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멜버른대학교에서 역사를 가르치는 우나 맥예브나가 이온(Aeon)에 쓴 글입니다.
—–
TV, 라디오는 물론 신문 같은 대중 매체가 등장하기 전에도 사람들은 세상사에 관심이 많았습니다. 지금과 같은 매체도 없고, 글을 읽을 줄 아는 사람도 많지 않았던 시대에 뉴스는 어떻게 퍼졌을까요? 런던이나 파리에 사는 평민들이 세상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어떻게 알았을까요? 바로 노래였습니다.
신문의 범주를 어디까지로 보느냐에 따라 다르지만, 오늘날 우리가 흔히 읽는 신문이 보편화되기 한참 전인 17세기에 뉴스는 누군가가 소식을 읽어주는 형식으로 퍼졌으며 전달 효과를 높이고자 단조롭지 않게, 마치 무대 위에서 노래하듯 뉴스를 읽어줬습니다. 인쇄술이 막 발달하기 시작한 16세기부터 20세기까지 대중에 전달하려는 사건이나 새로운 소식은 시를 짓듯 쓰였습니다. 이 뉴스는 통속 소설이나 작은 책자 형식으로 인쇄된 뒤 사람들의 귀에 익은 목소리를 가진 누군가가 노래하듯 읽어주는 형식으로 소비됐습니다. 번화가 한복판이나 장터, 시장에 가면 구성진 목소리로 뉴스를 노래하는 사람이 꼭 있었습니다. 공짜가 아니라 돈을 받고 정보를 파는 이였죠. 글을 읽을 줄 아는 사람이 많지 않던 시절이었습니다. 박자와 가락에 맞춰 시나 노래로 정보를 유통하면 사람들이 내용(가사)을 기억하기 쉽다는 명백한 장점이 있었습니다.
이런 뉴스 발라드가 다루는 내용은 오늘날 언론에서 접할 수 있는 소식과 상당히 흡사했습니다. 누가 무슨 범죄를 저질러 어떤 처벌을 받았다, 정치 뉴스, 나라 밖 전쟁 소식, 군대에서 일어난 일, 자연재해 등이 대표적이었죠. 그리고 오늘날 독자들의 이목을 끌기 위해 선정적이고 자극적인 편집을 마다하지 않는 타블로이드 뉴스와 마찬가지로 이 당시 뉴스를 읊는 노래에는 듣는 이의 감정을 자극하고 충동하는 요소가 담겼습니다. 이 요소란 언어 선택과 멜로디였습니다. 예를 들어 16세기 엘리자베스 1세는 가톨릭에서 이단으로 찍힌 존 펠튼에 반역죄를 물어 그를 교수형에 처하고 능지처참했는데, 이 소식은 사람들이 무리 지어 함께 출 수 있는 라인댄스에 어울리는 노래의 가사가 되었습니다. 사람들은 존 펠튼이 저지른 죄목을 들으며 손뼉을 치고 이를 따라부르며 파트너와 함께 도시도 춤을 췄습니다.
새로운 노래 가운데서도 이와 같은 이른바 처형곡(execution ballad)이 가장 인기가 많았는데, 특히 끔찍한 처형 장면을 생생히 묘사한 죄수의 마지막 장면은 뉴스를 전하는 이나 듣는 이 모두에게 나쁜 짓을 하지 않도록 억제하는 데 효과가 컸습니다. 오늘날도 범죄 뉴스를 전하는 언론은 이러한 예방 효과를 염두에 둡니다. 특히 살인을 저지른 리브 형제(Reeve brothers)를 처형하는 장면을 담은 1635년의 노래는 당시 크게 유행하던 “Fortune My Foe(적에게 자비를)”라는 곡의 선율에 끔찍한 처형 장면을 묘사하는 노랫말을 붙였습니다. 내용을 살펴보면, 로버트 리브는 죄를 인정하고 용서를 구하기를 거부한 끝에 강제로 사형에 처했고, 리처드 리브는 아버지의 집 바로 앞에 설치한 교수대에서 죽음을 맞이했습니다. 이들의 시신은 사슬에 묶여 교수대에 그대로 둔 채 형체를 알 수 없을 만큼 형해될 때까지 지나는 사람들이 누구나 볼 수 있게 효수했습니다. 이 곡은 이렇게 끔찍한 장면을 생생히 읊었을 뿐 아니라 워낙 귀에 익은 멜로디를 살린 덕분에 듣는 이가 누구나 섬뜩한 마지막 장면까지 쉽게 따라 할 수 있었고, 그 결과 범죄를 억제하기 위해 대중 사이에 가능한 한 멀리, 깊이 퍼지게 하라는 원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었습니다.
이런 노래는 많은 사람에게 각종 소식과 정보를 처음으로 접하는 창구였습니다. 18세기 파리의 일상에 관한 소중한 기록을 많이 남긴 저술가 루이세바스티엥 메르시에르는 이렇게 썼습니다.
파리에서는 모든 것이 노래의 재료다. 프랑스군에서 제일 뛰어난 장군이든 처형당한 죄수든 노랫말에 실려 누군가가 불러주지 않으면 파리에서 당신의 존재를 아는 사람은 아무도 없을 것이다.
물론 교수형에 처한 죄수 이야기가 뉴스의 전부는 아니었습니다. 오늘날처럼 어딘가에서 벌어지고 있는 전쟁 소식이나 그와 관련한 충격적인 이야기도 노래의 단골 소재였습니다. 16세기 일어난 프랑스 종교전쟁 중에 퍼진 뉴스 발라드를 듣는 청중 가운데는 자신이 믿는 종교 세력이 상대방을 물리치고 승리했다는 소식에 흡족해하는 이들이 적지 않았습니다. 프랑스 서쪽 해안에 있는 라로셸(La Rochelle)이란 도시는 프랑스 개신교도들의 주요 거점 가운데 하나였습니다. 개신교도들은 가톨릭에 반대해 스스로 개신교 공화국을 세우고 프랑스로부터 독립을 선포했습니다. 그러자 가톨릭을 추종하는 프랑스 왕의 군대가 라로셸을 포위한 뒤 개신교도들을 “이단”으로 규정하고 맹비난하는 노래를 만들었습니다. 가톨릭을 따르던 이 노래의 작곡가이자 뉴스 제작자는 반역자인 개신교도를 모두 붙잡아 교수형에 처하겠다는 협박의 메시지를 담았습니다.
Le Roy vous fait offrir
Grace & misericorde,
Et ne pouvez souffrir
La paix ne la concorde,
Il faudra qu’une corde
Pour dompter vostre orgueil,
A la fin vous accorde
Vous serve de cercueil.왕은 너희에게 자비와 은총을 내리셨으나,
이제 너희에겐 평화도, 공존도 허할 수 없다.
너희의 자존심을 단단히 붙들어 매야 할 것이니,
어차피 곧 너희의 제삿날이 닥치리라.
이렇게 온갖 독설로 가득한 노래가 상당히 많았습니다. 뉴스 발라드 가운데 가장 논쟁적인, 그리하여 뜨거운 관심을 받는 주제는 단연 정치였습니다. 프랑스 왕은 체제를 거역하는 메시지가 분명한 노래가 퍼지지 못하게 검열을 강화했지만, 사람들의 기억을 통제하지 않는 한 여기저기서 입에서 입으로 전해지고 퍼지는 노래를 막기는 애초에 불가능한 일이었습니다. 왕이나 귀족 등 지배 계층을 조롱하는 노래는 수도 없이 많은 버전으로 구전돼 불렸는데, 이 가운데 일부는 모레파(Maurepas)라는 구전 이야기 혹은 풍자시 모음집에 실렸을 정도입니다. 17, 18세기 파리의 퐁네프 다리에서는 이런 노래가 심심찮게 울려 퍼졌습니다. 그 가운데 하나가 “빌어먹을 창녀 같은 여자(Qu’une batarde de catin)” 정도로 번역할 수 있는 노래로 이 노래는 풍자의 대상을 공공의 적 가운데 누구로든 얼마든지 바꿀 수 있도록 쓰여 말 그대로 무한 반복된 노래입니다. 원래 노랫말은 루이 15세와 그의 정부(情婦)였던 뽕빠두르 부인을 직접 조롱하고 있는데, 둘의 방탕함을 거침없이 비난하고 있습니다.
Qu’une bâtarde de catin,
A la cour se voit avancée,
Que dans l’amour et dans le vin
Louis cherche une gloire aisée,
Ah! Le voilà, Ah! Le voici
Celui qui n’en a nul souci
빌어먹을 창녀 같은 여자,
저 사람은 당장 법의 심판을 받아야만 해.
사랑에 빠졌는지 술독에 빠졌는지 모르겠지만,
루이는 손쉽게 영화를 누리려 하네.
아! 저기 있다, 아! 여기 있었구먼,
아무도 돌봐주는 이 없는 가엾은 인생이여.
오늘날 기후변화는 지구촌 전체를 관통하는 중요한 문제입니다. 그런데 1600~1800년 유럽 대륙에는 이른바 미니 빙하시대가 왔던 것으로 알려졌죠. 예년과 달리 혹독한 겨울이 잇따르면서 작황이 바닥으로 떨어져 기근이 퍼졌습니다. 하지만 17세기 유럽인들은 지금과 같은 천문기상 지식이 없었고, 작황이 안 좋거나 가축이 병을 앓고 죽으면 이는 마녀의 저주가 걸렸기 때문이라고 생각했습니다. “적에게 자비를(Fortune My Foe)” 선율에 붙은 노랫말 가운데 “마녀를 찾아 벌하다(Witchcraft Discovered and Punished)”라는 제목의 곡이 있는데, 노랫말은 1682년 잉글랜드 한 지방에서 여자 세 명에 관해 열린 재판을 기록한 것입니다. 이들은 어린아이나 가축의 죽음을 비롯한 여러 범죄를 저지른 혐의로 재판을 받습니다. 온 마을 사람이 아이를 잃고, 가축을 잃은 탓을 마녀로 지목된 여자 세 명에게 퍼붓는 내용의 노랫말입니다.
근대 초기에 불리던 노래에는 각기 따로따로 일어났던 자연재해를 한데 묶어 이 모든 것이 종말을 가리키는 신의 계시라는 노랫말이 붙어 유행했습니다. 회개하지 않는 인류에게 신의 벌이 내려지리라는 내용이었습니다. 런던 대화재에 관한 노래 “런던 시민의 비탄”의 노랫말은 대화재가 죄악으로 가득한 도시에 사는 인간에게 신이 내리는 네 가지 형벌 가운데 세 번째에 불과하다는 경고의 메시지로 맺습니다. “첫째는 전염병이요, 둘째는 전쟁, 셋째는 화재이며, 그다음은 대기근이다!”
19세기가 되면 초자연적인 존재의 뜻에 따라 어떤 계시의 일환으로 재해가 발생한다는 인식은 많이 약해집니다. 대신 재해가 일어날 때마다 전형적인 빅토리아 시대풍의 우중충한 표현과 자극적인 언어로 재해를 묘사하는 노래가 쓰이고 불렸습니다. 1852년 웨스트 요크샤이어의 빌버리 댐이 폭발해 84명이 목숨을 잃는 재난이 발발하자, 온갖 감정적 표현을 쏟아내는 노랫말이 나왔습니다. 찰스 디킨스 같은 작가가 실로 자랑스러워했을 법한 감정의 범람이었습니다.
문맹률이 크게 낮아지고, 종이 신문이 뿌리를 내리기 시작한 19세기에도 16세기와 마찬가지로 여전히 뉴스를 노래로 읽어주는 것은 흔한 풍경이었습니다. 그 전과 달라진 점이 있다면 여러 곡이 묶음으로, 다양한 주제에 따라 노래를 분류해 모아둔 긴 소책자 형태로 팔렸다는 점입니다. (위 사진처럼) 긴 노랫말 모음집을 파는 사람은 19세기 중반 런던 거리 어디에서나 찾아볼 수 있었습니다. 가격은 내용보다도 길이에 따라 정해졌습니다. 아마 그는 이렇게 외쳤을 겁니다.
“아름다운 노래요! 새로 나온 노래 팔아요! 요즘 장안(런던)의 화제! 3야드 길이에 단돈 1페니!”
이렇게 그 내용보다도 겉으로 듣기에 아름답고 멋져서 화제가 되고 잘 팔리는 것이 뉴스의 속성이라면, 오늘날의 자극적인 타블로이드 뉴스가 어떻게 생겨났는지 짐작할 만도 합니다. 아무말 대잔치가 난무하는 라디오 토크쇼, 선정적인 TV 뉴스는 듣는 이와 보는 이가 아무런 생각 없이 가만히 있어도 귀에 쏙쏙 들어오며 시선을 사로잡는 이야기로 가득합니다. 그 옛날 뉴스 발라드의 속성이 남아있는 거죠. 여전히 세상을 간단히 선과 악으로 나눠 도덕적인 잣대를 들이미는 뉴스도 흔히 접할 수 있습니다. 뉴스를 전하는 방법이 무엇이든,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듣는 이의 감정에 호소하고 어떤 식으로든 마음을 움직이는 것이라서 그럴 겁니다. (Aeon)
트럼프 대통령이 오늘(20일) 취임했습니다. 4년을 쉬고 두 번째 임기를 시작하는 트럼프 대통령이 국제 질서에 몰고…
뉴스페퍼민트는 SBS의 콘텐츠 플랫폼 스브스프리미엄(스프)에 뉴욕타임스 칼럼을 한 편씩 선정해 번역하고, 글에 관한 해설을 쓰고…
뉴스페퍼민트는 SBS의 콘텐츠 플랫폼 스브스프리미엄(스프)에 뉴욕타임스 칼럼을 한 편씩 선정해 번역하고, 글에 관한 해설을 쓰고…
미국 캘리포니아 남부 LA 일대에서 난 산불로 큰 피해가 났습니다. 사망자도 20명을 넘었고, 강풍에 불길이…
뉴스페퍼민트는 SBS의 콘텐츠 플랫폼 스브스프리미엄(스프)에 뉴욕타임스 칼럼을 한 편씩 선정해 번역하고, 글에 관한 해설을 쓰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