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스페퍼민트는 SBS의 콘텐츠 플랫폼 스브스프리미엄(스프)에 뉴욕타임스 칼럼을 한 편씩 선정해 번역하고, 글에 관한 해설을 쓰고 있습니다. 그 가운데 저희가 쓴 해설을 스프와 시차를 두고 소개합니다. 스브스프리미엄에서는 뉴스페퍼민트의 해설과 함께 칼럼 번역도 읽어보실 수 있습니다.
**오늘 소개하는 글은 6월 3일 스프에 쓴 글입니다.
제가 정의하는 ‘연결’은 에너지입니다. 누군가가 나를 진심으로 봐주고, 들어주고, 가치 있게 여긴다고 느낄 때, 두 사람이 서로 아무런 가치판단 없이 무언가를 주고받을 수 있을 때, 그리고 그들이 그 관계에서 위안과 힘을 얻을 때, 바로 그때 두 사람 사이에 존재하는 에너지요. – 브레네 브라운(Brené Brown)
오픈AI가 최근 발표한 ‘GPT-4o’를 보며 2013년 영화 “그녀(Her)”를 떠올리신 분이 많을 겁니다. 실제로 10년 전 영화의 실사판이 나온 거 아니냐는 말도 많았죠. 인공지능은 여러모로 사람을 아주 비슷하게 흉내 낼 수 있다는 게 하루하루 밝혀지는 요즘입니다.
나날이 발전하는 인공지능을 보며 놀라는 일도 이제 진부할 만큼 기술의 발전 속도는 빠릅니다. AI의 눈부신 발전 속도를 생각하면, 인간이 외로움을 AI로 달랠 수 있으리라 기대하는 것도 무리는 아닙니다. 일부 과학자와 기업가들은 이미 AI를 이용해 인간의 외로움을 해소하려고 이런저런 시도를 하고 있습니다. 그런 상황에서 제시카 그로스가 쓴 칼럼은 단연 눈에 띕니다. 그로스는 AI가 외로움의 해결책으로 떠오른 현실에 분명한 우려를 표합니다.
전문 번역: ‘그녀’라면 여친보다 나을 것이라고?… AI가 외로움까지 해결할 수 있을까
그로스의 칼럼을 살펴보기에 앞서 먼저 외로움이 무엇인지 짚고 넘어가야 할 것 같습니다.
‘침묵의 전염병(silent epidemic)’이라는 말 들어보셨을 겁니다. 국내 언론에서도 외로움을 일컫는 표현으로 여러 번 소개된 바 있습니다. 외로움은 우울증, 불안장애, 중독과 같은 정신건강 문제와 밀접한 관련이 있고, 하루 15개비의 담배, 6잔의 술을 마시는 것과 비교될 만큼 우리의 건강에 나쁜 영향을 끼칩니다. 또한, 외로운 사람은 심혈관 질환, 치매, 뇌졸중 등 질환을 앓을 확률도 높습니다.
이렇게만 얘기하면 외로움을 정의하고 그 원인을 찾는 일이 어렵지 않아 보이지만, 사실 이는 그렇게 간단치 않습니다. 사람마다 원하는 사회적 관계의 수준은 다 다릅니다. 어떤 사람은 바라는 인간관계의 폭이 매우 넓을 수 있고, 또 누군가는 소수의 깊은 인간관계를 선호할 수도 있습니다. 전자의 경우에는 연결의 폭이 비교적 넓은데도 외로움을 느낄 수 있고, 후자의 경우는 연결 대상이 몇 명 없어도 외롭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처럼 사람의 기대와 성향에 따라 외로움은 인간관계의 객관적 상황과 크게 연관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외로움의 학술적인 정의는 “본인이 바라는 수준의 사회적 관계와 현실 사이의 괴리에서 발생하는 ‘주관적 불편감'”입니다.
‘나 혼자’ 사회의 외로움
오늘날 우리 사회의 키워드는 ‘혼자’가 아닐까요. 한국의 1인 가구는 40%가 넘습니다. 사람들은 혼자 살고, 혼자서 밥을 먹고, 혼자 방에서 유튜브를 봅니다. 그렇다면 이렇게 혼자 사는 사람들의 사회는 만족스러울까요? 아니면 더 외로울까요?
최근 전국의 만 19~59세 성인 남녀 1천 명을 대상으로 한 “2024 외로움 관련 인식 조사”를 보면, 한국 사회에서 평소 외로움을 느끼는 사람은 57%나 됩니다. 사람들이 외로움을 해소하기 위해 하는 행위로는 TV 시청, OTT, 음악 듣기 등 여전히 혼자서 하는 취미 활동이 가장 많았습니다.
이런 배경을 고려하면, 친구나 연인은 말할 것도 없고 상담가와 같은 정신건강 전문가까지 AI가 대체하는 세상이 올 거란 예측이 나오는 건 어쩌면 당연해 보입니다. 저는 정신과 의사지만, AI가 저와 같은 정신건강 전문가를 대체할 수 있느냐 없느냐는 사실 걱정하지 않습니다. 저는 상담가와 내담자(상담받는 사람) 사이의 ‘연결(connection)’이 아주 중요하다고 굳게 믿는 사람이고, 그에 관한 책까지 썼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AI가 정신건강 전문가를 대체할 수 있다는 생각에 동의하지 않습니다.
제가 우려하는 건 따로 있습니다. AI를 이용해 외로움을 해결하려는 시도를 자꾸 하다 보면, 사람들이 오히려 다른 사람과 관계를 맺고 연결되는 데 서툴러질 수 있습니다. 그러다 혹 사람과 사람 사이의 연결이 외려 줄어들고 어려워지는 상황이 제가 가장 우려하는 상황입니다.
그로스의 칼럼에도 등장한 뉴욕대학교 에릭 클라이넨버그 교수의 말을 인용해 설명하면 이렇습니다. 즉, 누구나 적당한 수준의 외로움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를 해소하려고 다른 사람과 연결되는 대신 손쉽게 AI에 의존하면 당장은 외로움을 해소하는 데 도움이 될지 모르지만, 장기적으로는 오히려 타인과의 단절감을 심화할 수도 있습니다.
AI가 궁극적인 해결책이 될 수 없는 이유
제가 매일 만나는 환자들 가운데 외로움을 호소하는 환자는 생각보다 많습니다. 외로움을 정의하기 어려운 것처럼 사람마다 외로움을 느끼고 외로움에 힘들어하는 원인도 다양합니다. 제 임상 경험을 토대로 AI가 외로움을 일시적으로 줄여주는 데는 효과가 있을지 몰라도 궁극적인 해결책이 될 수 없는 이유를 들어 보면, 다음 두 가지를 꼽을 수 있습니다.
첫째, 외로움의 기저에는 ‘연결감(connectedness)’에 대한 갈망이 존재합니다. AI가 외로움을 해소해 줄 거라는 기대는 외로움의 연결성 또는 외로움의 양방향성을 간과했기 때문에 기대에 부응하지 못할 가능성이 큽니다. 즉, 단지 누군가 내 말을 들어주고 내 질문에 잘 대답해 주기보다는, 나와 다른 누군가와 서로 연결되는 경험이 바탕이 되어야 외로움이 해소될 수 있습니다. 브레네 브라운 박사의 말처럼 두 사람이 연결될 때 발생하는 에너지가 외로움을 줄여주는 겁니다.
클라이넨버그 교수가 든 예처럼 만약 지금 새로운 팬데믹이 덮쳐 우리 모두 폐쇄된 집에서 AI와 단둘이 갇혀 지내야 한다면 어떨까요? 우리 중에 그래도 AI가 있으니 외롭지는 않겠다며 마음을 놓는 사람은 거의 없을 겁니다. 여전히 다른 사람과의 접촉을 갈구하며, 그러지 못하는 상황을 걱정하는 사람이 훨씬 더 많겠죠.
둘째, 제가 환자들을 통해 배운 외로움의 또 다른 기원은 ‘누구도 나를 필요로 하지 않은 경험’과 매우 밀접히 맞닿아 있습니다. 좀 더 풀어 말하면, 세상에 나를 찾는 사람이 아무도 없다는 자각이 외로움에 기여합니다. 가령 미국의 어르신 중에는 반려견이나 반려묘를 키우는 사람이 아주 많습니다.
그런데 반려동물이 외로움을 경감해주는 효과는 어디서 오는 걸까요? 많은 사람이 생각하는 반려동물과 나누는 정서적 교류뿐만 아니라 ‘나를 필요로 하는 생명체가 있다는 사실’ 자체가 주는 효과가 상당히 큽니다. 즉, 내가 밥을 주고, 산책시키고, 돌봐줄 수 있는 존재, 뒤집어 말하면 내가 없으면 밥도 잘 못 먹고 산책도 못하고 돌봐줄 이 없이 쓸쓸해질 대상이 있다는 사실이 외로움을 줄여주는 겁니다. 과연 AI가 이 부분을 채워줄 수 있을까요?
AI의 장밋빛 미래 꿈꾸기 전에
물론 인공지능이 계속해서 발전하고 진화하면 지금은 불가능하리라 여긴 것들을 또 아무렇지 않게 해낼지도 모릅니다. 지금의 AI도 외로움의 근본적인 해결책은 되지 못하더라도 TV나 OTT를 보고 음악을 듣는 것보다는 외로움을 경감해주는 효과가 더 클 수 있습니다. 그러나 AI를 접목한 장밋빛 미래를 막연히 꿈꾸기 전에 우리는 현재 우리 사회의 실패를 냉정하게 직시해야 합니다. 즉, AI가 외로움을 해소해 줄 거란 기대가 자꾸 언급되는 것은 결국, 지금 우리가 사회적으로 고립되고 외로움에 취약할 수 있는 사람들을 돕는 정책을 만들고 그런 사회를 꾸리는 데 실패했다는 방증인 셈입니다.
문제를 직시하고, 더 늦기 전에 국가 차원에서 외로움이라는 전염병에 맞서기 위해 나선 모범적인 나라들도 있습니다. 영국과 일본에는 외로움부와 외로움부 장관이 존재합니다. 영국 국립보건서비스는 의사들이 외로운 환자들에게 ‘사회적 연결’을 처방하는 사업을 하고 있습니다. 북유럽에서는 노르웨이를 포함한 7개 국가가 협력해 사회적 연결을 통해 외로움에 맞서는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앞서 소개한 우리나라의 “2024 외로움 관련 인식 조사”를 보면, 외로움이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국가가 개입해야 한다’고 답한 이들은 10명 중 7명이나 됐습니다. 우리 사회도 고립되고 외로운 사람을 돕기 위해 사회적 연결을 장려하고, 그런 정책에 적극적으로 투자하는 환경을 만드는 건 어떨까요? 사회가 그 역할을 하지 못하는 한, 또 정부가 그런 사회를 구축하도록 제도를 보완하고 나서지 않는 한, 외로움 해소의 대체재로서 AI의 역할은 꾸준히 제기될 겁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오늘(20일) 취임했습니다. 4년을 쉬고 두 번째 임기를 시작하는 트럼프 대통령이 국제 질서에 몰고…
뉴스페퍼민트는 SBS의 콘텐츠 플랫폼 스브스프리미엄(스프)에 뉴욕타임스 칼럼을 한 편씩 선정해 번역하고, 글에 관한 해설을 쓰고…
뉴스페퍼민트는 SBS의 콘텐츠 플랫폼 스브스프리미엄(스프)에 뉴욕타임스 칼럼을 한 편씩 선정해 번역하고, 글에 관한 해설을 쓰고…
미국 캘리포니아 남부 LA 일대에서 난 산불로 큰 피해가 났습니다. 사망자도 20명을 넘었고, 강풍에 불길이…
뉴스페퍼민트는 SBS의 콘텐츠 플랫폼 스브스프리미엄(스프)에 뉴욕타임스 칼럼을 한 편씩 선정해 번역하고, 글에 관한 해설을 쓰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