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디언 사설] 한국, 일본, 그리고 ‘위안부’: 과거의 상처를 치료하기 위한 한 걸음
그들은 ‘위안부’라 불렸다. 사악한 방법으로 그들을 착취하고 무너뜨린 이들이 만들어낸 단어이며, 그들을 성 노예로 삼고 전리품 취급한 남성들이 만들어낸 말이다. 최대 20만 명에 가까운 여성들이, 많은 경우엔 한인 여성들이 일본군을 위해 운영된 매음굴의 포로로 2차 세계대전을 보냈다. 이 여성들의 수난은 끝없는 정치적, 외교적 논쟁의 대상이었다. 어떤 이들은 심지어 이 고난의 현실을 부인하기도 했다. 태평양 지역 및 일본이 점령한 많은 나라와 영토에서 벌어진 전쟁의 참혹함 중에서, 이 여성들의 이야기는 오래도록 알려져야 하며 그들을 노예로 삼은 이들은 책임을 져야 한다.
분명히 일본의 명백한 사과는 오랫동안 지체되었다. 전쟁이 끝난 지 70년이 지난 지금, 이제서야 일본과 한국은 최종적으로 그리고 불가역적으로 문제를 해결하기로 합의하였다. 일본은 “책임을 통감한다”고 선언했고, 아베 총리는 “형언할 수 없고 고통스러운 경험을 한 모든 여성들에게 참회하고 사과한다”고 밝혔다. 일본은 생존자를 위한 기금에 10억 엔을 출연하기로 하였다. (아직도 대한민국에는 46명의 위안부 생존자가 있다.) 대한민국 박근혜 대통령은 양국간 신뢰를 구축하고 새로운 관계를 만드는 것에 대해 언급하였다.
2차대전의 기억에 대한 몇십 년의 긴장 관계 후에, 전략적 고려가 두 나라로 하여금 이 단계에 이르도록 했다. 일본과 대한민국은 그들의 동맹국 미국이 권하는 대로 점점 더 독단적인 중국과 예측할 수 없는 북한을 맞아 좀 더 나은 안보 협조가 필요함을 인식하였다. 영토 분쟁과 민족주의적 긴장이 언제든 안정을 위협할 수 있는 이 지역에서 과거의 문제 중 일부를 해결하는 것은 그러한 협력의 기초를 만들어낼 수 있다. 비판자들은 일본이 한 사과의 진정성을 의심하기도 한다. 무엇보다도 이번이 처음이 아니고 과거의 움직임은 종종 조건부였으며 이는 한국인들이 받아들이기 힘든 것이었다. 가장 강력한 ‘위안부’ 지킴이들은 또한 일본 정부의 직접 배상이 아님을 분하게 생각할 것이다. 이는 법적 책임이 인정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반대로 어떤 일본인들은 자국 정부가 속았다고 느낄 것이다.
어쨌든, 명백히 한 걸음 더 나아간 것이다. 일본이 2차세계대전 이전과 그 당시에 끔찍한 피해를 입혔던 나라들과 새로운 관계를 만들고 싶다면, 제국주의와 군국주의 과거와 그대로 마주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아베 신조는 일본 내에서는 민족주의적 불길을 일으킨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이 경우엔 태도를 부드럽게 했다. 2015년 초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의 일본 방문이 이에 영향을 주었을지 추측해볼 수도 있다. 메르켈은 독일의 경험을 언급하면서 과거를 성찰하고 과거 적들의 요구에 정직하게 응해야 함을 역설하였다. 한국은 전쟁 당시 일본의 식민지였다. 이것은 매우 복잡한 역사이며, 앞으로도 논쟁은 계속될 것이다. 일본의 핵심적인, 그리고 부인할 수 없는 책임은 사실이다. 그러나 동시에 여성들을 꾀어내거나 가둔 민간 일본인 모집책과 한인 부당이득자 또한 책임이 있다.
외교적 합의는 오직 상반된 국가적 기억을 화해시키는 데 유효하다. 몇 년 전, 어느 한인 역사학자는 가난하고 절박한 여성들 일부가 위안부 모집에 자발적으로 응했다고 주장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부인할 수 없는 것은 고통 그 자체이다. “위안”이라는 것은 끔찍한 미사여구다. 이 여성들이 겪은 것은 지워지지 않는 상처를 남긴 잔혹한 착취였다. 그렇기에 이 합의가 중요하다. 사실과 책임의 인정이다. 생존자 중 한 명인 유희남 (88) 할머니는 이렇게 말했다. “돌이켜 보면 기본적인 권리도 박탈당한 채 살아왔어. 너무 오래 기다려왔어…” (가디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