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전을 하는 별들은 원심력 때문에 완벽한 구형을 이루지 못하고 위아래로 납작한, 즉 적도 부위가 팽창한 형태를 띄게 됩니다. 목성의 경우, 10시간이라는 짧은 자전 주기 탓에 위아래보다 옆으로 7%나 더 눌려 있고 지구도 0.3%가 눌려있습니다. 하와이 대학의 제프리 쿤은 나사의 태양 운동 관측장치와 대기권 밖 위성들의 태양사진을 통해 처음으로 태양의 정확한 적도팽창비율을 계산해 냈습니다. 그 값은 놀랍게도 태양의 지름인 140만 킬로미터의 0.0007%에 불과한 10km 였습니다. “태양을 비치볼 크기로 줄인다면 이 차이는 머리카락 하나의 두께보다 적습니다” 이는 질량기준을 위해 제작된 인공 실리콘 구체를 제외하고 가장 완벽한 구의 형태입니다. “태양도 자전을 합니다. 그러나 표면에서 발생하는 난류가 이런 효과를 만드는 것 같습니다” (Guardian)
뉴스페퍼민트가 SBS의 콘텐츠 플랫폼 스브스프리미엄(스프)에 뉴욕타임스 칼럼을 한 편씩 선정해 번역하고, 함께 쓴 해설을 스프와…
지난 2022년 11월 스브스프리미엄의 시작과 함께 뉴욕타임스 칼럼을 골라 번역하고 해설을 달아온 스프x뉴욕타임스 코너의 마지막…
뉴스페퍼민트는 SBS의 콘텐츠 플랫폼 스브스프리미엄(스프)에 뉴욕타임스 칼럼을 한 편씩 선정해 번역하고, 글에 관한 해설을 쓰고…
일론 머스크는 지난 대선 기간에 트럼프 대통령의 당선에 '올인'하더니, 트럼프 대통령 취임 후에는 정부효율부(DOGE) 수장이…
뉴스페퍼민트는 SBS의 콘텐츠 플랫폼 스브스프리미엄(스프)에 뉴욕타임스 칼럼을 한 편씩 선정해 번역하고, 글에 관한 해설을 쓰고…
뉴스페퍼민트는 SBS의 콘텐츠 플랫폼 스브스프리미엄(스프)에 뉴욕타임스 칼럼을 한 편씩 선정해 번역하고, 글에 관한 해설을 쓰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