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언론 예측: 미디어가 신뢰를 잃을 수 있는 세 가지 방법 (1)

* 하버드 니만 저널리즘 연구소는 매해 학자들이 예측한 언론의 미래를 소개합니다. 그 중 일리노이 대학교 교수 니키 어셔가 예측한 2019년…

7 년 ago

진실로 둔갑한 거짓, 가짜뉴스는 어떻게 편견을 만들어내나 (3/3)

2부 보기 블레어 씨는 지난 2년 동안 수천 편의 가짜뉴스를 만들어냈습니다. 매번 기본적인 틀은 그대로 두고 내용만 조금씩 바꿔서 내보내는…

7 년 ago

[제리 살츠 특집 2] “세상의 구원자”는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것이 아니다

(올해 퓰리처 상 비평부문을 수상한 제리 살츠의 비평문 몇 개를 소개합니다.) Update: 이 작품은 결국 4억 달러 이상에 팔렸다. 크리스티…

7 년 ago

“백인의 눈물(white tears)”을 조롱하면 안 되나요?

인종 문제에 대해서 이야기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닙니다. 상대방의 기분을 상하게 하거나 오해를 낳는 일이 종종 발생하죠. 또 이야기를 하면서…

7 년 ago

진실로 둔갑한 거짓, 가짜뉴스는 어떻게 편견을 만들어내나 (2/3)

1부 보기 블레어 씨는 거기까지 생각나는 대로 글을 쓰고는 다시 한번 사진을 자세히 들여다봅니다. 사진 속 백인 여성은 물론 첼시…

7 년 ago

[칼럼] “진보 편향”이라는 비판을 기자들이 지나치게 의식하는 건 아닐까요?

최근 저는 기자들이 “진보 미디어”라는 말이 틀렸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 지나치게 노력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궁금했습니다. 기자들은 이를 피하고자 자신도…

7 년 ago

[제리 살츠 특집 1] 프리즈 뉴욕 아트페어에서 눈을 뗄 수 없었던 그림

(올해 퓰리처 상 비평 부문을 수상한 제리 살츠의 비평문 몇 편을 소개합니다.) 어떤 미술관에도 전시되지 못했고 역사적으로도 거의 잊혀졌던, 1875년…

7 년 ago

혐오와 편견을 “질병”으로 볼 수 있을까?

10여년 전, 저는 한 정신의학 저널에 “편협함이 정신 질환인가?”라는 글을 기고했습니다. 당시 일부 정신의학자들은 일상 생활을 방해하고 망상에 가까운 수준에…

7 년 ago

중독은 평생 지속되는 것일까요?

올해로 11년째 아편 중독에서 벗어나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나는 늘 다음 두 질문을 생각하고 있습니다. 정말 “중독성 성격”이란 것이 있을까요?…

7 년 ago

진실로 둔갑한 거짓, 가짜뉴스는 어떻게 편견을 만들어내나 (1/3)

컴퓨터 모니터 석 대에서 나오는 불빛을 빼면 아무런 조명도 없는 어두침침한 방. 크리스토퍼 블레어(46) 씨는 컴퓨터 앞에 앉아 무언가를 골똘히…

7 년 ago

생중계되는 뉴스를 빠르고 정확하게 팩트 첵크하기 위한 노력

생중계되는 뉴스의 팩트 첵킹에는 한 가지 어려움이 있습니다: 느리다는 사실이죠. 팩트 체커가 의심스러운 주장의 사실 여부를 확인했을 때쯤에는 이미 거짓…

7 년 ago

다이어트 탄산음료는 정말 치매를 일으킬까요?

2017년 4월, 언론은 일제히 다이어트 탄산음료의 위험을 알리는 기사들을 쏟아냈습니다. “다이어트 탄산음료는 치매와 뇌졸중을 일으킬 수 있다” “매일 다이어트 탄산음료를…

7 년 a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