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ies: 세계

서구 언론이 본 일본의 국가 정체성 문제

내년 여름 하계올림픽이 열리면 세계의 눈은 일본을 향하게 될 것입니다. 그리고 일본은 이 사실을 매우 예민하게 인식하고 있죠. 매스컴은 벌써부터 올림픽 이야기에 열을 올리고 있고, 일회용 플라스틱 용기를 줄이자는 제안에서부터 일본식 이름의 영어 표기법을 바꾸어야 한다는 주장까지 나오고 있습니다. 이런 분위기는 일종의 불안감을 드러내는 것이기도 합니다.  일본은 더 이상 1964년 올림픽을 개최했을 때처럼 최첨단 기술국가가 아니기 때문입니다.

세상 모든 국가가 정체성의 문제를 두고 고민하지만, 일본만큼 이 문제를 크게 생각하는 곳은 드뭅니다. 일본은 “니혼진론”, 일본이라는 국가를 정의하는 것은 무엇이며 일본인이라는 것의 의미는 무엇인가에 대한 이론이 하나의 장르를 이루고 있는 나라죠. 일본인은 물론 외국인들까지도 이 질문에 대한 나름의 답을 다투어 내놓고 있습니다.

역사적으로 일본의 정체성은 일본인의 특수성과 우월성을 강조하는 사상에 의해 얼룩져 있습니다. 전통주의자들은 한때 일본인을 선택받은 민족으로 보았고, 아직도 그렇게 생각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이들의 주장에 따르면, 천황은 (2차대전 이후 신의 지위를 박탈당했지만) 태양의 여신의 직계 후손입니다. 이같은 사상은 일본이 아시아 일부의 식민지화를 뒷받침했고, 2차대전 참전의 동력이 되었습니다.

그러나 바로 그 전쟁에서 패하여 미국의 점령과 군대의 해산을 겪으면서 이 정체성이 가진 힘은 파괴되었고, 나라의 정체성도 함께 무너져 내렷습니다. 그리고 일본은 새로운 내러티브를 추구하게 되었죠. 1945년 이후 일본은 평화주의적인 경제 강국 건설에 온 국민의 전력을 쏟아부었습니다.

그러나 1990년대 초반, 버블 경제의 붕괴와 이어진 경기 침체로 인해 새로운 내러티브 역시 타격을 입게 됩니다. 일본은 포스트 2차대전 내러티브의 새로운 버전에서 위안을 찾기 시작합니다. 2011년 후쿠시마 사태에 대한 대응으로 대표되는, “역경을 딛고 다시 일어서는 일본”이라는 정체성이죠. 와세다대학의 데이비드 르헤니 교수에 따르면 오늘날 일본인은 위기를 딛고일어서는 능력을 스스로의 정체성으로 삼고 있습니다.

이러한 정체성이 내포하고있는 모순은 일본의 불안감을 더욱 복잡하게 만드는 요소입니다. 두드러지는 동시에 잘 어우러지기를 원하기 때문입니다. 선진국으로서 세계적인 존경을 받고자 하지만, 두려워하는 국가가 되고 싶지는 않은 것이죠. 일본은 다른 선진국들로부터 존경을 받지만, 동시에 선진국 클럽의 불편한 멤버이기도 합니다. 독일과는 달리 과거 전쟁사를 완전히 청산하지 못했죠.

단일민족사회가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것도 일본의 자기 이해에 위협이 됩니다. 평생직장에 만족하는 샐러리맨의 신화도 무너져내리고 있죠. 사회를 이루고 있는 벽돌과도 같은 가족의 모습 역시 점차 다양해지고 있습니다. 일본에서 살고 일하는 외국인의 숫자도 전례없이 많아졌죠. 피츠버그대학의 사회학자 아키코 하시모토는 이런 변화들로 인해 일본인의 단일성이나 단합과 같은 개념이 애초에 얼마나 과장되어 있었는지가 노출되기 시작했다고 주장합니다.

어떤 이들에게 이는 공포로 다가옵니다. 아베 신조 총리의 측근 일부를 비롯한 골수 수정주의자들은 과거로 돌아가는 데서 답을 찾습니다. 영광스럽고 때로는 픽션에 가까운 과거에서 영감을 얻어 “다시 일본을 위대하게” 만들자는 것이죠. 1957년 미국에 의해 쓰여진 헌법을 다시 쓰자는 주장도 제기됩니다. 일본 군대의 정상화가 주장의 핵심입니다. 신격화된 천황이나 신도교를 일본 정체성의 핵심으로 삼자는 주장도 있습니다. 그러한 개념 자체가 1868년 메이지 유신 때 만들어진 것임에도 불구하고 말이죠.

사실 메이지 유신 이래 일본은 변화에 매우 민첩하게 반응하며 적응해왔습니다. 서구의 제국주의에 맞서 싸우기 위해 서구의 경제, 군사, 정부 시스템을 그대로 받아들였죠. 2차대전 이후 일본이 패전국에서 제 3위 경제대국으로, 전쟁을 시작한 국가에서 평화를 사랑하는 국가로 탈바꿈한 과정은 놀라울 정도입니다.

하지만 오늘날 일본 정체성의 이 같은 이중성은 일본의 매력을 더하는 요소이기도 합니다. 일본을 찾는 관광객은 계속해서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일본이 안고있는 문제 정도라면 감지덕지할 처지인 나라도 많습니다. 인구학적 변화나, 경제가 예전같지 않은 것도 일본이 전에 마주했던 도전에 비하면 별 것 아닐 수도 있습니다.  일본은 현재 있는 그대로 여전히 인상적인 국가입니다. (이코노미스트)

원문보기

eyesopen1

Recent Posts

[뉴페@스프] “응원하는 야구팀보다 강한” 지지정당 대물림… 근데 ‘대전환’ 올 수 있다고?

뉴스페퍼민트는 SBS의 콘텐츠 플랫폼 스브스프리미엄(스프)에 뉴욕타임스 칼럼을 한 편씩 선정해 번역하고, 글에 관한 해설을 쓰고…

1 일 ago

[뉴페@스프] ‘이건 내 목소리?’ 나도 모를 정도로 감쪽같이 속였는데… 역설적으로 따라온 부작용

* 비상 계엄령 선포와 내란에 이은 탄핵 정국으로 인해 한동안 쉬었던 스브스프리미엄에 쓴 해설 시차발행을…

3 일 ago

살해범 옹호가 “정의 구현”? ‘피 묻은 돈’을 진정 해결하려면…

우리나라 뉴스가 반헌법적인 계엄령을 선포해 내란죄 피의자가 된 윤석열 대통령을 탄핵하는 뉴스로 도배되는 사이 미국에서…

4 일 ago

미국도 네 번뿐이었는데 우리는? 잦은 탄핵이 좋은 건 아니지만…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탄핵 소추안 투표가 오늘 진행됩니다. 첫 번째 투표는 국민의힘 의원들이 집단으로 투표에…

1 주 ago

“부정 선거” 우기던 트럼프가 계엄령이라는 카드는 내쳤던 이유

윤석열 대통령의 계엄령 선포와 해제 이후 미국 언론도 한국에서 일어나는 정치적 사태에 큰 관심을 보이고…

2 주 ago

트럼프, 대놓고 겨냥하는데… “오히려 기회, 중국은 계획대로 움직이는 중”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출범하면 미국과 중국의 관계가 어떻게 될지에 전 세계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습니다. 안보…

3 주 a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