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부분의 사람들은 다양한 개인적인 이유로 결국 새해결심을 끝까지 지키지 못하고 맙니다. 지난 2009년의 한 연구는 이 중 한 가지 이유를 밝혔고, 어떻게 이를 극복할 수 있는지 역시 알려주었습니다.
그것은 “새해 결심을 누구에게도 이야기하지 말라”는 겁니다.
그 연구는 우리가 우리의 목표를 친구와 가족들에게 알리는 행위 자체가 목표를 실제로 달성한 것과 유사한 만족감과 함께 “때이른 자기도취(premature sense of completeness)”를 준다는 것을 보였습니다. 그리고 자기만족이 어느정도 이루어진 상태에서는 결심을 지키기 위한 노력이 약해지게 됩니다.
“꼭 이야기를 해야한다면, 목표 자체를 이야기하기 보다는 어떻게 그 목표를 이룰 것인지를 이야기하는 것이 좋습니다.”
(Scientific American)
뉴스페퍼민트는 SBS의 콘텐츠 플랫폼 스브스프리미엄(스프)에 뉴욕타임스 칼럼을 한 편씩 선정해 번역하고, 글에 관한 해설을 쓰고…
우크라이나와 가자지구에서 몇 년째 계속된 전쟁으로 수많은 사람이 목숨을 잃었습니다. 화를 면한 이들도 삶의 터전을…
뉴스페퍼민트는 SBS의 콘텐츠 플랫폼 스브스프리미엄(스프)에 뉴욕타임스 칼럼을 한 편씩 선정해 번역하고, 글에 관한 해설을 쓰고…
뉴욕타임스 칼럼니스트 마샤 게센은 트럼프가 법치(rule of law) 대신 권위주의적 통치에 필요한 법(law of rule)을…
뉴스페퍼민트는 SBS의 콘텐츠 플랫폼 스브스프리미엄(스프)에 뉴욕타임스 칼럼을 한 편씩 선정해 번역하고, 글에 관한 해설을 쓰고…
뉴스페퍼민트는 SBS의 콘텐츠 플랫폼 스브스프리미엄(스프)에 뉴욕타임스 칼럼을 한 편씩 선정해 번역하고, 글에 관한 해설을 쓰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