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ies: Economy / BusinessIT

대기업들의 실적이 나라 경제의 실적이 되는 시대

2004년 12월 마이크로소프트사는 330억 달러에 달하는 주식 배당금을 주주들에게 지불했습니다. 이는 그해 미국의 개인소득이 6% 상승하는 결과를 낳기도 했습니다. 이 사례는 큰 기업들이 얼마나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경제 전체로 보면 효과가 상쇄된다는 가정하에 특정 기업의 영향력은 경제학자들의 모델에서 일반적으로 크게 주목받지 못했었습니다. 하지만 무역 규모와 GDP 성장과 같은 지표들이 어떻게 변화하는가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대기업들을 잘 관찰하는 것은 필수입니다.

미국에는 2700만개, 영국에는 480만개의 기업이 있습니다. 한 국가는 다른 국가들에 있는 수 많은 기업들과 교역을 하기 때문에 이는 국가간에 무수한 무역 관계를 만들어냅니다. 따라서 한 국가의 경제는 수백만개의 교역 관계에 기반을 두고 있기 때문에 이론상 한 기업의 수출 채널이나 성과는 경제 전반에 영향을 미치지 않아야 합니다. 여기서 경제 전반에 걸쳐 발생하는 충격(shock)만이 경제의 변동을 설명할 수 있다는 결론을 이끌어 낼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경제 전반에 발생하는 충격(aggregate shock)은 경제의 변동성(volatility)를 잘 설명하지 못합니다. 2007년 OECD 국가의 무역 수지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경제 전반에 영향을 미치는 충격은 경제 변동의 45%만을 설명할 뿐 나머지 55%는 특정 기업의 성과나 교역 상태에 따른 것이라는 것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좀 더 자세히 들여다봅시다. 2008년 센서스에 따르면 미국에서 만 명 이상의 직원을 가진 981개의 기업이 미국에 존재하는 모든 일자리중 25%를 설명합니다. 이탈리아의 450만개의 기업중 96%는 10명 이하의 직원을 가진 소형 기업이고 피앗(Fiat)과 같은 큰 기업들이 경제 활동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2011년 한국의 전체 수출 중 삼성이 차지하는 비율은 17%입니다. 핀란드의 경우는 더 극단적입니다. 노키아가 1998년과 2007년 사이 핀란드 전체 수출의 20%, GDP의 25%를 설명합니다. 대기업들이 이렇게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높은 것은 변동성 측면에서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뉴욕대학(NYU) 경영대학원의 자비어 가바이(Xavier Gabaix) 교수의 2011년 연구에 따르면 기업들의 규모가 어떻게 분포하는가에 따라 경제의 변동성이 어떻게 변하는지를 설명하고 있습니다. 한 기업이 모든것을 생산하는 경제를 상상해보세요. 이 경우 한 기업 성과의 변동성이 경제 전체의 변동성을 설명합니다. 하지만 기업의 수가 증가할 수록 GDP의 변동성은 줄어드는데 왜냐면 기업단위의 호황과 불황이 서로 상쇄되기 때문입니다. 기업들의 규모가 정규분포를 따르는 경우(bell-shape) 100개의 기업이 더 생기면 한개 기업이 있는 경우에 비해 변동성이 1/10로 줄어듭니다. 100만개 기업이 있는 경우 변동성은 한개 기업의 경우보다 1/1000로 줄어듭니다.

하지만 규모가 아주 작은 기업과 큰 기업으로 기업 규모가 양극화되어 있는 경우 경제의 안정성을 유지하기위해서는 훨씬 더 많은 기업들을 필요로 합니다. 기업이 하나 있는 경우에 비해 경제의 변동성을 1/10로 줄어기 위해서는 22,000개의 기업이 필요합니다. 기업 수가 증가하는 것이 경제의 변동폭을 줄인다는 이론은 성립하기 어려워지고 특정 기업의 성과에서 나오는 쇼크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무척 커집니다. 가바이 교수는 이 이론의 경험적 근거를 1951년부터 2008년 사이의 미국 기업들 데이터를 통해서 확인했습니다. 미국의 기업 규모 분포는 매우 양극화되어 있습니다. 2009년 100개의 가장 큰 기업들이 미국 GDP의 35%를 설명했는데 이는 1980년대 30%에서 5%나 증가한 수치입니다. 이 대기업들의 실적도 매해 평균 매출이 12%나 왔다갔다 할 정도로 변동폭이 컸고 기업들의 실적 사이에 뚜렷한 상관관계도 존재하지 않았습니다. 가비어 교수의 논문에 따르면 미국 GDP 변동의 48%가 이 100개의 큰 대기업의 실적 변동에 따른 결과물이었습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중앙은행들은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가비어 교수의 논문은 특정한 대기업의 실적 변화를 고려하는 것이 경제 전망치를 더 정확하게 해줄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습니다. 경제 전반에 영향을 미치는 중앙은행의 정책과 같은 결정을 내릴때 대기업들이 어떤 상태인지를 제대로 파악하는 것 역시 도움이 됩니다. 이 이론들은 GM이 잘 돌아가면 미국 경제도 잘 돌아간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하지만 정반대도 가능합니다. 대기업들의 실적이 나쁘면 경제 전체가 휘청거립니다. GM, 포드, 크라이슬러만 해도 50만명에 가까운 사람들을 고용하고 있습니다. 2008년 경제 위기가 났을 때 이들이 성공적으로 구제금융을 받을 수 있었던 이유이기도 합니다. 대마불사(“Too big to fail”)의 문제는 비단 대규모 은행의 문제만은 아닙니다. (Economist)

원문보기

arendt

Recent Posts

중국과 미국이 기술 협력한다? 이게 쉽지 않은 이유

중국은 최근 환경 기술 분야에서 눈부신 진전을 이루며 글로벌 무대에서 크게 주목받고 있습니다. 특히 시진핑의…

1 일 ago

[뉴페@스프] 곧 닥칠 ‘고령 사회’, 우리가 던져야 할 질문은 따로 있다

* 뉴스페퍼민트는 SBS의 콘텐츠 플랫폼 스브스프리미엄(스프)에 뉴욕타임스 칼럼을 한 편씩 선정해 번역하고, 글에 관한 해설을…

3 일 ago

“숨 쉬는 건 범죄가 아니다”…노숙도 마찬가지? 간단치 않은 사정들

미국 연방대법원이 노숙을 불법으로 규정하고 노숙자를 처벌한 지방 정부(시 정부)의 행동이 위헌이라는 사건에 관해 이번…

4 일 ago

[뉴페@스프] Z세대 가치관에 문제 있다? 그런데 부모인 X세대가 더 문제다?

* 뉴스페퍼민트는 SBS의 콘텐츠 플랫폼 스브스프리미엄(스프)에 뉴욕타임스 칼럼을 한 편씩 선정해 번역하고, 글에 관한 해설을…

6 일 ago

기후변화로 인한 ‘변화’가 이 정도였어? 뜻밖의 결과들

기후변화로 인한 이상 기후, 자연 재해는 우리에게 더는 낯선 일이 아닙니다. 아예 "기후 재해"라는 말이…

7 일 ago

[뉴페@스프] 경합지 잡긴 잡아야 하는데… 바이든의 딜레마, 돌파구 있을까

* 뉴스페퍼민트는 SBS의 콘텐츠 플랫폼 스브스프리미엄(스프)에 뉴욕타임스 칼럼을 한 편씩 선정해 번역하고, 글에 관한 해설을…

1 주 a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