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ies: IT경제칼럼

[마크 안드레센 칼럼] 저는 로봇이 모든 직업을 없앨 거라 생각하지 않습니다.

최근 들어 “로봇이 미래의 일자리를 대체할 것이다”는 주장이 화두가 되고 있습니다. (관련 뉴스페퍼민트 기사 보기: 로봇이 미래 일자리를 대체할까요? 이미 그러고 있어요) 오래 전 산업혁명 때 나온 러디즘(Luddism: 기계화와 새로운 기술에 반대하는 러다이트 운동)이라는 책에서는 세상에 해야 할 업무의 양이 정해져 있다고 주장합니다. 이에 경제학자 밀턴 프리드만은 인간의 욕망은 무한하므로 해야 할 일이 끝없이 생길 것이라고 반박하지요. 산업 혁명 후에도 해야 할 업무가 있었던 것처럼, 지금의 로봇 혁명 후에도 새로운 일자리가 생겨날 겁니다.

소비자로서, 더 좋은 삶의 질을 누리게 해줄 상품과 서비스가 나타나는 건 당연히 환영할 일입니다. 그렇다면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직업을 잃게 될 ‘생산자’를 보호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할까요?
첫째, 평등한 교육을 보장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이는 기술의 발전을 통해 가능해질 것입니다.
둘째, 시장이 제대로 그 기능을 발휘하여 자본과 노동력이 효율적으로 재분배되어야 합니다.
셋째, 튼튼한 사회적 안전망을 구축하여 기술 발전의 소용돌이에서 직업을 잃은 사람도 기본적인 삶의 기반은 누릴 수 있어야 합니다.
(관련 뉴스페퍼민트 기사(폴 크루그만 칼럼) 보기)

로봇이 생산을 담당하는 것이 인력 투입보다 적은 비용이 적게 든다면 경제학의 원리 상 물가가 내려갈 겁니다. 농업이나 제조업에서 기계가 인간을 대체하면서 생산가가 떨어지고 인간의 삶의 질이 올라간 걸 예로 들 수 있죠. 가난한 이를 보호하기 위해 로봇의 도입을 막는다면 가난한 이들은 저렴한 가격의 상품을 누릴 수 없게 됩니다. 자유무역의 원리에서 흔히 나오는 이야기로, 관세를 붙일수록 자국인이 같은 상품을 더 비싸게 구매하게 되어 오히려 손해를 입게 된다는 이야기지요.

인류의 생산성 향상은 연 1%에서 2011년 이후 0.8%로 완화되는 추세입니다. 그러나 2000년대 초반 경제 침체로 자본의 움직임이 둔화되었던 걸 감안하면 기술로 인한 생산성 발전은 여전히 빠른 속도를 자랑합니다. 2020년이면 지구 상의 모든 인간이 스마트폰, PC, 타블렛 등의 단말을 가지고 인터넷에 접속해 세상의 정보, 커뮤니케이션, 교육에 접근하고 글로벌 시장 경제에 참여하는 새로운 세상이 열릴 겁니다.

살아남기 위해 하는 업무를 로봇이 대체하면 어떤 세상이 열릴까요? 저는 인간이 깊은 내면의 질문에 귀를 기울일 것이로 생각합니다. 문화, 예술, 순수과학, 창의력, 철학, 실험, 더 많은 아이디어와 모험이 나타나지 않을까요? 인류 역사상 처음으로 모든 인간이 왕만이 누릴 수 있었던 삶을 살게 됩니다. 100억 인구 중 60억 인구가 문화, 예술, 과학, 탐방과 배움에 종사하는 세상을 생각해보세요.

자, 다시 한 번, 저는 로봇이 모든 인간의 일자리를 대체할 것이라고 빋지 않습니다.
첫째, 벤쳐캐피탈라스트로서 최첨단 기술에 투자해오면서 로봇이 그 정도 경지에 다다르려면 아직도 수십 년이 걸릴 것이라는 걸 알고 있기 때문이지요.
둘째, 로봇 기술이 발전한다 해도 창의력, 혁신, 예술, 오락 등 인간만이 할 수 있는 분야가 여전히 있습니다.
셋째, 자동화 기술이 발전할수록 인간의 노동력 가치가 올라갑니다. 레코드 가격은 내려가도 콘서트 입장권은 점점 오르는 것, 수제 가죽 가방이나 정성 들여 로스팅한 고급 커피의 가격이 오르는 것을 예로 들 수 있지요.
넷째, 100년 전 인류가 할 일이 무엇이 될지 몰랐듯이 앞으로 100년 후에는 또 새로운 직업이 나타날 겁니다.
저는 인간의 창의력이 미래에 더욱 꽃피리라 믿습니다. (마크 안드레센 블로그)

원문보기

heesangju

샌프란시스코에서 프로덕트 매니저로 일하고 있습니다. 기술의 발전과 열린 인터넷이 인류의 진보를 도우리라 믿는 전형적인 실리콘밸리 테크 낙천주의자 너드입니다. 주로 테크/미디어/경영/경제 글을 올립니다만 제3세계, 문화생활, 식음료 관련 글을 쓸 때 더 신나하곤 합니다. 트위터 @heesangju에서 쓸데없는 잡담을 하고 있습니다.

View Comments

  • 글쎄요.. 정말 창의적인 일 (그러면서 동시에 안정적으로 돈을 벌 수 있는 직업), 예술, 엔터테인먼트 관련 일을 지구 인류의 몇 퍼센트나 할 수 있을까요? 저개발국을 제외하고 중진국, 선진국에 사는 사람들만 놓고 본다고 하더라도 전체 인구의 20% 이상이 이런 일을 할 수 있다고 믿는다면... 거대한 착각이라고 봅니다. 지금도 많은 사람들이 서비스 비정규직으로 겨우 입에 풀칠하면서 살고 있는데, 로봇기술이 더 발전되면 이런 일자리마저도 간단한 것은 로봇이 하게 될 가능성이 높지 않을까요?

    • 글쓴이의 말대로 모두 왕과 교주수준의 생활을 영위하면 '그런 일자리'에서 일하고 싶은 사람은 그냥 취미삼아 할 수 있겠지만 누가 '필요'에 의해서 할까요?

    • 역자입니다. 글쓴이가 바로 그 부분에서 로봇기술이 발전하면 간단한 것은 로봇이 하고 인류가 창의적이고 즐거운 일을 할 시간을 벌 거란 주장입니다. 모두가 창의적이면서도 '안정적으로 돈을 벌 것'이란 언급은 없었죠. 로봇이 간단한 생필품을 만들게 되면 농업혁명처럼 생필품 단가도 내려갈 것이고, 장기적으로 볼 때 인류가 종사하는 직업군의 그림이 변화할 것이란 주장입니다.

    • 원문의 해당부분을 읽어보면 '향후 반세기의 예측'이 아니라 '추정 생각들'이라고 자기변호를 추가적으로 하네요. 물론 저 번역문을 읽은 사람들중에 몇몀이나 저게 예측이라고 생각할까요. 상상해보세요.
      역자분이 글을 짧게 만드는 과정에서 원작자의 변호성 문장들을 흘려버렸네요. 전 영어를 잘 못해서 항상 원문은 안 읽는데 오늘 불만글을 쓰는 분이 두분이나 계시길래 딱 그 불만 대상만 읽어봤어요.

      • 딱 그부분만 읽으면 전체의 문맥을 파악하기 어렵죠. 뉴스페퍼민트는 글을 번역 '요약' 하는 매체로 독자의 편의를 위해 길이를 줄이려 노력하나 가능한 분은 원문전체를 읽어보기를 권장합니다. 개인의 블로그에서 나온 '의견'으로 뉴스매체가 아니란 걸 알리기 위해 제목에(마크 안드레센 칼럼) 이라고 달아놓았는데 뉴스페퍼민트를 꾸준히 보시다 보면 알 수 있었으리라 생각합니다.

  • 뒤에서 두번째 문단, "살아남기 위한 먹고 자는 일들을 모두 로봇이 알아서 해준다면, 어떤 세상이 열릴까요?" 은 웃긴 번역실수네요. ㅎ 먹고자는건 양보 못합니다 전

  • 제 생각에 문제는 글에서 나온 3가지 항목이 개선되는 속도는 더딘데 비하여 기술발전이 이를 기다려 주지 않는다는데 있습니다.

Recent Posts

[뉴페@스프] 공격의 고삐 쥔 트럼프, TV 토론으로 승리 방정식 재현할까?

* 뉴스페퍼민트는 SBS의 콘텐츠 플랫폼 스브스프리미엄(스프)에 뉴욕타임스 칼럼을 한 편씩 선정해 번역하고, 글에 관한 해설을…

3 일 ago

“‘기생충’처럼 무시당한 이들의 분노” vs “트럼프 지지자들, 책임 돌리지 말라”

뉴욕타임스 칼럼니스트 브렛 스티븐스가 "진보 진영의 잘난 척"에 대한 반감이 트럼프에게 승리를 안겨다줄 수 있다는…

4 일 ago

[뉴페@스프] “‘진짜 노동자’의 절망, 내가 누구보다 잘 안다” 미국 대선의 진짜 승부처는 여기

* 뉴스페퍼민트는 SBS의 콘텐츠 플랫폼 스브스프리미엄(스프)에 뉴욕타임스 칼럼을 한 편씩 선정해 번역하고, 글에 관한 해설을…

5 일 ago

이번 대선은 50:50? “트럼프도, 해리스도 아닌 뜻밖의 변수는…”

미국 대선이 일주일 앞으로 다가왔지만, 선거 결과는 여전히 예측하기 어려운 팽팽한 접전이 펼쳐지고 있습니다. 특히…

1 주 ago

[뉴페@스프] 이야기꽃 피우다 뜨끔했던 친구의 말… “조금씩 내 삶이 달라졌다”

* 뉴스페퍼민트는 SBS의 콘텐츠 플랫폼 스브스프리미엄(스프)에 뉴욕타임스 칼럼을 한 편씩 선정해 번역하고, 글에 관한 해설을…

1 주 ago

[뉴페@스프] 스벅 주문법이 3천8백억 개? 창업자 호소까지 불러온 뜻밖의 악순환

* 뉴스페퍼민트는 SBS의 콘텐츠 플랫폼 스브스프리미엄(스프)에 뉴욕타임스 칼럼을 한 편씩 선정해 번역하고, 글에 관한 해설을…

1 주 a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