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초, 중국 광둥성 남부의 장멘시에서는 수 백 명의 시위대가 거리로 나섰습니다. 이 지역에 들어설 예정이던 우라늄 처리시설에 반대하는 시위였습니다. 중국에서 정부가 시민들의 불평을 즉각 접수해 처리하는 경우가 드물다는 점을 생각하면, 이 시위의 결과로 건설 계획이 취소된 것은 꽤 놀라운 사건입니다. 얼마전까지만 해도 중국에서 원자력에 반대하는 목소리는 거의 없었습니다. 중국에서도 환경 운동이 점차 싹트고 있었지만, 주로 화학 폐기물 문제 등이 주요 사안이었습니다. 중국은 현재 원자로 17기를 가동 중인데, 2020년까지 100개로 늘인다는 것이 정부의 계획이었죠. 하지만 2011년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태로 분위기가 달라졌습니다. 중국판 트위터인 웨이보 상에서 반(反)원전 여론이 퍼지고 원전 안전에 대한 우려가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자, 중국 정부도 곧 추가 건설 계획에 제동을 걸었습니다. 작년 말 일부 프로젝트를 재개하면서도 냉각수를 무제한 공급할 수 있는 해안 지역을 제외한 내륙에서는 원전 건설을 유보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정부가 어떤 정책을 유예하면서 그 이유로 여론을 꼽은 것 자체가 중국에서는 새로운 현상입니다.
현재 중국에서 여론의 도마 위에 오른 프로젝트는 양쯔강 남쪽 장시성 펑쩌의 원전 건설 계획입니다. 내륙에 지어지는 첫 원전으로, 원래 계획대로라면 2015년에 가동을 시작할 예정이었고, 2012년 기준 장시성 전체 발전량의 40%를 발전할 수 있는 규모였죠. 하지만 후쿠시마 사태 이후로 이 지역 주민들 사이에서도 불안감이 퍼지기 시작했습니다. 특히 지역 발전이라는 혜택마저도 입지 못하는 강 건너 다른 행정 구역의 주민들 사이에서는 불만이 더 큽니다.
중국 정부는 내심 반원전 운동이 지금처럼 지역 간의 갈등이나 간헐적인 님비현상 수준에서 머물기를 바라고 있을 겁니다. 하지만 지앙먼시의 작은 승리가 다른 지역에도 영향을 주고 있다는 이야기가 나옵니다. 1980년대 대만에서처럼 원전에 대한 대중의 불안을 원동력으로 삼아 반정부 시위가 일어날 가능성도 있습니다. 중국 정부가 과연 이런 리스크를 어떻게 관리할지 주목됩니다. (Economist)
트럼프 대통령이 오늘(20일) 취임했습니다. 4년을 쉬고 두 번째 임기를 시작하는 트럼프 대통령이 국제 질서에 몰고…
뉴스페퍼민트는 SBS의 콘텐츠 플랫폼 스브스프리미엄(스프)에 뉴욕타임스 칼럼을 한 편씩 선정해 번역하고, 글에 관한 해설을 쓰고…
뉴스페퍼민트는 SBS의 콘텐츠 플랫폼 스브스프리미엄(스프)에 뉴욕타임스 칼럼을 한 편씩 선정해 번역하고, 글에 관한 해설을 쓰고…
미국 캘리포니아 남부 LA 일대에서 난 산불로 큰 피해가 났습니다. 사망자도 20명을 넘었고, 강풍에 불길이…
뉴스페퍼민트는 SBS의 콘텐츠 플랫폼 스브스프리미엄(스프)에 뉴욕타임스 칼럼을 한 편씩 선정해 번역하고, 글에 관한 해설을 쓰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