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부분의 사람들은 세계화가 어떤 모습인지에 대해 전형적인 이미지를 가지고 있습니다. 아마도 방글라데시의 비좁은 의류 공장에서 만든 옷이 미국의 쇼핑몰에서 팔리는 모습이나 중국에서 만든 값싼 가전 기기가 미국의 항구로 들어오는 모습일 것입니다. 이런 이미지는 틀린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이런 이미지들이 세계화의 모습을 온전히 담아내기에는 부족합니다. 최근 맥킨지 글로벌 인스티튜트(McKinsey Global Institute)가 발표한 보고서는 세계 무역의 성장은 값싼 물건들이 개발도상국에서 선진국으로 흘러가는 패턴이 아니라 지식 기반 상품과 서비스가 견인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맥킨지 글로벌 인스티튜트는 세계가 얼마나 연결되어 있는지를 알기 위해 국가간에 교환되는 물건이나 서비스 뿐만 아니라 돈과 정보의 흐름까지도 측정했습니다. 연구의 공동 저자인 수잔 룬드(Susan Lund)는 말합니다. “우리는 베트남이나 방글라데시에서 만들어진 값싼 상품들이 월마트로 흘러들어가는 것에 초점을 맞췄어요. 하지만 실제로 국제 무역에서 더 큰 부분을 차지하고 성장하고 있는 분야는 지식 중심의 상품과 서비스였죠.”
물론 이러한 통찰이 새로운 것은 아닙니다. 국제 경제와 세계화를 공부하는 사람들은 이러한 변화를 오래 전부터 말해 왔습니다. 이번 맥킨지 연구는 이러한 흐름을 양적으로 보여줬다는 데 의미가 있습니다. 비행기나 제약, 혹은 고급 전자제품과 같이 지식 중심 상품의 교환은 2002년과 2012년 사이에 8%나 증가했습니다. 반면, 석유나 농업 상품과 같이 자본 집약적이지만 기술은 상대적으로 덜 요하는 상품이나 의류와 장난감과 같이 노동 집약적인 상품들의 성장은 같인 기간 6%에 머물렀습니다. 서비스 분야에서도 상품 분야와 비슷한 패턴이 나타났습니다. 공학(engineering)이나 프로그래밍, 지적 재산권에 대한 사용료와 같이 지식 집약적 서비스는 2002년과 2012년 사이에 7% 성장했습니다. 여행이나 수송과 같이 지식 집약의 정도가 낮은 서비스의 경우는 그 성장폭이 더 낮았습니다.
맥킨지 보고서는 금융의 흐름도 함께 살폈습니다. 금융 위기 이후 국가간 자본의 흐름은 급격히 줄어들었는데 그 이유 중 하나는 금융 위기 발생 이후 전 세계 은행들이 국제 대출(international lending)을 크게 줄였기 때문입니다. 해외 직접투자 역시 2007년 정점에 도달한 뒤 하락했지만 위기 이전인 2006년 수준과 비슷했습니다. (NYT)
뉴스페퍼민트는 SBS의 콘텐츠 플랫폼 스브스프리미엄(스프)에 뉴욕타임스 칼럼을 한 편씩 선정해 번역하고, 글에 관한 해설을 쓰고…
* 비상 계엄령 선포와 내란에 이은 탄핵 정국으로 인해 한동안 쉬었던 스브스프리미엄에 쓴 해설 시차발행을…
우리나라 뉴스가 반헌법적인 계엄령을 선포해 내란죄 피의자가 된 윤석열 대통령을 탄핵하는 뉴스로 도배되는 사이 미국에서…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탄핵 소추안 투표가 오늘 진행됩니다. 첫 번째 투표는 국민의힘 의원들이 집단으로 투표에…
윤석열 대통령의 계엄령 선포와 해제 이후 미국 언론도 한국에서 일어나는 정치적 사태에 큰 관심을 보이고…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출범하면 미국과 중국의 관계가 어떻게 될지에 전 세계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습니다. 안보…
View Comments
percentile 백분위는 숫자가 높을수록 하위에 그만큼 많은 퍼센트를 두고 있다는 뜻이니까 클수록 상위권이라고 알고 있는데 사진의 표는 아무래도 반대로 써있는 것 같네요..외국에선 다르게 쓰이는지..
Germany Son님 지적 감사합니다. 다시 원문을 찾아봤는데 아무래도 NYT가 그래프를 re-produce하면서 percentile 부분에서 실수가 있었던 것 같네요. percentile은 말씀하신대로 랭킹이 높을수록 높은 숫자를 가지는데 이 그래프에서 percentile을 어떤 의미로 쓴 건지 알기가 어렵네요. 본문을 찾아봐도 percentile에 대한 설명이 제대로 나와있지 않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