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인의 논문이 자신의 논문에 도움이 되었다는 것을 알리는 인용(citation)은 뛰어난 연구에 대한 정당한 보상이며, 해당 논문이 몇 번이나 인용되었는지를 알려주는 인용빈도는 논문의 가치를 측정하는 중요한 잣대중의 하나입니다. 지난 달 초, 네이처의 자매지인 사이언티픽 리포트에는 논문의 철회가 저자와 해당논문의 인용빈도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를 조사한 연구가 실렸습니다.
노스웨스턴 대학 켈로그 경영대학원의 벤자민 존스와 그의 동료들은 웹 오브 사이언스(Web of Science)의 자료를 이용해 논문이 철회된 이후, 해당논문의 인용빈도와 저자의 다른 논문들의 인용빈도가 어떻게 바뀌었는지를 조사했습니다. 이들은 자료가 완벽하게 전산화된 2000년 이후의 결과만을 다루었으며, 특히 저자의 자진철회와 논문지에 의한 강제철회를 구분하여 두 방법이 저자의 명성에 전혀 다른 결과를 낳는다는 것을 보였습니다.
분야에 따라 논문철회의 비율은 매우 달랐습니다. 논문의 철회는 주로 경성과학(Hard Science)에서 이루어졌습니다. 인문학의 경우 철회된 논문은 1만건 중 1건이었으며 사회과학 논문에서는 1만건 당 2건인 반면, 생의학분야에서는 1만건당 14건의 철회가 있었습니다. 철회된 논문 중 22%는 자진철회였으며 71%는 타의에 의한 철회였고, 나머지 7%는 이유가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자진철회와 타의에 의한 철회 모두, 당연히 철회된 논문의 인용빈도는 급격히 떨어졌습니다. 그러나 저자의 다른 논문들에 대한 인용빈도의 변화는 매우 흥미로운 결과를 나타내었습니다. 타의에 의한 철회는 저자의 다른 논문에 대한 인용빈도를 역시 하락 시켰으나, 자진철회의 경우 오히려 저자의 다른 논문들의 인용빈도를 수년 간 소폭 상승시켰습니다.
이 결과는, 논문의 철회는 과학이 발전하는 정상적인 과정이라는 사실을 알려주며, 자진철회를 결정한, 곧 자신의 실수를 인정한, 저자에게 다른 과학자들은 그들의 논문을 인용함으로써 어떤 보상을 주고 있을지 모른다는 것을 암시하고 있습니다. (Retraction Watch)
뉴스페퍼민트는 SBS의 콘텐츠 플랫폼 스브스프리미엄(스프)에 뉴욕타임스 칼럼을 한 편씩 선정해 번역하고, 글에 관한 해설을 쓰고…
* 비상 계엄령 선포와 내란에 이은 탄핵 정국으로 인해 한동안 쉬었던 스브스프리미엄에 쓴 해설 시차발행을…
우리나라 뉴스가 반헌법적인 계엄령을 선포해 내란죄 피의자가 된 윤석열 대통령을 탄핵하는 뉴스로 도배되는 사이 미국에서…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탄핵 소추안 투표가 오늘 진행됩니다. 첫 번째 투표는 국민의힘 의원들이 집단으로 투표에…
윤석열 대통령의 계엄령 선포와 해제 이후 미국 언론도 한국에서 일어나는 정치적 사태에 큰 관심을 보이고…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출범하면 미국과 중국의 관계가 어떻게 될지에 전 세계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습니다. 안보…
View Comments
무식한 질문입니다만 논문철회가 무었을 하는것이죠..?
죄송합니다.
논문 철회란, 논문의 내용에 문제가 있어 그 논문을 취소하는 것을 말합니다.
논문을 세상에 발표한다는 것은 곧 저자들이 논문에서 주장하는 내용이 사실임을 보장한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여러가지 이유로 이미 발표된 논문에서도 오류가 발견될 수 있고, 그 정도가 가벼울때는 수정을, 그 정도가 심각할때는 논문을 취소하며, 이 논문을 취소하는 것을 철회(retraction)한다고 표현합니다.
hard science를 경성과학보다는 자연과학으로 번역하는 것이 더 이해하기 쉽고 자연스러운 것 같아요~
K 님, 안녕하시죠?
네. 자연과학이 더 이해가 쉽다는 데는 동의합니다만, 논문에 Hard Science 라는 용어가 사용되었고, 이 용어에 대해 '경성 과학'이 번역어로 자리잡고 있기에 그대로 사용하였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