곤충을 반려동물로 기르는 곤충애호가들에게는 이 질문이 바보같이 들릴 겁니다. 그들은 공격적인 곤충과 부끄러움을 타는 곤충들이 있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또 어떤 곤충은 모험심이 강해 새로운 곳을 돌아다니기 좋아하는 반면, 어떤 곤충은 벽 뒤로 숨는 것을 좋아합니다. 그러나 이런 개인적인 관찰의 수준을 넘어, 과학자들은 곤충의 성격에 어떤 측면들이 있으며, 같은 종 안에서도 성격은 어떤 차이를 만드는지를 연구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일리노이의 한 연구팀은 꿀벌의 “탐험가적 기질”을 연구했습니다. 이들은 새로운 둥지를 찾아 나서는 꿀벌들이 음식을 찾아 나서는 습성 또한 가지고 있음을 발견했습니다. 이는 곤충들에게 돌아다니기를 좋아하는 성격을 부여하는 유전적 요인 또는 다른 요인이 있을 가능성을 의미합니다.
“많은 사람들은 곤충들이 모두 비슷한 행동양식을 가질 것으로 생각합니다.”
헝가리 데브레첸 대학의 에니케 규리스는 개똥벌레들을 대상으로 세 가지 독립적인 성격인 “대담성(boldness)”, “활동성(activity)”, “탐구성(explorativeness)”을 측정하였습니다. 이들은 개똥벌레를 열린 유리병에 넣은 후 이들의 행동을 관찰했습니다. 어떤 개똥벌레는 즉시 유리병을 빠져나왔지만, 유리병 안에 10분 이상 머무른 개똥벌레도 있었습니다. 그리고 유리병을 빠져나온 개똥벌레의 움직임 역시 그들의 성격을 말해주었습니다.
“우리는 개똥벌레들에게 개성이 있음을 발견했습니다. 각 개똥벌레는 자신의 성격에 맞는 일관된 행동패턴을 보였습니다.”
(Popular Science)
뉴스페퍼민트는 SBS의 콘텐츠 플랫폼 스브스프리미엄(스프)에 뉴욕타임스 칼럼을 한 편씩 선정해 번역하고, 글에 관한 해설을 쓰고…
우크라이나와 가자지구에서 몇 년째 계속된 전쟁으로 수많은 사람이 목숨을 잃었습니다. 화를 면한 이들도 삶의 터전을…
뉴스페퍼민트는 SBS의 콘텐츠 플랫폼 스브스프리미엄(스프)에 뉴욕타임스 칼럼을 한 편씩 선정해 번역하고, 글에 관한 해설을 쓰고…
뉴욕타임스 칼럼니스트 마샤 게센은 트럼프가 법치(rule of law) 대신 권위주의적 통치에 필요한 법(law of rule)을…
뉴스페퍼민트는 SBS의 콘텐츠 플랫폼 스브스프리미엄(스프)에 뉴욕타임스 칼럼을 한 편씩 선정해 번역하고, 글에 관한 해설을 쓰고…
뉴스페퍼민트는 SBS의 콘텐츠 플랫폼 스브스프리미엄(스프)에 뉴욕타임스 칼럼을 한 편씩 선정해 번역하고, 글에 관한 해설을 쓰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