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해력" 주제의 글
-
2023년 2월 25일. 그들의 ‘선한 의도’가 불러온 무시무시한 나비 효과
미국 초등학교 4학년 학생의 2/3가 글을 읽는 데 서툴다는 연구 결과를 소개하며 시작한 뉴욕타임스 칼럼을 읽고 처음 짐작한 원인은 경제적 불평등이었습니다. 그런데 적어도 위 칼럼에서는 흔히 디지털 격차(digital divide)로 표현되는 경제적 불평등을 원인으로 꼽지 않았습니다. 대신 미국에서는 다른 나라와 달리 아이들에게 말과 글을 가르칠 때 각 글자가 어떻게 소리나는지 발음 교육을 등한시하기 때문에 아이들이 글을 잘 깨치지 못하고, 결국 책과 좀처럼 가까워지지 못한다는 분석이었습니다. 그렇다면 어쩌다 미국에선 발음 교육을 등한시하게 더 보기 -
2017년 4월 17일. 반려견 덕분에 더 많은 책을 읽는 아이들
어릴 적 독서 습관은 평생토록 계속됩니다. 때문에 어린 자녀에게 독서 습관을 길러주는 일은 종요롭습니다. 그 일환으로, 반려견에게 책을 읽어주는 일이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보통 어린이들은 자연스럽게 독서를 즐기며 특별히 격려를 필요로 하지 않지만, 책 읽는 게 서툴다면 금방 자신감이 떨어지고 이는 어린이들로 하여금 책을 덜 가까이 하게 합니다. 악순환의 시작인 셈이죠. 반려견이 여기에 도움을 줄 수 있을까요? 답은 간단합니다. 어린 자녀가 반려견 옆에서 책을 읽어주도록 하는 것입니다. 반려견의 존재는 곁의 더 보기 -
2015년 11월 30일. [이코노미스트 데일리 차트] 경제 문해력(financial literacy)은 소득과 성별에 따라 큰 차이를 보입니다
경제 문해력을 결정하는 데 가장 주요한 역할을 한 건 교육이었고, 국내총생산 역시 교육 수준과 의미 있는 관계를 보였습니다.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