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0년 전 오늘(1월 9일), 런던의 패딩톤(Paddington)과 파링돈(Farringdon)을 잇는 5.6km 구간에서 역사상 최초의 지하철(Underground)이 운행을 시작했습니다. 반드시 지하로 다니는 열차로 한정하지 않는다면 도시철도로써 두 번째 메트로(Metro)가 탄생한 곳은 미국 시카고(1892년)였고, 부다페스트(1896), 파리(1900) 등이 뒤를 이었습니다. 1960년대 들어 전 세계 많은 도시들이 몸집을 불려가면서 지하철은 필수 대중교통으로 자리매김 했습니다. 현재 지하철이 다니는 도시는 전 세계에 200여 개 남짓. 이 가운데 중국 베이징의 지하철이 지난달 말 70km 구간을 연장 개통하면서 총 442km 노선으로 가장 긴 거리를 자랑합니다. 지상 구간과 경전철, 전차 구간까지 포함하면 지하철의 원조인 런던의 도시철도 노선이 가장 깁니다. 가파른 경제성장과 급속한 도시화로 중국과 인도 곳곳에서 지하철 공사가 한창입니다. 두바이나 도하, 쿠웨이트 시티 등 중동의 산유국 주요 도시들도 자동차보다 친환경적인 지하철을 도입할 계획을 갖고 있습니다. 하지만 지하철은 도시에서 벌일 수 있는 가장 큰 규모의 공사 가운데 하나입니다. 알제리 수도 알제의 지하철은 내전 탓에 10년 넘게 공사가 중단됐었고,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의 경우 만연한 부패 관료들 탓에 지하철 공사비가 줄줄 새어나가다 아예 계획이 백지화되기도 했습니다. 최근 연구결과에 따르면, 전 세계 경기침체 시기에도 철도를 비롯한 사회간접자본 시장은 매년 3.2%씩 증가해 왔고, 특히 지하철을 비롯한 도시철도에 대한 투자는 앞으로도 당분간 매년 6% 이상의 높은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전망됩니다. (Economist)
뉴스페퍼민트가 SBS의 콘텐츠 플랫폼 스브스프리미엄(스프)에 뉴욕타임스 칼럼을 한 편씩 선정해 번역하고, 함께 쓴 해설을 스프와…
지난 2022년 11월 스브스프리미엄의 시작과 함께 뉴욕타임스 칼럼을 골라 번역하고 해설을 달아온 스프x뉴욕타임스 코너의 마지막…
뉴스페퍼민트는 SBS의 콘텐츠 플랫폼 스브스프리미엄(스프)에 뉴욕타임스 칼럼을 한 편씩 선정해 번역하고, 글에 관한 해설을 쓰고…
일론 머스크는 지난 대선 기간에 트럼프 대통령의 당선에 '올인'하더니, 트럼프 대통령 취임 후에는 정부효율부(DOGE) 수장이…
뉴스페퍼민트는 SBS의 콘텐츠 플랫폼 스브스프리미엄(스프)에 뉴욕타임스 칼럼을 한 편씩 선정해 번역하고, 글에 관한 해설을 쓰고…
뉴스페퍼민트는 SBS의 콘텐츠 플랫폼 스브스프리미엄(스프)에 뉴욕타임스 칼럼을 한 편씩 선정해 번역하고, 글에 관한 해설을 쓰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