는 첫 선거, 싱가포르의 내일은?

    싱가포르에서 선거란 짧고 간단하게 치러지는 일이었습니다. 9일 동안의 유세 기간이 끝나면 투표가 이루어지는데, 헤비급 인민행동당(PAP)이 야당을 한 방에 때려 눕히는 권투 시합과도 같았습니다. 그러나 리콴유 사망 이후 처음으로 치러질 오는 11일의 선거는 지금까지와는 여러 가지 면에서 다릅니다.
    더 보기

  • 2015년 7월 23일. 트럼프의 선거 전략은 누가 세우는 것일까?

    도널드 트럼프의 파격적인 대선 행보가 계속되고 있습니다. 지난 주말에는 준비된 연설문 한 줄 없이 참석한 경선 후보들 간 포럼에서 존 맥케인의 참전용사 이력을 비하한 후 사과마저 거부해 다시금 구설수에 올랐죠. 트럼프는 왜 이런 무리한 선거 전략을 고수하는 것일까요?
    더 보기

  • 2015년 5월 14일. 트위터로 세상을 바꿀 수 있을 것 같았지만, 선거 결과는 달랐습니다

    선거 결과가 나온 후, 우리 모두는 큰 깨달음을 얻었습니다. 트위터에 글을 쓰고, 페이스북 상태를 "화나요"로 바꾸는 걸로 사회주의 낙원을 건설할 수 없다는 사실을요.
    더 보기

  • 2015년 5월 6일. “정치 부패”란 무엇인가?

    선거 과정에서 막대한 돈이 드는 미국에서 백만장자, 억만장자로부터 정치자금을 지원받지 못하면 선거를 치르는 것조차 버거워졌습니다. 그런데 명시적이지 않더라도 엄청난 규모의 선거 자금에 대가성이 없다고 보기는 어려운 부분이 있습니다. 존 로버츠 대법관은 지난해 판결에서 대가성이 있는 정치인의 호의는 중죄라고 못박기도 했습니다.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