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ies: 세계

디지털 시대의 사생활 보호법

디지털 시대의 사생활을 둘러싼 3건의 사건에서 미국 연방대법원은 영장없이 휴대전화기에 저장된 사생활 정보를 수집하는 행위를 수정헌법 제 4조에 반하는 불법 행위라고 규정했습니다. 미국 수정헌법 제 4조는 개인에 대한 공권력의 영장없는 수색과 압류 행위를 원칙적으로 금지함으로써 공권력의 남용을 방지하고 사생활을 보호하는 법입니다. 이로써, 그동안 물리적 대상에만 한정되어왔던 사생활 보호법의 적용 범위가 디지털 정보로까지 확장되게 되었습니다.

2012년 미국 대법원은 US v. Jones 사건에서 차량에 GPS추적장치를 설치하고 무단으로 이 차량의 위치를 추적했던 경찰의 행위가 수정헌법 제4조에 의해 불법으로 규정되는 ‘수색’에 해당된다고 판결했습니다. 그리고 올해, Riley v. California와 US v. Wurie 사건에서 대법원은 범죄자를 체포하는 과정에서 수집한 휴대전화기에서 디지털 정보를 열람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수색영장을 발급받아야 한다는 사실을 분명히 했습니다.

릴리(Riley) 사건의 수석재판관 존 로버트 주니어(Chief Justice John G. Roberts Jr.)는 오늘날 많은 미국인들에게 휴대전화기는 곧 사생활을 의미하며, 미국혁명(the American Revolution) 또한 불법수색에 대한 저항 정신에 기반하고 있다며 본 판결은 이러한 사회문화적 발전궤도의 연장선상에 있는 것이라 판결의 의미를 설명했습니다. 그러나, 로버트 재판관은 디지털 사생활 역시 보호되어야 한다는 사회적 요구가 정당함을 인정하면서도 선례가 없던 사건에서 새로운 이정표를 세우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 과제임을 시인하기도 했습니다. 선례구속력을 지니는 미국 법률 체계에서 오늘의 판결은 적어도 20~30년동안 영향력을 행사할 것이지만, 기술의 혁신은 이러한 선례를 곧 ‘구태’로 만들지도 모르기 때문입니다.

세 사건에서 대법원이 내린 판결들은 명시적으로 사생활 보호법의 적용 범위를 디지털 정보로까지 확장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 판결들의 진정한 의미는 기술적 변혁으로부터 시작된 우리들의 새로운 디지털 생활양식이 전통사회와 법체계에서 승인되어온 규범과 가치를 시험대에 올렸다는 것입니다. (HBR)

원문보기

jasonhbae

Recent Posts

트럼프-머스크의 거침없는 공세, 그들에 맞서 본분을 지키려는 이들

지난 2022년 11월 스브스프리미엄의 시작과 함께 뉴욕타임스 칼럼을 골라 번역하고 해설을 달아온 스프x뉴욕타임스 코너의 마지막…

2 일 ago

[뉴페@스프] “미국 떠받쳐온 힘인데 무색해질 판… 그런데도 나만 좀 봐달라?”

뉴스페퍼민트는 SBS의 콘텐츠 플랫폼 스브스프리미엄(스프)에 뉴욕타임스 칼럼을 한 편씩 선정해 번역하고, 글에 관한 해설을 쓰고…

3 일 ago

머스크가 자초한 테슬라의 위기…반전 드라마? 도태의 시작?

일론 머스크는 지난 대선 기간에 트럼프 대통령의 당선에 '올인'하더니, 트럼프 대통령 취임 후에는 정부효율부(DOGE) 수장이…

1 주 ago

[뉴페@스프] 트럼프 또 폭탄 발언… “종잡을 수 없는 트럼프, 움직이게 하는 방법”

뉴스페퍼민트는 SBS의 콘텐츠 플랫폼 스브스프리미엄(스프)에 뉴욕타임스 칼럼을 한 편씩 선정해 번역하고, 글에 관한 해설을 쓰고…

1 주 ago

[뉴페@스프] ‘전원 사망’ 참사 브리핑에 나온 그들… “트럼프 말씀이 맞습니다”

뉴스페퍼민트는 SBS의 콘텐츠 플랫폼 스브스프리미엄(스프)에 뉴욕타임스 칼럼을 한 편씩 선정해 번역하고, 글에 관한 해설을 쓰고…

1 주 ago

“불의를 멈춰달라” 감동의 목소리…이·팔 합작 다큐의 여운

제97회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장편 다큐멘터리를 수상한 작품 "노 아더 랜드"에 대한 각계의 반응을 둘러싸고 계속 많은…

2 주 a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