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ies: 교육문화세계

해외에서 자녀에게 모국어를 물려주려면?

“할머니가 하시는 말씀 다 알아 듣잖아, 그렇지?” 덴마크 출신 엄마와 영국인 아빠를 가진 소녀는 고개를 끄덕입니다. 필자가 공항에서 만난 부부는 런던에서 아이를 이중언어구사자로 기르는 경험에 대해 이야기했습니다. 쉬운 일은 아닙니다. 아빠는 덴마크어를 전혀 하지 못하니 딸에게 덴마크어로 말하는 사람은 엄마뿐이고, 그나마도 딸은 영어로 대답하죠.

사랑하는 사람과 모국어를 공유하지 못하는 것은 고통스러운 경험일 수 있습니다. 특히 자식에게 자신의 모국어를 물려줄 수 없다는 사실은 괴롭죠. 해외에서 거주하거나 이민을 간 사람들은 자신의 경험을 인터넷 게시판과 소셜미디어에서 적극적으로 공유합니다. 어쩌면 누군가는 이중언어구사자를 길러내는 비법을 알아냈을지도 모른다는 희망을 가지고 말이죠.

어린이들은 언어를 빨아들이는 스폰지와도 같습니다. 하지만 피상적인 노출만으로 언어를 마스터할 수 있는 것은 아니죠. 꽤나 많이 들어야만 이해할 수 있게 되고, 스스로 자주 말해야만 구사할 수 있게 됩니다. 이는 정신적 에너지가 많이 소모되는 활동이기 때문에, 추가로 언어를 익히려는 동기, 필요 또는 욕구가 없는 아이의 경우 듣거나 말하기를 피하려고 할 수 밖에 없습니다. 아이들의 뇌는 이미 여러가지 활동으로 충분히 바쁜 상태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부모가 외국에 거주하게 되면 자녀 세대에서 모국어는 사라지기 십상입니다. 미국의 경우, 전체 인구 중 미국 밖에서 태어난 사람이 13.7%이며, 이 수치는 4.7%보다 낮았던 적이 없습니다. 하지만 외국어 구사자의 수는 누적되지 않았습니다. 오늘날 미국에서 외국어를 구사하는 사람의 수는 25%에 불과하죠. 이민 와서 처음 태어난 세대는 주로 영어와 부모의 모국어를 모두 구사하지만 그 다음 세대는 영어만을 구사하게 되고, 조부모와의 소통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과거에는 정부가 이민자들에게 모국어 사용을 독려하지 않았습니다. 루즈벨트 대통령은 대놓고 미국이 “다국어 기숙사”가 될까봐 걱정하기도 했죠. 오늘날은 이런 추세가 바뀌어 정부는 각 가정의 언어 생활에 개입하지 않고, 나아가 이민자 가정의 외국어 구사 능력을 귀한 자원으로 여기기도 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민자 가정의 자녀들이 부모의 모국어를 익히지 못하도록 방해하는 여러 요인이 존재합니다.

첫째는 제도적인 압박입니다. 아이가 제 2언어로 보내는 시간은 곧 제 1언어에 노출되지 못하는 시간을 의미합니다. 교사들이 부모들에게 모국어 사용을 자제하도록 하는 것도 이 때문입니다. (특히 모국어가 “대접받지 못하는” 언어인 경우에 더욱 그렇죠.) 부모들은 자녀 교육을 걱정해, 교사의 조언을 받아들이곤 합니다. 아이들에게는 분명 두 개 이상의 언어를 습득할 수 있는 능력이 있는데, 안타까운 일이죠. 연구자들에 따르면 실제로 이중언어를 구사하는 아이들의 어휘력이 한동안은 양 쪽 모두 부족할 수 있다고 말합니다. 그러나 이중언어 구사자들의 인지 능력이 뛰어나다는 것을 보여주는 연구 결과들도 있죠. 복잡한 업무에 잘 적응하고, 집중력이 높으며, 노후에 치매도 늦게 온다는 것입니다.

이런 장점들이 없다 하더라도, 아이들이 가족 및 타문화와 유대감을 갖게 되는 것은 그 자체로 좋은 일입니다. 어떻게 하면 아이를 이중언어구사자로 키울 수 있을까요? 부모의 모국어가 같은 경우, 집에서는 부모의 모국어를, 집 밖에서는 해당 국가의 공용어를 쓰는 식이 대부분입니다. 문제는 부모의 모국어가 다른 경우인데, 이 경우 가장 흔한 접근법은 “한 부모, 한 언어” 정책입니다. 스위스의 언어학자 프랑소와 그로스장은 “필요성”을 강조합니다. 제 2언어만을 사용할 수 있는 상황을 정해놓는 방식을 추천하죠.

독일의 언어학자 사빈 리틀의 생각은 조금 다릅니다. 리틀은 부모가 강요하는 모국어가 거부감을 가져올 수 있다고 주장합니다. 아이에게 스스로 해당 언어와의 정서적 유대를 쌓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겁니다. 리틀의 아들 역시 엄마의 언어인 독일어를 포기했다가 다시 시도한 경험을 갖고 있습니다. 그녀는 아들에게 스스로 언제 독일어를 쓸지를 결정하도록 했습니다. 아들은 독일어를 못 하는 아버지가 소외되지 않도록, 엄마와 단둘이 하교 후 방과 후 교실로 가는 차 안에서만 독일어를 쓰겠다고 결정했죠. 모자는 영어와 독일어가 혼합된 아들의 특이한 언어를 둘만의 어휘에 추가해 농담거리로 삼곤 합니다. 대부분의 학생들처럼 그 역시 하루에 유튜브를 볼 수 있는 시간이 정해져 있지만, 독일어 영상을 시청하는 것은 예외라는 규칙도 정했습니다. 리틀은 원어민을 위한 앱이나 엔터테인먼트로 언어를 배우는 것을 추천합니다.

언어는 정체성의 중요한 일부입니다. 아이에게 모국어를 물려 주려다 실패하는 경험은 고통스럽습니다. 성공의 비결은 주입식으로 언어를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아이의 마음을 동하게 하는 것일 것 모릅니다. (이코노미스트)

원문보기

eyesopen1

Recent Posts

[뉴페@스프] ‘예스맨의 절대 충성’ 원하는 트럼프…단 하나의 해답 “귀를 열어라”

뉴스페퍼민트는 SBS의 콘텐츠 플랫폼 스브스프리미엄(스프)에 뉴욕타임스 칼럼을 한 편씩 선정해 번역하고, 글에 관한 해설을 쓰고…

1 일 ago

“너만 힘드냐? 나도 힘들어 죽겠다”… 이런 사회에서 필요한 걸 꼽아보자면

다른 사람의 처지와 경험을 잘 이해하지 못하고, 다른 이가 느끼는 감정에 공감하지 못하는 사람이 너무…

2 일 ago

[뉴페@스프] “뻔한 정답 놓고 고집 부린 결과”… 선거 진 민주당 앞의 갈림길

뉴스페퍼민트는 SBS의 콘텐츠 플랫폼 스브스프리미엄(스프)에 뉴욕타임스 칼럼을 한 편씩 선정해 번역하고, 글에 관한 해설을 쓰고…

4 일 ago

‘미라클 모닝 이렇게 좋은데 왜 다들 안 하냐고요?’ 새해 결심 세우려 한다면…

정치적으로 매우 혼란스러운 데다 세밑에 일어난 비행기 사고로 국가애도기간까지 겹친 상황에서 2025년 새해가 밝았습니다. 올해가…

6 일 ago

[뉴페@스프] “진짜 승자는 트럼프 아닌 이 사람?… 트럼프 2기를 예측해봤습니다”

뉴스페퍼민트는 SBS의 콘텐츠 플랫폼 스브스프리미엄(스프)에 뉴욕타임스 칼럼을 한 편씩 선정해 번역하고, 글에 관한 해설을 쓰고…

1 주 ago

일상 덮친 참사 트라우마… 슬픔을 제대로 받아들이는 법

국가애도기간입니다. 지난달 29일 발생한 제주항공 여객기 사고로 탑승객 대부분인 179명이 목숨을 잃으면서 한국 사회는 참담하고…

1 주 a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