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ies: Economy / Business

친환경 바람에 휘청이는 선박업계

환경을 보호해야 한다는 노력이 중요해지면서 국제해사기구(IMO, International Mariteime Organization)는 최근 들어 깨끗한 연료 사용을 장려하고, 오염된 밸러스트(배의 무게중심을 잡아주기 위해 선박 밑부분에 싣는 물)의 배출을 금지하는 등 각종 규제를 신설하고 있습니다. 가뜩이나 공급이 수요를 웃돌아 업계 사정이 녹록치 않은데 계속해서 늘어나는 규제에 선박업체들은 울상입니다.

가장 큰 변화는 연료입니다. 지금까지 선박에 쓰이는 연료는 값이 싼 대신 연소되면서 유황과 각종 오염물질을 배출하는 정제되지 않은 기름이었습니다. 2005년부터 IMO는 특히 북미와 유럽의 “배기가스 규제 해안”을 지날 때 배출하는 황의 양을 엄격히 규제하기 시작했습니다. 하루아침에 기존에 쓰던 연료보다 50%나 비싼 기름을 사 써야 하게 된 업체들은 모든 배들이 디젤을 쓰면 비행기나 자동차 연료가 모자라 기름값이 크게 오를 수도 있다며 우려하고 있습니다. 밸러스트로 인한 항구 주변 바다의 오염 문제가 대두되자 IMO는 수질 기준을 큰 폭으로 올렸습니다. 배 한 척당 평균 170만 달러(19억 원)의 비용이 드는 작업인데, 당장 그 많은 돈을 들이는 게 업체들에게는 쉬운 일이 아닙니다. 이산화탄소를 비롯한 온실가스 배출도 규제 대상입니다. 그리스 선박협회장인 플라치다키스의 불평은 일리가 있습니다.

“세계에서 무역이 이뤄지는 물건의 90%는 선박이 나르는데, 선박이 배출하는 이산화탄소는 전체의 2.7%밖에 안 됩니다. 그런데도 우리가 환경 파괴의 주범인 양 취급 받는 건 맞지 않아요.”

선박업이 워낙 규모가 크고 사업자들은 대기업부터 가족형 중소기업들까지 다양하다 보니 조직적으로 한 목소리를 내지 못해 로비 능력이 떨어지는 것도 문제입니다. 대표적인 로비 단체라고 할 수 있는 국제선박협회(ICS, International Chamber of Shipping)의 직원이 20명밖에 안 된다는 건 규제가 생긴 뒤에야 뒤늦게 대책을 마련하기 바쁜 선박업계의 현실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예이기도 합니다. (Economist)

원문보기

ingppoo

뉴스페퍼민트에서 주로 세계, 스포츠 관련 글을 쓰고 있습니다.

Recent Posts

[뉴페@스프] “마시멜로 테스트에 막힌 78세 대통령”…되풀이되는 돌발행동

뉴스페퍼민트가 SBS의 콘텐츠 플랫폼 스브스프리미엄(스프)에 뉴욕타임스 칼럼을 한 편씩 선정해 번역하고 함께 쓴 해설을 스프와…

12 시간 ago

[뉴페@스프] 영어 쓰지 않으면 비정상? 트럼프의 행정명령 사용법

뉴스페퍼민트가 SBS의 콘텐츠 플랫폼 스브스프리미엄(스프)에 뉴욕타임스 칼럼을 한 편씩 선정해 번역하고 함께 쓴 해설을 스프와…

6 일 ago

[뉴페@스프] “미국 vs 중국, 어느 편에 설 것인가”…중국이 진짜 노리는 것

뉴스페퍼민트가 SBS의 콘텐츠 플랫폼 스브스프리미엄(스프)에 뉴욕타임스 칼럼을 한 편씩 선정해 번역하고, 함께 쓴 해설을 스프와…

1 주 ago

[뉴페@스프] 바이러스에는 국경이 없는데…끝나지 않은 팬데믹의 경고

뉴스페퍼민트가 SBS의 콘텐츠 플랫폼 스브스프리미엄(스프)에 뉴욕타임스 칼럼을 한 편씩 선정해 번역하고, 함께 쓴 해설을 스프와…

2 주 ago

[뉴페@스프] 격노한 트럼프 ‘금요일 밤의 학살’… “자비 없는 복수”의 전말

뉴스페퍼민트가 SBS의 콘텐츠 플랫폼 스브스프리미엄(스프)에 뉴욕타임스 칼럼을 한 편씩 선정해 번역하고, 함께 쓴 해설을 스프와…

2 주 ago

[뉴페@스프] “이렇게 뒤집을 줄은…” 전쟁 단박에 끝내겠다던 트럼프의 선택지가 이것?

뉴스페퍼민트가 SBS의 콘텐츠 플랫폼 스브스프리미엄(스프)에 뉴욕타임스 칼럼을 한 편씩 선정해 번역하고, 함께 쓴 해설을 스프와…

3 주 a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