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진국의 대기업은 더이상 각광받는 모델이 아닐지도 모르지만, 아시아의 대기업은 무서운 속도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한국의 경우 상위 50개 회사중 대기업 계열사가 80%의 수익을 차지합니다. 인도에서는 이 비율이 90%이고, 중국에서는 40%인데 10년 전 20%에서 크게 성장한 수치입니다. 인도와 중국의 대기업은 연평균 23% 속도로 성장했고, 한국에서는 11% 성장했는데 이들의 규모를 고려하면 굉장한 기록입니다.
자세히 들여다보면 이 기업들은 평균 18개월마다 신규 사업에 진입하며 사업을 다각화해 왔으며 놀랍게도 49%의 사업이 모회사 사업과는 전혀 관계 없는 분야였습니다. 한국 화학회사가 보험 사업에 진입한다던지 중국 광산업자가 미디어 사업에 진입하는 식입니다. 가치사슬상 관련 기업과 수직 계열화한 것이 29%, 인접사업 진입이 22%로 나머지를 차지했습니다. 대기업이 전혀 새로운 분야에 진입할 경우 성공 확률은 22%로 낮았지만 위험을 무릅쓰고 진입한 산업에서 성공할 경우 수익이 매우 높아 성장 동인이 되었습니다. (High Risk, High Return)
모든 아시아의 성공적인 기업들이 대기업 모델을 쫓아가는 건 아닙니다. 말레이시아와 같이 전통적으로 이사회의 영향력이 큰 지역이나 공기업의 경우 이런 대담한 사업 진입 결정을 내리기는 어렵습니다. 게다가 최근 아시아의 대기업 지배구조가 ‘가족소유 지배구조’에서 영미식 ‘주주 자본주의’로 변화하는 추세로, 이 추세가 지속되면 성장 모델도 달라져야할 것입니다. 그러나 아시아 대기업의 공격적인 사업 다각화는 앞으로 한동안 계속될 것이며 인프라가 중요한 사업이나 그린에너지 등 신흥사업에서 특히 두각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McKinsey Quarterly)
원문보기
* 역자주: 원문은 ‘아시아 시장에 진입하는 서구기업들을 위한 조언’ 의 어조로 작성되었습니다.
뉴스페퍼민트는 SBS의 콘텐츠 플랫폼 스브스프리미엄(스프)에 뉴욕타임스 칼럼을 한 편씩 선정해 번역하고, 글에 관한 해설을 쓰고…
* 비상 계엄령 선포와 내란에 이은 탄핵 정국으로 인해 한동안 쉬었던 스브스프리미엄에 쓴 해설 시차발행을…
우리나라 뉴스가 반헌법적인 계엄령을 선포해 내란죄 피의자가 된 윤석열 대통령을 탄핵하는 뉴스로 도배되는 사이 미국에서…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탄핵 소추안 투표가 오늘 진행됩니다. 첫 번째 투표는 국민의힘 의원들이 집단으로 투표에…
윤석열 대통령의 계엄령 선포와 해제 이후 미국 언론도 한국에서 일어나는 정치적 사태에 큰 관심을 보이고…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출범하면 미국과 중국의 관계가 어떻게 될지에 전 세계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습니다. 안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