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ies: 칼럼한국

결혼이요? 전 평생 혼자 살아갈 겁니다

지금 한국에서는 결혼하지 않고 스스로 독신으로 살아가기를 선택하는 싱글족의 수가 급증하고 있습니다. 1990~2010년 사이 서울에서 싱글족이 차지하는 비중은 2배 이상으로 증가했습니다. 그리고 이제는 이들이 총 가구의 16%를 차지하고 있죠. 한국에서 성인 4명 중 1명은 아직 싱글이며 이는 OECD의 34개 회원국 가운데 제일 높은 수치입니다. 학사 학위 이상을 가진 여성으로 한정 지어 살펴보면 3명 중 1명 꼴로 이 비율은 더 높아집니다.

한국에서 싱글족의 비중이 급증하는 이유는 천정부지로 치솟는 결혼 비용에 있습니다. 1980년대 남아 선호 사상으로 비롯된 남녀 성비 불균형 문제도 한몫 합니다. 현재 성인 남녀의 비율은 7:6으로 성인 남자 7명 중 1명은 구조적으로 결혼 생활을 동시에 할 수 없는 상태죠. 자신보다 조건이 나은 배우자가 아니라면 굳이 결혼하지 않으려는 몇몇 골드 미스들의 결혼관도 싱글족의 증가를 부추깁니다.

이처럼 이미 무시할 수 없을 만큼 싱글의 삶을 자발적으로 선택하는 이들이 늘고 있지만, 사회적인 인식은 여전히 이에 미치지 못합니다. 싱글족들을 지칭할 때 ‘비혼’이라는 말 대신에 여전히 ‘미혼’이라는 말을 사용하는 것이 대표적인 증거입니다. 언니 네트워크(Unni Network)는 얼마 전 ‘비혼식’을 거행했습니다. 아직 결혼하지 않은 상태를 일컫는 미혼 대신 결혼하지 않은 상태를 가치 중립적으로 묘사하는 비혼이란 단어 사용을 촉진하기 위해서였습니다. 비혼식은 자발적으로 결혼하지 않고 싱글의 삶을 선택한 여성들을 위한 싱글 웨딩 세레모니입니다. 이 세레모니에서는 여느 결혼식에서와 같이 하얀 신부 드레스를 입고 신부 화장을 한 여성 주인공이 등장하며 이 여성은 초대한 친구들과 함께 싱글녀로의 삶의 시작을 기념하는 사진 촬영을 진행합니다.

‘비혼식’에 대한 남성들의 반응은 다소 냉소적입니다. 전통적인 남녀 관에 물들어 있는 몇몇 온라인 커뮤니티의 남성 사용자들은 비혼식을 거행하는 여성들을 두고 자기밖에 모르는 이기적인 사람이라 비난하기도 합니다. 그들은 집안일과 보육, 부모 봉양과 같은 일들은 전통적으로 여성들의 몫이라 생각하죠. 더 현대적인 남녀 관을 가진 한 인터넷 커뮤니티의 회원들조차 ‘비혼식’은 아주 유치한 발상이라고 깎아내립니다.

성공회대학의 권김현영 강사는 역대 한국 정부들은 전통적인 남녀 관에 기반을 둔 결혼을 출산 장려의 하나로 여겨왔다고 지적합니다. 하지만 최근 급증하는 싱글족 동향은 이런 정책이 효과가 없음을 여실히 드러내고 있습니다. 한국인들이 1960년대 어머니들이 했던 것처럼 현대 여성들 또한 가정에서 비슷한 역할을 수행하기로 기대하는 이상 싱글족을 선택하는 여성들의 수는 더욱 증가할 것입니다. (이코노미스트)

원문보기

jasonhbae

View Comments

  • 근데 앞으로 미혼,미출산들이 노인이 됬을때 누가 봉양하지?
    은퇴해서 생활비가 충분한 사람은 적을텐데?
    전통적으로는 자녀가 부양했지만 애 안낳았으니 자녀가 없지
    국가가 부양하면 되지만 국가는 젊은이로부터 세금 받아서 노인에게 연금주는거라서 애를 안낳으면 국가도 노인에게 연금을 줄수가 없어
    애 안낳으면 나중에 길거리에서 굶어죽는 사람이 속출할듯

      • 국가가요?
        국가는 젊은이들에게서 세금받아서 노인에게 연금주는건데 전부 노인이면 세금을 누가 냅니까?
        불가능한 얘기입니다

          • 이성 좋아하고 결혼하고 애낳는거도 후손을 낳고(즉 나의 분신이 영원히 살고)노인 부양하려는 목적으로 우리 뇌속에 프로그램이 삽입된거일겁니다.
            즉 노인부양하려고(또 애 낳으려고)결혼한다는건 맞는 말이라는 거죠.
            일부러 그렇게 하는게 아니라 아예 본능이라는 이름으로 뇌속에 프로그램된거.
            근데 현대문명은 본능마져도 왜곡시키는 거죠.

  • 집안일, 보육, 봉양을 모두 여성의 일로 남겨두고 맞벌이 부부 또는 여성 혼자 외벌이 하는 부부조차 남편 가사 분담률이 현저히 낮은 상황에서 여자들이 결혼을 할 거라고 기대할 수는 없다고 봅니다.

  • 여성 뿐 아니라 남편 육아휴직 10주 의무화, 칼퇴근, 야근(회식) 없애기 등 가족 중심의 회사문화 정착이 조속히 시행되지 않으면 전 세계 최저인 한국의 출산률은 더 낮아지겠죠.

  • 저는 이대로라면 결혼 생각 전.혀. 없습니다. 우리는 애를 낳는 사람일 뿐입니다. 그 뒤 키우는 것은 국가가 할 일 이라고 생각합니다. 이건 순전히 국가의 의무입니다. 개인의 의무가 아니라는 거죠.

Recent Posts

[뉴페@스프] 곧 닥칠 ‘고령 사회’, 우리가 던져야 할 질문은 따로 있다

* 뉴스페퍼민트는 SBS의 콘텐츠 플랫폼 스브스프리미엄(스프)에 뉴욕타임스 칼럼을 한 편씩 선정해 번역하고, 글에 관한 해설을…

23 시간 ago

“숨 쉬는 건 범죄가 아니다”…노숙도 마찬가지? 간단치 않은 사정들

미국 연방대법원이 노숙을 불법으로 규정하고 노숙자를 처벌한 지방 정부(시 정부)의 행동이 위헌이라는 사건에 관해 이번…

2 일 ago

[뉴페@스프] Z세대 가치관에 문제 있다? 그런데 부모인 X세대가 더 문제다?

* 뉴스페퍼민트는 SBS의 콘텐츠 플랫폼 스브스프리미엄(스프)에 뉴욕타임스 칼럼을 한 편씩 선정해 번역하고, 글에 관한 해설을…

4 일 ago

기후변화로 인한 ‘변화’가 이 정도였어? 뜻밖의 결과들

기후변화로 인한 이상 기후, 자연 재해는 우리에게 더는 낯선 일이 아닙니다. 아예 "기후 재해"라는 말이…

5 일 ago

[뉴페@스프] 경합지 잡긴 잡아야 하는데… 바이든의 딜레마, 돌파구 있을까

* 뉴스페퍼민트는 SBS의 콘텐츠 플랫폼 스브스프리미엄(스프)에 뉴욕타임스 칼럼을 한 편씩 선정해 번역하고, 글에 관한 해설을…

1 주 ago

데이트 상대로 ‘심리 상담’ 받는 사람을 선호한다고? 운동만 자기 관리가 아니다

보스턴 대학에서 일하는 정신과 의사가 ‘자녀의 정신 건강에 과몰입하는 미국 부모들’에 대한 칼럼을 기고 했습니다.…

1 주 a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