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ies: 세계

샌디훅 초등학교 총기 사건 1년 뒤, 총기 규제 언론 보도 크게 줄어

지난해 코네티컷주 뉴타운에 위치한 샌디훅 초등학교에서 총기 사건이 일어나 20여명 이상이 목숨을 잃고 난 직후, 오바마 대통령과 민주당 지도부는 총기 규제를 강화하는 법안을 공격적으로 추진했었습니다. 일년이 지난 지금 총기 규제에 대한 논의는 워싱턴에서 더 이상 주요 쟁점이 아닙니다. 그 이유 중 하나는 바로 언론이 이 문제를 더 이상 보도하지 않기 때문일 수 있습니다. 샌디훅 총기 사건이 난 직후에는 총기 규제에 관련한 언론 보도가 홍수를 이뤘지만 지금 현재는 총기 사건이 일어나기 직전 수준으로 되돌아갔습니다. 아래 차트는 500여개의 미국 언론이 “총기 규제”에 관한 보도를 한 횟수를 보여줍니다.

미국 언론에서 총기 규제에 관한 보도를 내 보낸 횟수.

총기 규제에 관한 보도는 샌디훅 총기 사건 이후에 급격히 증가했습니다. 이는 다른 총기 사건의 경우에도 비슷합니다. 하지만 언론의 관심은 시간이 지나면서 빠르게 감소합니다. 사건이 일어난지 몇 주가 지나면 기자들은 새로운 뉴스 거리를 찾고 총기 규제 관련 보도는 감소합니다. 심지어 지난 9월 16일에 미국 해군 조선소(Navy Yard)에서 일어난 총기 사건으로 12명이 사망했을 때 언론 보도는 총기 규제보다는 정신 건강이나 정부 시설물에서의 보안 문제에 더 초점을 맞췄습니다. 사람들이 죽어나가는 비극만으로는 언론의 관심을 얻기가 쉽지 않습니다. 비극에 정치인들의 행동이 더해질 때 언론은 이에 관심을 가집니다. 더 강력한 총기 규제를 원하는 사람들이 어려움을 겪는 이유는 전미총기협회(NRA)와 같은 기관의 로비 때문이기도 하지만 언론의 관심이 사건 이후 단기적으로만 집중되고 쉽게 사라지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Washington Post)

원문보기

arendt

Recent Posts

[뉴페@스프] ‘미라클 모닝 이렇게 좋은데 왜 다들 안 하냐고요?’ 새해 결심 세우려 한다면…

뉴스페퍼민트는 SBS의 콘텐츠 플랫폼 스브스프리미엄(스프)에 뉴욕타임스 칼럼을 한 편씩 선정해 번역하고, 글에 관한 해설을 쓰고…

1 일 ago

“전쟁 반대” 외치지만… 반대해야 할 가장 큰 이유를 놓치지 않았나요?

우크라이나와 가자지구에서 몇 년째 계속된 전쟁으로 수많은 사람이 목숨을 잃었습니다. 화를 면한 이들도 삶의 터전을…

2 일 ago

[뉴페@스프] 일상 덮친 참사 트라우마… 슬픔을 제대로 받아들이는 법

뉴스페퍼민트는 SBS의 콘텐츠 플랫폼 스브스프리미엄(스프)에 뉴욕타임스 칼럼을 한 편씩 선정해 번역하고, 글에 관한 해설을 쓰고…

3 일 ago

“선 넘는 대통령, 저항은 미미”… 트럼프 ‘독재 야망’ 꺾으려면

뉴욕타임스 칼럼니스트 마샤 게센은 트럼프가 법치(rule of law) 대신 권위주의적 통치에 필요한 법(law of rule)을…

5 일 ago

[뉴페@스프] “지독한 구두쇠” 욕하며 읽었는데 반전… 물질만능 사회에 주는 울림

뉴스페퍼민트는 SBS의 콘텐츠 플랫폼 스브스프리미엄(스프)에 뉴욕타임스 칼럼을 한 편씩 선정해 번역하고, 글에 관한 해설을 쓰고…

6 일 ago

[뉴페@스프] “트럼프, 저 좀 만나주세요”…’얼굴 도장’ 찍으려 줄 선 기업인들

뉴스페퍼민트는 SBS의 콘텐츠 플랫폼 스브스프리미엄(스프)에 뉴욕타임스 칼럼을 한 편씩 선정해 번역하고, 글에 관한 해설을 쓰고…

1 주 a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