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ies: 건강세계

“콜레라와의 전쟁” 200년, 완전 정복을 향해 가는 인류 (1)

지금으로부터 200년 전인 1817년, 벵골호랑이가 우글거리던 갠지스강 하류의 맹그로브 습지에서 호랑이보다 인류에 수천 배는 더욱 무시무시한 것으로 판명된 콜레라가 처음 발발했습니다.

당시 영국 동인도회사는 정글의 목재 등을 채취하고 수확한 쌀을 실어나르기 위해 갠지스강 삼각주 순다르반스(Sundarbans) 지역으로 인부 수천 명을 보냈습니다. 매년 홍수로 범람한 강이 바다와 만나 담수와 염수가 섞인 이곳의 물에는 콜레라균(Vibrio cholerae)이 가득했습니다. 콜레라균은 사람의 장기에 들러붙어 급성 설사와 치명적인 탈수 증세를 일으킵니다.

콜레라 환자는 탈수로 이내 얼굴에 핏기가 사라지고 두 눈이 움푹 들어갈 정도로 야위며, 혈액은 검게 엉겨 붙어 모세혈관부터 피가 굳습니다. 전해질이 부족해진 몸에서 심장 박동이 느려지기도 합니다. 신부전이나 쇼크로 사망할 수도 있는데, 심한 경우 처음 복통을 느낀 지 여섯 시간 만에 사망에 이르기도 합니다.

콜레라균이 언제부터 이곳에 똬리를 틀고 있었는지는 아무도 모릅니다. 수억 년 전부터 있었을지도 모릅니다. 어쨌든 전 세계적으로 퍼져나가 일곱 차례 대규모 유행병을 일으켰으며 사람 수천만 명의 목숨을 앗아간 콜레라균이 갠지스강 유역을 빠져나간 건 1817년의 일입니다.

19세기 예술가들이 묘사한 콜레라는 수북이 쌓인 시신 앞에 큰 낫을 들고 서 있는 무시무시한 해골의 모습이었습니다. 토마스 만의 소설 “베네치아에서의 죽음”에서 주인공이 숨지는 이유도 콜레라였습니다. 1832년 콜레라가 창궐한 프랑스 파리에 머물던 시인 하인리히 하이네는 가면무도회에서 떠들썩하게 술을 마시던 사람들을 덮친 콜레라를 생생히 묘사하기도 했습니다. 런던, 뉴욕 등 많은 대도시에서는 콜레라의 창궐을 막고자 상하수도를 대대적으로 정비했습니다.

최근에도 에티오피아나 아이티 등에서 콜레라가 발발했다는 소식이 언론에 대문짝만하게 실렸습니다. 여전히 전 세계 70여 개 나라에서 콜레라는 상존하는 위협입니다. 약 10억 명이 콜레라에 걸릴 위험에 노출된 채 살아가고 있습니다.

하지만 오랫동안 인류를 위협해 온 무시무시한 전염병을 마침내 완전히 정복하고 퇴치할 날도 머지않았습니다. 여기에 가장 큰 공을 세운 이들은 다름 아닌 콜레라균이 전 세계로 퍼져 나간 바로 그곳의 사람들입니다.

콜레라는 더 이상 죽음의 병이 아닙니다. 완치율은 99.9%에 이릅니다. 세계보건기구(WHO)의 집계에 따르면, 지난 40년간 약 5천만 명이 콜레라에 걸렸지만, 치료를 받아 목숨을 건졌습니다.

방글라데시를 비롯한 세계 곳곳의 연구진은 지난 35년간 계속된 연구 끝에 효과적인 콜레라 백신을 개발했습니다. 세계보건기구의 백신 기준을 충족한 콜레라 백신은 2010년 콜레라가 창궐한 아이티 같은 곳을 비롯해 전 세계에 보급됐습니다. 콜레라의 위험에 노출된 나라에서 전염병이 돌지 않아도 미리 백신을 접종하고 면역 체계를 구축하는 날이 머지않았습니다.

지난해 세계보건기구의 마가렛 찬 사무총장은 그저 백신 수백만 정을 각국에 비축해두는 것만으로도 콜레라를 예방하고 대응하는 데 엄청난 진전을 이룩한 셈이라고 말했습니다. 백신이 갖춰져 있으면, 콜레라 환자가 발생했을 때 그 나라 정부가 관광산업 타격 등을 두려워해 이를 덮는 대신 적극적으로 대응하게 된다는 겁니다.

콜레라 발생 시 대응 속도가 빨라졌고, 백신의 효험이 입증되면서 더 많은 제약업체가 백신 개발에 나서면서 개발 비용이 줄어드는 선순환이 일어났습니다. 찬 사무총장은 지난 2년간 그 전 15년을 합친 것보다 많은 양의 백신이 전 세계 각국에 보급됐다고 밝혔습니다.

국제 설사병 연구소(International Center for Diarrheal Disease Research, ICDDR,B). 방글라데시 수도 다카에 있는 이 연구소는 콜레라에 맞서 싸우는 인류의 전진기지이자, 콜레라와의 전쟁을 설명하는 데 빼놓을 수 없는 이름이기도 합니다. 역학의 역사에서 다카는 공중보건의 혁명이 일어난 지역과는 거리가 멉니다. 하지만 인체의 소화기관과 관련된 질병(gut disease)을 연구하는 이들에게 다카의 국제 설사병 연구소는 대단히 유명한 곳입니다.

연구소의 고층이 실험실이나 회의실이 있는 연구 공간이라면, 연구소 1층은 세계에서 가장 큰 설사병 병원입니다. 이곳 병동을 거쳐 가는 환자 수만 1년에 22만 명입니다. 환자 대부분은 36시간 안에 치료를 받고 회복해 퇴원합니다. 매일 수백 명이 목숨을 건집니다.

국제 설사병 연구소는 1960년 콜레라 연구소라는 이름으로 설립됐습니다. 이른바 연성 외교(soft diplomacy)를 추진하던 미국 정부가 돈을 댔습니다. 우방국 국민의 목숨도 살리고, 미국을 비롯한 전 세계를 위협할지 모르는 유행병의 발발을 사전에 감지하는 목적이었습니다.

우기에는 주차장을 덮고도 남은 거대한 텐트를 치고 임시 병동을 열어 콜레라 환자를 받습니다. 비닐 시트를 씌운 금속 혹은 목제 침대는 가운데 구멍이 나 있습니다. 구멍 난 곳 아래는 설사병 환자의 분변을 받아놓는 통이 있습니다. 환자의 머리맡에 놓여 있는 다른 통은 환자의 토사물을 받아놓기 위한 통입니다. 여기에 환자에게 수분과 전해질을 공급할 링거대가 전부입니다.

병동 전체에 분변이나 토사물로 인한 악취가 가득하리라는 예상과 달리 막상 가보면 소독약 냄새 말고는 별 냄새가 나지 않습니다. 병실 바닥은 항상 깨끗하게 닦여 있습니다.

하루종일 급성 설사로 고통을 호소하는 환자가 끊임없이 들이닥칩니다. 정확히 말하면 고통을 호소할 기운도 없이 대개 탈수 증세로 축 처져 간신히 기다시피 병원에 오거나 아예 의식을 잃고 친구나 가족에 업혀 오는 경우가 더 많습니다. 간호사가 환자 한 명에게 즉각 달라붙어 증세가 어느 정도인지 파악합니다. 응급처치가 필요한 환자에게 정맥 주사를 놓고 수액을 주입하는 조치는 30초 안에 이뤄집니다.

보통 환자에게는 포도당과 전해질을 섞은 수액을 놓습니다. 콜레라균은 순환기계 전반에 탈수 증세를 일으키지만, 세포를 직접 파괴하거나 손상하지는 않습니다. 빠져나간 수분과 전해질이 알맞게 보충되고, 균도 함께 씻겨나가거나 항생제로 균을 죽이고 나면 보통 환자들은 기력을 되찾습니다.

몇 시간 안에 환자들에게 생기가 돌고, 스스로 무언가를 삼킬 수 있을 만큼 기력을 회복하고 나면 항생제를 처방받고 다시 수분을 보충합니다. 환자들은 대부분 하루 안에 퇴원합니다. 국제 설사병 연구소는 지난 10년간 콜레라가 발병한 전 세계 17개 지역에 의료진을 보내 콜레라 환자를 치료하는 노하우를 전수하기도 했습니다.

너무 많은 영양분이 빠져나가 한 차례 더 설사병이 도지면 숨질 수도 있는 신생아의 경우 보통 병원에 머무는 기간이 길어집니다. 신생아 환자는 엄마와 함께 최대 한 달 가까이 특별 병동에 머물기도 합니다. 병원에서는 엄마들에게 콩, 호박, 양파, 파 등 채소와 식용유 등 비싸지 않은 식재료로 영양가 있는 죽을 끓이는 방법을 가르치기도 합니다.

국제 설사병 연구소에 오는 환자 가운데 콜레라 환자는 20% 정도입니다. 나머지는 대개 로터 바이러스나 살모넬라, 대장균 등에 감염된 환자입니다. 설사병을 일으킨 균은 달라도 기본적으로 치료법은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다만 콜레라 환자는 급성일 경우 치사율이 높으므로 더 신속한 처방이 필요합니다.

“전 진짜 제가 죽는 줄 알았어요.”

인쇄공장에서 일하는 26살 모하메드 무바라크 씨는 수척한 몸을 힘겹게 가누며 병원 침대에 앉아 말했습니다. 같이 사는 친구가 그날 아침 7시쯤 무바라크 씨를 둘러업고 병원으로 뛰어왔습니다. 의식을 잃은 무바라크 씨는 맥박도 뛰지 않고 있었습니다. 6리터나 되는 수분을 보충하고 나서야 간신히 몸을 가눌 만큼 기력을 찾은 무바라크 씨는 빵이나 바나나를 힘들게 삼켰습니다.

“환자의 분변이 쌀뜨물처럼 희뿌연 물밖에 없다가 조금씩 녹색을 띤다는 건 상태가 호전되고 있다는 뜻이에요.”

무바라크 씨의 배변 통을 점검하던 간호사 몸타즈 베굼 씨가 말했습니다. 환자들이 몸에서 빠져나가는 만큼 수분을 계속 채워 넣고 있는지를 철저히 점검하는 것도 간호사의 중요한 임무입니다.

무바라크 씨가 처음 몸에 이상을 느낀 건 그 날 새벽 2시쯤이었습니다. 저녁을 먹으며 수돗물을 그대로 마신 지 몇 시간 뒤였습니다.

“보통은 저는 물을 여과해서 안전하게 마시거든요. 그런데 어젯밤엔 그냥 수돗물을 마셨어요. 그게 화근이었던 것 같아요.”

갠지스강 하류 늪지대에서 발생한 콜레라가 다카를 처음 덮친 건 벌써 오래전 일입니다. 다카의 인구 1천5백만 명 가운데 1/3 정도가 사는 빈민가에는 상하수도 시설이 제대로 갖춰져 있지 않습니다. 고무로 된 낡은 수도관 곳곳은 파열되거나 불법으로 이어붙인 또 다른 관과 얽히고설켜 배수로에서 오물이나 각종 균이 흘러듭니다. 무바라크 씨도 아마 그런 경로를 통해 감염됐을 확률이 높습니다. (뉴욕타임스)

2부로

원문보기

ingppoo

뉴스페퍼민트에서 주로 세계, 스포츠 관련 글을 쓰고 있습니다.

Recent Posts

[뉴페@스프] “나 땐 좋았어” 반복하는 트럼프, ‘경제’에 발목 잡히는 해리스

뉴스페퍼민트는 SBS의 콘텐츠 플랫폼 스브스프리미엄(스프)에 뉴욕타임스 칼럼을 한 편씩 선정해 번역하고, 글에 관한 해설을 쓰고…

21 분 ago

[뉴페@스프] “응원하는 야구팀보다 강한” 지지정당 대물림… 근데 ‘대전환’ 올 수 있다고?

뉴스페퍼민트는 SBS의 콘텐츠 플랫폼 스브스프리미엄(스프)에 뉴욕타임스 칼럼을 한 편씩 선정해 번역하고, 글에 관한 해설을 쓰고…

2 일 ago

[뉴페@스프] ‘이건 내 목소리?’ 나도 모를 정도로 감쪽같이 속였는데… 역설적으로 따라온 부작용

* 비상 계엄령 선포와 내란에 이은 탄핵 정국으로 인해 한동안 쉬었던 스브스프리미엄에 쓴 해설 시차발행을…

4 일 ago

살해범 옹호가 “정의 구현”? ‘피 묻은 돈’을 진정 해결하려면…

우리나라 뉴스가 반헌법적인 계엄령을 선포해 내란죄 피의자가 된 윤석열 대통령을 탄핵하는 뉴스로 도배되는 사이 미국에서…

5 일 ago

미국도 네 번뿐이었는데 우리는? 잦은 탄핵이 좋은 건 아니지만…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탄핵 소추안 투표가 오늘 진행됩니다. 첫 번째 투표는 국민의힘 의원들이 집단으로 투표에…

1 주 ago

“부정 선거” 우기던 트럼프가 계엄령이라는 카드는 내쳤던 이유

윤석열 대통령의 계엄령 선포와 해제 이후 미국 언론도 한국에서 일어나는 정치적 사태에 큰 관심을 보이고…

2 주 a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