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은 원래 파란색을 잘 인식하지 못합니다
지난주 지구촌은 ‘드레스 색깔 논쟁’으로 소란스러웠습니다. 많은 이들이 파란색 바탕에 검은 레이스가 달린 옷 사진을 하얀색 바탕에 금색 레이스 옷으로 봤죠. 미국 경제지 <비즈니스 인사이더>는 이 논쟁을 틈타 인간이 태생적으로 파란색을 잘 인식하지 못한다는 문제를 제기했습니다.
청색은 인류 역사에서 오랫동안 홀대받은 색이었습니다. 그리스어, 중국어, 일본어, 히브리어 등 여러 민족 언어에서 ‘파란색’이 녹색 혹은 다른 색과 구분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사실 한국어도 청색과 녹색은 과거 ‘푸른색’이라는 말 하나로 통했습니다.
1858년 윌리엄 글래드스턴이라는 영국 학자는 <오디세이>에 등장하는 색깔 표현의 통계를 내봤습니다. 검은색은 200번, 흰색은 100번 나오지만 빨간색은 15번, 노란색과 녹색은 10번으로 드물었습니다. 글래드스턴은 다른 그리스 고전도 조사해봤지만 결과는 마찬가지였죠. 파란색(영어의 blue)에 해당하는 단어는 등장조차 하지 않았습니다. 바다 색깔은 ‘어두운 포도주색’으로 묘사됐습니다.
그리스가 유난히 무채색 사회였던 것일까요? 라자러스 가이거라는 언어학자는 파란색을 구별 못하는 문화가 세계 곳곳에 보편적으로 존재한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는 아이슬란드 전설, 코란, 고대 중국 소설, 고대 히브리어 성경, 힌두교 베다 등을 조사한 결과, 낮·밤·구름·번개 색깔을 언급하는 구절에 비해 ‘하늘이 파랗다’라는 표현이 극히 적다고 강조했습니다.
가이거에 따르면 인류가 가장 먼저 쓴 색깔 단어는 검정색과 흰색이며 다음으로 빨간색, 노란색, 녹색 순서입니다. (몇몇 문화권에선 녹색과 노란색이 구분되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파란색을 뜻하는 단어는 그다음에야 등장합니다. 파란색이라는 낱말을 즐겨 쓴 고대 문명은 이집트뿐입니다. 이집트는 파란색 염료를 사용한 유일한 문명이기도 합니다. (비즈니스 인사이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