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ies: 경제문화세계

여성의 노동에 정당한 대가를 지불하지 않는 사회

빌 게이츠 재단의 공동설립자인 멜린다 게이츠는 이렇게 말합니다.

대가 없는 가사노동은 우리 사회에 깊게 뿌리박힌 불평등 중 하나지만, 정작 자주 거론되지 않는 문제입니다. 이 문제를 꺼내어 토론하지 않는다면, 여성의 가능성을 실현하기도 어렵습니다.

전체적으로 미국처럼 부유한 국가는 멕시코처럼 가난한 국가보다 무임금노동과 임금노동 간의 격차가 적었습니다. 전 세계적으로 여성은 하루 평균 약 4.5시간을 무임금노동, 즉 장보기나 육아, 세탁에 씁니다. OECD 데이터에 따르면 이는 남성이 소모하는 시간의 거의 두 배에 달합니다. 남성은 두드러지게 더 많은 시간을 임금노동 및 여가활동, 즉 스포츠, TV, 친구들과 만남에 사용했습니다.

만일 여성이 무임금노동에 쓰이는 시간을 5시간에서 3시간으로 줄이면 여성의 노동생산성은 약 10% 증가합니다. 여성이 교육받지 않는다면 그 자녀는 덜 건강하고 더 가난하게 자랍니다. 남성이 무임금노동에 더 많은 시간을 할애하거나, 둘 다 무임금노동에 들어가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면, 여성은 임금노동 및 교육에 더 많은 시간을 쓸 수 있습니다.

무임금노동에 들어가는 시간을 줄이는 방안에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테크놀로지는 가사노동시간을 줄이는 데 큰 몫을 합니다. 또한, 유급 육아휴직 같은 정책도 무임금노동을 분배하는 방안입니다. 유급 출산휴가를 얻으면 여성이 직장을 그만둘 확률이 낮아지며, 남성이 출산휴가를 얻으면 자녀를 돌보는 데 더 많은 시간을 투자할 수 있습니다.

문화를 달리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멜린다 게이츠는 말합니다. 멜린다가 첫째 딸을 유치원에 보내고 데려오는 데 드는 시간으로 어려워하자, 마이크로소프트의 경영자인 빌은 일주일에 이틀씩 딸의 통학을 맡기로 했습니다. “엄마들은 집으로 돌아가 남편에게 말하기 시작했죠. 빌 게이츠도 자기 딸을 직접 통학시키는데, 당신은 우리 아이들한테 그렇게 못 해주냐고요. 행동을 바꾸고 싶다면, 스스로 롤모델이 되어야 합니다.”

(뉴욕타임스)

원문보기

Hortensia

Recent Posts

[뉴페@스프] ‘미라클 모닝 이렇게 좋은데 왜 다들 안 하냐고요?’ 새해 결심 세우려 한다면…

뉴스페퍼민트는 SBS의 콘텐츠 플랫폼 스브스프리미엄(스프)에 뉴욕타임스 칼럼을 한 편씩 선정해 번역하고, 글에 관한 해설을 쓰고…

2 일 ago

“전쟁 반대” 외치지만… 반대해야 할 가장 큰 이유를 놓치지 않았나요?

우크라이나와 가자지구에서 몇 년째 계속된 전쟁으로 수많은 사람이 목숨을 잃었습니다. 화를 면한 이들도 삶의 터전을…

2 일 ago

[뉴페@스프] 일상 덮친 참사 트라우마… 슬픔을 제대로 받아들이는 법

뉴스페퍼민트는 SBS의 콘텐츠 플랫폼 스브스프리미엄(스프)에 뉴욕타임스 칼럼을 한 편씩 선정해 번역하고, 글에 관한 해설을 쓰고…

4 일 ago

“선 넘는 대통령, 저항은 미미”… 트럼프 ‘독재 야망’ 꺾으려면

뉴욕타임스 칼럼니스트 마샤 게센은 트럼프가 법치(rule of law) 대신 권위주의적 통치에 필요한 법(law of rule)을…

5 일 ago

[뉴페@스프] “지독한 구두쇠” 욕하며 읽었는데 반전… 물질만능 사회에 주는 울림

뉴스페퍼민트는 SBS의 콘텐츠 플랫폼 스브스프리미엄(스프)에 뉴욕타임스 칼럼을 한 편씩 선정해 번역하고, 글에 관한 해설을 쓰고…

7 일 ago

[뉴페@스프] “트럼프, 저 좀 만나주세요”…’얼굴 도장’ 찍으려 줄 선 기업인들

뉴스페퍼민트는 SBS의 콘텐츠 플랫폼 스브스프리미엄(스프)에 뉴욕타임스 칼럼을 한 편씩 선정해 번역하고, 글에 관한 해설을 쓰고…

1 주 a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