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ies: 세계

(스티글리츠 칼럼) 마틴 루터 킹 목사가 나의 연구에 끼친 영향

마틴루터킹이 1963년 8월 28일 그 유명한 “나에게는 꿈이 있습니다.” (I have a dream) 연설을 할 때 저는 그 자리에 서 있었습니다. 스무살, 대학을 갓 졸업하고 MIT에서 경제학 박사 공부를 시작하기 직전이었죠. 킹 목사의 연설은 굉장히 감동적이었습니다. 저도 그 수많은 차별을 목격하고 경험한 세대입니다. 애머스트 칼리지(동부 매사추세츠 주 소재) 학생회장 시절 인종차별 철폐를 지지하기 위해 남부에 내려갔을 때, 저는 인종차별을 유지하려는 남부의 폭력적인 가치관을 도무지 이해할 수 없었습니다. 흑인 학생만 있는 대학에 갔을때는 이들이 교육의 기회를 어떻게 박탈당했는지도 적나라하게 목격했습니다. 그동안 우리는 얼마나 격리되어 특권층의 교육을 받아왔는지요. 아메리칸 드림의 초라한 현실이었습니다.

인디아나의 게리라는 소도시에서 빈곤, 고용불안정, 인종 차별을 보며 자란 저는 이 문제를 해결하고 싶었고, 이론 물리학을 공부하려던 계획을 바꿔 경제학 공부를 시작했습니다. 그 당시의 경제학계에서는 시장 경제학의 기적을 믿는 아담 스미스가 대세였고, 불평등에 관심많은 저는 곧 별종이 되었습니다. 경제학에서 실업은 그 노동자의 책임입니다. 노벨경제학상 수상자인 시카고 대학의 로버트 루카스 쥬니어는 “경제학의 기반을 구축하는데 가장 해가 되는 것은 분배를 논의하는 것이다” 라고 말합니다. 또다른 시카고학파 게리 베커는 완전 경쟁인 노동시장에는 차별이 존재할 수 없다고 주장하고요. 저는 그게 궤변이란 걸 입증하기 위해 싸워왔습니다.

지난 50년을 돌아보면, 우리의 포부와 우리가 실제로 이룬 것의 간극이 얼마나 큰 지 모릅니다. 적어도 하나의 ‘유리천장’은 깨졌죠. 흑인 대통령을 두고 있으니깐요. 그러나 인종간 경제적 격차는 여전히 나라 전체를 갈라놓고 있습니다. 아직도 주요 미국은행은 인종에 따라 차별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고, 직업 시장을 보면 흑인 이름이면 인터뷰 요청을 덜 받는 다는 연구결과도 있습니다. 불심 검문도 흑인만 당하고, 전세계에서 제일 가는 미국 감옥 수감자의 40%도 흑인입니다. 간단히 숫자로 말해보죠. 2011년 흑인 가족 수입의 중간값은 $40,495로 백인 가족의 58%에 불과합니다. 2009년 백인 가족 재산의 중간값은 흑인 가족의 20배에 달했습니다. 2007년~2009년 경제 위기가 특히 하층민에게 큰 타격을 입히면서 격차가 엄청나게 벌어졌죠. (관련 뉴스페퍼민트 기사) 미국이 기회의 땅이란건 다 구호일 뿐입니다. 지금 미국 청소년의 미래는 부모의 수익과 교육수준에 달려있습니다. 차별, 교육, 직업의 기회가 그대로 세습되는 건 경제적 계급에 따라 모여사는 현상이 심해지면서 백인의 12%만이 빈곤가에 사는 반면 흑인은 45%가 빈곤가에 사는 것도 중요한 원인이 됩니다.

마틴 루터킹 목사가 39세에 저격으로 사망하지 않았더라면 지금 84세 였을 겁니다. 그는 이런 차별이 사회의 암적인 존재라는 걸 잘 알고 있었습니다. 그리고 “꿈꾸는 것” 만으로는 충분치 않다는 건 더 잘 알고 있었죠. (NY Times)

(역자주: 조셉 스티글리츠는 노벨경제학상을 받은 신 케인즈학파 경제학자로 현재 컬럼비아 대학 교수입니다. 전 세계은행 부총재를 역임했고, 국내에는 ‘불평등의 대가’ ‘경제 민주화를 말하다’ 등의 책이 소개되어있습니다.)

원문보기

heesangju

샌프란시스코에서 프로덕트 매니저로 일하고 있습니다. 기술의 발전과 열린 인터넷이 인류의 진보를 도우리라 믿는 전형적인 실리콘밸리 테크 낙천주의자 너드입니다. 주로 테크/미디어/경영/경제 글을 올립니다만 제3세계, 문화생활, 식음료 관련 글을 쓸 때 더 신나하곤 합니다. 트위터 @heesangju에서 쓸데없는 잡담을 하고 있습니다.

View Comments

Recent Posts

[뉴페@스프] 경합지 잡긴 잡아야 하는데… 바이든의 딜레마, 돌파구 있을까

* 뉴스페퍼민트는 SBS의 콘텐츠 플랫폼 스브스프리미엄(스프)에 뉴욕타임스 칼럼을 한 편씩 선정해 번역하고, 글에 관한 해설을…

3 일 ago

데이트 상대로 ‘심리 상담’ 받는 사람을 선호한다고? 운동만 자기 관리가 아니다

보스턴 대학에서 일하는 정신과 의사가 ‘자녀의 정신 건강에 과몰입하는 미국 부모들’에 대한 칼럼을 기고 했습니다.…

4 일 ago

[뉴페@스프] 습관처럼 익숙한 것 너머를 쳐다볼 때 비로소 보이는 것

* 뉴스페퍼민트는 SBS의 콘텐츠 플랫폼 스브스프리미엄(스프)에 뉴욕타임스 칼럼을 한 편씩 선정해 번역하고, 글에 관한 해설을…

6 일 ago

‘사이다 발언’에 박수 갈채? 그에 앞서 생각해 볼 두 가지 용기

하마스가 이스라엘을 상대로 테러 공격을 벌인 뒤 그에 대한 반격으로 시작된 이스라엘의 가자지구 군사 작전…

7 일 ago

[뉴페@스프] 점점 더 커지는 불평등의 ‘사각지대’가 있다

* 뉴스페퍼민트는 SBS의 콘텐츠 플랫폼 스브스프리미엄(스프)에 뉴욕타임스 칼럼을 한 편씩 선정해 번역하고, 글에 관한 해설을…

2 주 ago

선거제 허점 악용해도 견제할 방법, 저기도 없네?!

미국 대선에서는 주별로 배정된 선거인단의 투표 결과를 집계해 과반(최소 270명)을 득표한 사람이 당선됩니다. 선거인단을 어떻게…

2 주 a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