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ies: 과학세계칼럼

필즈 메달, 수학과 정치의 교차점

-프린스턴대학에서 과학사를 전공하고 있는 대학원생의 기고문입니다.

이번 주 서울에서 열리는 세계수학자 대회(International Congress of Mathematicians)에서는 필즈 메달(Fields Medal)의 수상자가 발표됩니다. 1936년 제정 이후, 4년마다 2~4명의 수학자에게 주어지는 이 영예는 흔히 “수학계의 노벨상”이라고 알려졌습니다. 노벨 수학상은 왜 없는가를 두고는 흥미로운 이야기가 전해져 내려옵니다. 라이벌이었던 수학자 고스타 미탁-레플러(Gosta Mittag-Leffler)를 의식해 일부러 수학상을 만들지 않았고, 캐나다의 수학자인 존 찰스 필즈(John Charles Fields)가 그 공백을 채우기 위해 필즈상을 만들었다는 것이죠. 하지만 사실 이 이야기는 낭설에 불과합니다. 우선 노벨이 수학상을 만들지 않은 이유는 단순히 그가 수학에 큰 관심이 없었기 때문입니다. 필즈가 처음부터 노벨상을 노리고 상을 만들었다는 이야기도 근거가 없습니다. 그는 1차대전 이후 국가 간 라이벌 관계와 동맹국 대 연합국 간의 적대만이 지나치게 주목받던 과학계의 분위기 속에서, 전 세계 수학자들 간 단합과 연대를 위해 필즈상을 만들었습니다. 그는 필즈상이 “시샘을 부추길 수 있는 비교”를 지양하고, 과거의 성취보다는 “미래 가능성을 독려할 수 있는” 상이 되기를 바랐습니다. 이는 후에 필즈상이 40세 이하의 젊은 수학자들에게만 수여되는 전통의 근거가 되었죠.

필즈상이 처음부터 지금과 같은 명성을 자랑했던 것은 아닙니다. 1950년에만 해도 수상자 두 사람은 자신들이 수상자로 선정되었다는 연락을 받기 전까지 필즈 메달이 뭔지도 몰랐으니까요. 필즈상이 명실공히 수학계의 노벨상이 된 역사를 돌아보면, 종종 잊히곤 하는 수학과 정치의 교차점이 생생하게 드러납니다. 1966년 8월 5일, 샌프란시스코 이그제미너(San Francisco Examiner)지에는 UC버클리의 수학자 스티븐 스메일(Stephen Smale)이 베트남전 반대 운동에 연루되어 하원의 반미활동조사위원회에 소환되었으나 모스크바로 도주했다는 기사가 실렸습니다. 사실 스메일은 소환장이 나오기도 전에 이미 유럽에 가 있었고, 당시 모스크바에서 열리는 세계수학자 대회에 필즈 메달을 받으러 가고 있었습니다. 그것만으로도 그를 친소련파로 몰아붙이는 여론도 있었지만, 뉴욕타임즈 등 몇몇 언론은 조금 다른 견해를 밝혔습니다. 스메일의 동료가 AP통신과 인터뷰에서 한 말, 즉 “스메일은 수학계에서 노벨상과 가장 가까운 상을 받기 위해 외국으로 간 것”이라는 말을 인용해 보도한 것입니다. 약간의 과장이 들어간 말이었지만, 이 말로 인해 스메일의 입지가 달라졌고 그가 혐의를 벗는데도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이듬해 스메일은 다시 언론의 조명을 받았습니다. 그의 반전 활동을 탐탁지 않게 여긴 세력이 연구비 지원을 받지 못하도록 방해했다는 보도가 나온 것입니다. 하지만 다시 한 번 스메일이 “수학계의 노벨상”을 받은 수학자라는 사실이 부각되면서, 그는 연구비를 지켜낼 수 있었죠. 그러니까 필즈 메달이 노벨상과 엮인 것은 어찌보면 냉전의 산물인 것입니다.

수학자들은 흔히 “세상의 진짜 문제들”과 동떨어진 이미지를 갖고 있기 때문에, 우리는 수학과 정치가 얼마나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는지를 간과하게 됩니다. 스메일의 경우 그의 수학적 업적과 정치 사이에 직접적인 연관은 없지만, 그 연결 고리가 보다 긴밀한 경우도 있습니다. 2차대전 당시 미군은 다양한 분야의 엘리트 수학자들에게 연구비를 지원했죠. 이렇게 수학자들이 군수 산업의 직접적인 수혜자가 되기도 하지만, 비판의 목소리를 높이는 수학자들도 있습니다. 미국 정보 당국의 감시 활동이 도마에 오르자, 수학계에서도 최대 고용주이자 연구비의 출처인 국가안보국(NSA)와 어떤 관계를 맺어야 하는지를 두고 활발한 토론이 진행 중입니다. 스탠포드대의 수학자 키스 데블린(Keith Devlin)은 수학계가 NSA가 헌법을 준수하고 수학적 도구들을 책임감있게 사용하는 모습을 보일 때까지 NSA의 일을 거절해야 한다고 말해 화제를 모으기도 했죠.

수학자인 스메일과 반전 운동을 한 스메일을 따로 생각할 수 없고, 군수 산업의 지원과 수학 연구를 별개로 볼 수는 없습니다. 다른 모든 분야에서 일하는 사람들과 마찬가지로, 수학자들도 수학과 자신의 정체성, 인생의 중요한 결정들을 따로 뗴어놓고 생각할 수 없죠. 수학도 정치적이라는 말에는 수학을 비하하려는 의도가 전혀 없습니다. 오히려 수학이 얼마나 중요한지, 또 얼마나 큰 책임을 갖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말입니다. (NYT)

원문보기

eyesopen1

View Comments

Recent Posts

“궁지 몰리면 무력 충돌 불사할 수도”… 양안 분쟁 발발하면 한국은?

트럼프 대통령이 오늘(20일) 취임했습니다. 4년을 쉬고 두 번째 임기를 시작하는 트럼프 대통령이 국제 질서에 몰고…

1 일 ago

[뉴페@스프] “설마설마했는데 결국?”… 이 사람이 트럼프의 미래일까

뉴스페퍼민트는 SBS의 콘텐츠 플랫폼 스브스프리미엄(스프)에 뉴욕타임스 칼럼을 한 편씩 선정해 번역하고, 글에 관한 해설을 쓰고…

4 일 ago

“불리한 여론 뒤집으려는 말인 줄 알았는데… 뒤에서 웃는 시진핑·푸틴”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이 후보 시절 언급한 적 없다가 당선된 뒤 꺼내 든 의제 가운데 가장…

5 일 ago

[뉴페@스프] ‘백신 음모론자’가 미국 보건 수장 되다… “인신공격은 답 아냐”

뉴스페퍼민트는 SBS의 콘텐츠 플랫폼 스브스프리미엄(스프)에 뉴욕타임스 칼럼을 한 편씩 선정해 번역하고, 글에 관한 해설을 쓰고…

1 주 ago

“LA 산불 반복되는 과학적 이유 있는데… 그게 아니라는 트럼프·머스크”

미국 캘리포니아 남부 LA 일대에서 난 산불로 큰 피해가 났습니다. 사망자도 20명을 넘었고, 강풍에 불길이…

1 주 ago

[뉴페@스프] ‘예스맨의 절대 충성’ 원하는 트럼프…단 하나의 해답 “귀를 열어라”

뉴스페퍼민트는 SBS의 콘텐츠 플랫폼 스브스프리미엄(스프)에 뉴욕타임스 칼럼을 한 편씩 선정해 번역하고, 글에 관한 해설을 쓰고…

1 주 a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