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스페퍼민트는 SBS의 콘텐츠 플랫폼 스브스프리미엄(스프)에 뉴욕타임스 칼럼을 한 편씩 선정해 번역하고, 글에 관한 해설을 쓰고 있습니다. 그 가운데 저희가 쓴 해설을 스프와 시차를 두고 소개합니다. 스브스프리미엄에서는 뉴스페퍼민트의 해설과 함께 칼럼 번역도 읽어보실 수 있습니다.
**오늘 소개하는 글은 12월 25일 스프에 쓴 글입니다.
소비자들은 누구나 값싼 물건을 찾습니다. 값이 같다면 당연히 품질이 더 좋은 제품과 서비스를 선호할 겁니다. 만약 값도, 품질도 비슷한 제품들이 여러 개 있다면 소비자들은 어떤 제품을 고를까요? 각자 기준이 있겠지만, 대부분 소비자는 본인이 중요하게 여기는 가치와 부합하는 제품을 선택할 겁니다. 그 가치란 정직한 생산 방식을 거친 제품일 수도 있고, 환경에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노력한 기업의 제품일 수도 있으며, 보통 생산 과정에서 약자의 위치에 있는 노동자들에게 공정한 대우를 해 만든 제품일 수도 있겠죠. 그런데 가격표를 보면 곧바로 확인할 수 있는 가격과 써보면 금방 알 수 있는 품질과 달리, 생산 방식과 공정이 어땠는지 등은 소비자가 정확히 확인하기 어렵습니다. 원래 의도한 바는 바람직할지 몰라도 매번 소비를 통해 의도한 목표를 이루지 못할 수도 있다는 말입니다.
하나뿐인 지구를 지키는 일이 중요하다는 사실은 굳이 강조하지 않아도 모두가 아는 요즘입니다. 소비자들이 추구하는 가치 가운데 지구에 부담을 안 주거나 덜 주는 ‘친환경’은 늘 높은 순위에 자리합니다. 직접적인 오염 물질을 배출하는 제품을 멀리하는 건 당연하고, 어족 자원의 씨를 말리는 남획을 지양하는 ‘지속가능한 어업’ 등 자원의 고갈을 피하며 생산한 제품이나 기업들도 소비자들의 지지를 받습니다.
그런데 또 다른 문제가 있습니다. 겉보기에는, 혹은 얼핏 생각하면 환경 파괴와 거리가 멀어 보이는 생산 방식이 실은 생태계에 적잖은 부담을 주는 행위일 때가 있습니다. 동물의 털로 짠 직물로 만든 옷을 예로 들어보죠. 사람의 머리카락이 자라듯 양털도 깎고 나서 시간이 지나면 다시 자랍니다. 그러니 양을 비롯한 가축 털로 옷을 짓는 일은 환경에 끼치는 피해가 거의 없는 일처럼 보입니다.
가축을 식용으로 도축하는 일이나 게를 잡아 집게발만 잘라내고 다시 풀어줬다가 시간이 지나면 또 집게발만 잘라 파는 일보다는 아무래도 훨씬 덜 잔인하기도 하고요. 덜 잔인한 건 사실일지 모르지만, 환경에 끼치는 영향을 따져보면 현대 자본주의 체제에서 옷을 짓는 일도 꼭 ‘친환경’이지는 않습니다. 환경을 위해 하는 ‘착한 소비’가 착각일 수 있다는 말입니다. 대표적인 게 겨울철 따뜻한 스웨터를 짜는 대표적인 직물인 캐시미어입니다.
전문 번역: “믿을 수 없이 싼” 캐시미어의 진짜 비용에 관하여
우선 캐시미어는 칼럼에서 지적하듯 염소의 털로 만드는 직물입니다. 그런데 염소는 방목해 기르는 다른 가축과 달리 풀을 뿌리째 뜯어먹다 보니, 염소를 풀었던 방목지의 풀은 다시 자라는 데 훨씬 오랜 시간이 걸립니다. 염소가 풀을 뜯는 방식이 잘못됐다고 할 수는 없습니다. 그렇게 진화해 온 걸 문제 삼을 수는 없을 테니까요. 잘못이 있다면, 급증한 캐시미어 수요를 맞추기 위해 생태계의 균형을 깨면서 염소를 마구잡이로 늘린 사람과 자본주의에 물어야 할 겁니다.
원래 염소를 칠 방목지를 확보하기가 쉽지 않았고, 자연히 품질 좋은 캐시미어의 원료도 귀했습니다. 캐시미어 스웨터는 비쌀 수밖에 없었죠. 그런데 캐시미어가 돈이 된다는 걸 깨달은 의류 브랜드와 목축업자들이 몽골과 중국 네이멍구 일대에 방목해 기르는 염소를 자꾸 늘렸습니다. 그 결과 캐시미어 스웨터는 싸졌지만, 염소를 풀어놓았던 초원들은 차례로 더는 풀이 못 자라는 땅으로 변합니다.
염소를 방목할 만한 목초지도 계속 줄어듭니다. 좋은 풀을 못 먹은 염소의 털들은 짧고 굵고 거칠어져 캐시미어의 품질도 떨어집니다. 품질이 떨어지면 시장에서 도태될 법도 한데, 일부 브랜드는 위기를 기회로 삼았습니다. 싸구려 캐시미어라는 사실을 숨기고 가격을 대폭 낮춰 “믿을 수 없이 싼 캐시미어”를 대대적으로 홍보한 거죠. 어떤 과정을 거쳐 생산된 제품인지에 별 관심을 두지 않는 소비자들은 가격에 넘어가 스웨터를 삽니다. 이미 수요가 너무 높아 문제였는데, 그 수요가 줄지 않으니 더 많은 염소를 방목하고, 초원은 더 빨리 황폐해지는 악순환의 속도가 더 빨라집니다. 얼마 전 파타고니아의 창업자 이본 쉬나드가 경고한 대로 우리는 “싸구려를 좇는 대가”를 치르고 있는지도 모릅니다.
‘친환경’인 척하는 것들
지구를 위하는 일처럼 보이지만, 자세히 뜯어보면 ‘친환경’과 오히려 거리가 먼 것들이 은근히 많습니다. 특히 고도로 분업화된 자본주의 체제에서 사람들은 대부분 그 생산 과정을 전혀 모르는 채 소비자로서 살아갑니다. 농업이나 어업 등 1차 산업의 생산 과정과 식료품 제품 공정을 소비자들이 착각하기 쉽다는 말입니다.
상품 작물 농업이 대표적입니다. 세계적으로 돈 많은 나라 소비자들의 수요에 맞춰 가난한 나라에서 작물이 생산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커피만 해도 열대우림을 벌채하고 개간해 만든 커피 농장이 종다양성을 파괴하고, 열대우림의 기능을 훼손하는 주범으로 지목되곤 합니다.
캘리포니아주의 주력 산업을 꼽을 때 많은 사람들이 실리콘밸리와 IT 산업을 먼저 떠올리겠지만, 전통적으로 농업은 캘리포니아 경제에서 큰 역할을 했습니다. 그런데 수많은 땅을 농토로 바꿔 농작물을 생산하기 위해 물을 끌어다 쓴 결과, 캘리포니아주 전체가 홍수에 취약해졌습니다. 단시간 내에 집중적으로 많은 비가 내리는 일이 갈수록 잦아지는 이상기후의 시대에 홍수에 취약한 건 큰 문제죠. 특히 엄청나게 많은 물을 끌어다 쓰는 작물이 아몬드입니다. 캘리포니아 주민 전체가 생활용수로 쓰는 양과 비슷한 수준의 물을 아몬드 농장이 씁니다. 지속가능한 수준이라고 보기 어렵죠.
직접적인 소비는 아니지만, 환경을 보호하는 일이라 여겼던 일이 알고 보니 정반대의 결과를 초래한 사례도 있습니다. 캐나다 정부는 벌목 업체들에 벤 나무만큼 산에 나무를 심으면 세제 혜택을 주거나 사업권을 줄 때 가산점을 줬는데, 나무를 심기만 하면 되다 보니, 업체들은 (마치 열대우림의 커피 농장처럼) 한 가지 나무를 일정한 간격으로 줄줄이 심어 놓았습니다. 아무것도 없는 것보다는 아무 나무라도 있는 편이 더 낫지 않느냐 생각할 수 있지만, 이렇게 단일 수종을 줄 지어 심어놓은 인공적인 숲은 건강하지 않습니다. 불이 나면 훨씬 쉽게, 빨리 번지게 되고, 매년 캐나다의 산불이 더 거세게 일어나는 데 일조했다는 비판도 나옵니다. 세심하게 접근하지 않으면, 자연을 보전하고 환경을 위한다는 일이 전혀 엉뚱한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는 또 하나의 사례입니다.
지금껏 살펴본 여러 사례를 고려하면, 소비자들이 ‘착한 소비’를 다짐하는 것만으로는 부족합니다. 물론 ‘깨어있는 소비자’가 아무 생각 없이 그저 싼 것만 찾는 소비자보다 나을 수도 있지만, 나의 소비가 실제로 어떤 결과에 일조하고 있는지 꼼꼼히 따져보지 않으면 안 하느니만 못한 ‘착한 소비’가 될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우리는 생산 방식과 공급망에 좀 더 세심한 주의를 기울이고, 최대한 이 먹을거리가, 이 물건이 어떻게 내게 오게 됐는지 그 진짜 과정을 확인하기 위해 더 많이 노력해야 합니다. 이는 분명 소비자로서 귀찮은 일이지만, 시장과 기업이 더 책임감 있게 행동하도록 바꿀 수 있는 궁극적인 힘이 소비자에게 있다는 걸 잊어선 안 됩니다.
뉴스페퍼민트는 SBS의 콘텐츠 플랫폼 스브스프리미엄(스프)에 뉴욕타임스 칼럼을 한 편씩 선정해 번역하고, 글에 관한 해설을 쓰고…
뉴스페퍼민트는 SBS의 콘텐츠 플랫폼 스브스프리미엄(스프)에 뉴욕타임스 칼럼을 한 편씩 선정해 번역하고, 글에 관한 해설을 쓰고…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이 2기 행정부 인선을 속속 발표하고 있습니다. 정치적으로 논란이 불가피한 인물도 다수 지명된…
* 뉴스페퍼민트는 SBS의 콘텐츠 플랫폼 스브스프리미엄(스프)에 뉴욕타임스 칼럼을 한 편씩 선정해 번역하고, 글에 관한 해설을…
* 뉴스페퍼민트는 SBS의 콘텐츠 플랫폼 스브스프리미엄(스프)에 뉴욕타임스 칼럼을 한 편씩 선정해 번역하고, 글에 관한 해설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