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ies: 과학

마쉬멜로우 실험: 자기절제의 비결은 효율적인 두뇌

1970년, 스탠포드 대학의 연구진은 4살난 아이 600명에게 눈 앞의 마쉬멜로우를 먹지 않고 15분을 참을 경우 마쉬멜로우 하나를 더 주겠다는 제안을 합니다. 그리고 수십년간 그 아이들의 인생을 관찰한 결과 참을성을 보인 아이들이 높은 SAT 성적과 건강한 몸, 더 많은 수입과 낮은 이혼률을 보인다는 것이 드러났습니다.

이것은 유명한 “마쉬멜로우 실험”입니다. 이 실험은 많은 후속연구들을 낳았습니다. 지난 22일,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지에는 그 아이들이 보였던 절제력이 두뇌의 효율과 관련이 있을지 모른다는 연구가 실렸습니다.

토론토대학의 마크 버만은 이제 45세의 성인이 된, 마쉬멜로우 실험에 참여했던 아이들 중 24명을 대상으로 다시 실험을 진행했습니다. 이들 중 절반은 어렸을 때 마쉬멜로우를 참았었고, 그 후의 인생에서도 자기절제를 보여준 사람들인 반면 다른 절반은 어렸을 때 마쉬멜로우를 먹은 후 계속해서 자기절제를 보여주지 못한 사람들이었습니다.

버만은 작업기억(working memory)을 필요로 하는 간단한 테스트를 실시하면서 참여자의 두뇌활동을 “기능적 자기공명영상(fMRI)”으로 촬영했습니다. 그리고 마쉬멜로우를 참았던 사람들이 그렇지 못한 사람들보다 더 효율적인 두뇌를 가지고 있음을 발견했습니다.

“그들은 보다 직접적이고 단순한 두뇌의 신경경로를 통해 문제를 해결했습니다.”

“이 결과는 효율적인 두뇌는 스스로를 절제하기 위해 더 적은 에너지를 필요로 하며, 이로 인해 절제가 더 쉽게 가능할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 결과에서 본성(nature)과 양육(nurture)이 어느정도 영향을 끼치는 지는 아직 말할 수 없습니다. 이를 위해서는 마쉬멜로우 실험에서 예외적 결과를 보인, 즉 어렸을 때는 절제력을 보였지만 이 후의 인생에서 그렇지 못했거나 어려서는 마쉬멜로우를 참지 못했지만 이 후의 인생에서는 참을성을 보인 사람들에 대한 연구가 필요합니다.

이에 대해 마쉬멜로우 실험을 처음 연구했던 월터 미셸과 유이치 쇼다는 아래와 같은 이메일을 보내왔습니다.

“이제 우리는 마쉬멜로우 실험에서 예외적인 결과를 보였던 사람들을 대상으로 무엇이 그들의 인생을 예상과 다르게 바꾸었는지를 연구해야 합니다.”

(LiveScience)

원문 보기

veritaholic

Recent Posts

[뉴페@스프] 경합지 잡긴 잡아야 하는데… 바이든의 딜레마, 돌파구 있을까

* 뉴스페퍼민트는 SBS의 콘텐츠 플랫폼 스브스프리미엄(스프)에 뉴욕타임스 칼럼을 한 편씩 선정해 번역하고, 글에 관한 해설을…

3 일 ago

데이트 상대로 ‘심리 상담’ 받는 사람을 선호한다고? 운동만 자기 관리가 아니다

보스턴 대학에서 일하는 정신과 의사가 ‘자녀의 정신 건강에 과몰입하는 미국 부모들’에 대한 칼럼을 기고 했습니다.…

3 일 ago

[뉴페@스프] 습관처럼 익숙한 것 너머를 쳐다볼 때 비로소 보이는 것

* 뉴스페퍼민트는 SBS의 콘텐츠 플랫폼 스브스프리미엄(스프)에 뉴욕타임스 칼럼을 한 편씩 선정해 번역하고, 글에 관한 해설을…

6 일 ago

‘사이다 발언’에 박수 갈채? 그에 앞서 생각해 볼 두 가지 용기

하마스가 이스라엘을 상대로 테러 공격을 벌인 뒤 그에 대한 반격으로 시작된 이스라엘의 가자지구 군사 작전…

6 일 ago

[뉴페@스프] 점점 더 커지는 불평등의 ‘사각지대’가 있다

* 뉴스페퍼민트는 SBS의 콘텐츠 플랫폼 스브스프리미엄(스프)에 뉴욕타임스 칼럼을 한 편씩 선정해 번역하고, 글에 관한 해설을…

2 주 ago

선거제 허점 악용해도 견제할 방법, 저기도 없네?!

미국 대선에서는 주별로 배정된 선거인단의 투표 결과를 집계해 과반(최소 270명)을 득표한 사람이 당선됩니다. 선거인단을 어떻게…

2 주 a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