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ies: 과학

밀그램의 복종실험의 의미:II

밀그램은 자신의 실험결과를 인간이 위계질서하에서는 “도덕적 주체”에서 “복종의 객체”로 전환된다는 방식으로 설명했고 다음과 같은 말을 남겼습니다.

“나는 내가 이 이야기를 강연에서 꺼낼 때마다 젊은이들이 자신은 절대 그 실험의 지원자처럼 행동하지 않을 것이라고 주장하는 것을 봅니다. 그리고 몇달 뒤, 나는 그들이 전쟁터에서 피해자에게 가하는 행위를 보게 되고, 이것은 나를 항상 놀라게 합니다.”

밀그램의 이 말은 매우 예리한 관찰입니다. 2009년 데이브 그로스만의 “살인의 심리학(On Killing)”은 병사의 가장 큰 동기는 정치나 이데올로기가 아닌 동료애임을 말했습니다.

인간은 사회적 영장류로 진화해 왔고, 진화과정에서 우리는 우리의 도덕을 가족, 친구, 그리고 우리가 속한 사회와 일치시켜 왔습니다. 우리는 단순히 권위에 복종하지 않으며 자신이 속한 도덕적 공동체가 가리키는 바를 따르게 됩니다.

올해 “심리과학의 시각(Perspectives on Psychological Science)지”에 실린 “밀그램 실험의 재해석 연구”역시 여기에 바탕을 두고 있습니다. 그들은 인간이 “일체감에 의한 복종(identification-based followership)”에 따라 움직인다고 보았고 지원자가 “지시자 및 과학자 집단”과 일체감을 느끼는가 또는 “피해자 및 일반대중”과 일체감을 느끼는가에 따라 지원자의 복종의 정도가 달라지며, 이를 통해 밀그램의 실험을 성공적으로 설명했습니다.

밀그램 모델의 또 다른 단점은 아렌트가 “악의 평범성”에서 보여준 아돌프 아이히만과 그 집단의 악행을 단순히 위계질서하에서 복종하는 인간으로 묘사한다는 점입니다. 그러나 2002년 역사학자 야코프 로조윅이 “히틀러의 관료들”에서 설명했듯이 아이히만과 그의 수하들은 오랜 시간동안 유대인을 학살하기위해 치밀하게 준비했습니다.

독일 비밀경찰(SS) 중의 한 명인 칼 크레츠머가 1992년 쓴 “좋았던 날들(The Good Old Days)”에서 남긴 이 말은 그들이 악인들이었다는 사실을 알려주는 또 하나의 증거입니다.

“인간은 약하기때문에 사람들을 죽이는 것은 쉽지 않다. 이것을 극복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더 자주 죽이는 것이다. 그러면 이것은 습관이 된다.”

다행히, 인류가 가진 도덕성은 그 사람들의 나쁜 습관을 다시 고칠 수 있었습니다. (Scientific American)

원문 보기

veritaholic

Recent Posts

트럼프-머스크의 거침없는 공세, 그들에 맞서 본분을 지키려는 이들

지난 2022년 11월 스브스프리미엄의 시작과 함께 뉴욕타임스 칼럼을 골라 번역하고 해설을 달아온 스프x뉴욕타임스 코너의 마지막…

2 일 ago

[뉴페@스프] “미국 떠받쳐온 힘인데 무색해질 판… 그런데도 나만 좀 봐달라?”

뉴스페퍼민트는 SBS의 콘텐츠 플랫폼 스브스프리미엄(스프)에 뉴욕타임스 칼럼을 한 편씩 선정해 번역하고, 글에 관한 해설을 쓰고…

3 일 ago

머스크가 자초한 테슬라의 위기…반전 드라마? 도태의 시작?

일론 머스크는 지난 대선 기간에 트럼프 대통령의 당선에 '올인'하더니, 트럼프 대통령 취임 후에는 정부효율부(DOGE) 수장이…

1 주 ago

[뉴페@스프] 트럼프 또 폭탄 발언… “종잡을 수 없는 트럼프, 움직이게 하는 방법”

뉴스페퍼민트는 SBS의 콘텐츠 플랫폼 스브스프리미엄(스프)에 뉴욕타임스 칼럼을 한 편씩 선정해 번역하고, 글에 관한 해설을 쓰고…

1 주 ago

[뉴페@스프] ‘전원 사망’ 참사 브리핑에 나온 그들… “트럼프 말씀이 맞습니다”

뉴스페퍼민트는 SBS의 콘텐츠 플랫폼 스브스프리미엄(스프)에 뉴욕타임스 칼럼을 한 편씩 선정해 번역하고, 글에 관한 해설을 쓰고…

1 주 ago

“불의를 멈춰달라” 감동의 목소리…이·팔 합작 다큐의 여운

제97회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장편 다큐멘터리를 수상한 작품 "노 아더 랜드"에 대한 각계의 반응을 둘러싸고 계속 많은…

2 주 a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