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통계청에 따르면 2011년 남성 간호사는 전체 간호사 수의 10%로 1970년의 3%나 2000년의 8% 대비 크게 증가했습니다. 이유는 명확합니다. 불황기 와중에서도 의료분야는 꾸준히 성장해왔기 때문입니다. 불황으로 건설업과 제조업 일자리가 360만개 사라질 동안 의료업은 140만개의 일자리를 추가했습니다. 실업률도 건설업의 16.1%, 제조업의 7.9% 대비 의료업은 5.4%에 불과합니다.
간호사 시장은 여전히 여성 인력이 대부분이나, 임금을 보면 남성 인력이 더좋은 대우를 받고 있다는 걸 쉽게 발견할 수 있습니다. 남성 간호사는 연평균 61,100달러, 여성 간호사는 연평균 51,100 달러로 16%나 더 낮은 연봉을 받습니다. 이는 남성은 대부분 풀타임으로 일하고 여성은 파트타임을 선호하는 데서 비롯된 바가 큰데, 풀타임만 비교하더라도 여성의 연봉이 9% 낮습니다.
통계청에 따르면 이는 남성인력이 더 많은 연봉을 받고 더 빠르게 승진하는 전형적인 “유리 에스컬레이터 (Glass Escalator: Glass Ceiling의 반대 개념)” 현상으로 보입니다. 간호사 시장에서 남성들은 돈을 많이 버는 직군에 모여있는데, 연 148,000달러를 버는 마취전문간호사의 경우 41%가 남성이고 연 35,000을 버는 간호조무사(LPN)의 경우 8%만이 남성입니다. 그러나 해당 분야만 보고, 풀타임만을 고려했을 때도, 여성인력은 여전히 남성대비 7% 적은 연봉을 받습니다. 그래도 사회전체에서 여성인력이 남성인력의 77%만을 버는 것을 고려하면 간호사 시장은 나은 편입니다. 남성은 여성 대비 취업도 쉽게 하는 것으로 판단된다고 월스트리트저널은 덧붙였습니다. (WSJ)
뉴스페퍼민트가 SBS의 콘텐츠 플랫폼 스브스프리미엄(스프)에 뉴욕타임스 칼럼을 한 편씩 선정해 번역하고, 함께 쓴 해설을 스프와…
지난 2022년 11월 스브스프리미엄의 시작과 함께 뉴욕타임스 칼럼을 골라 번역하고 해설을 달아온 스프x뉴욕타임스 코너의 마지막…
뉴스페퍼민트는 SBS의 콘텐츠 플랫폼 스브스프리미엄(스프)에 뉴욕타임스 칼럼을 한 편씩 선정해 번역하고, 글에 관한 해설을 쓰고…
일론 머스크는 지난 대선 기간에 트럼프 대통령의 당선에 '올인'하더니, 트럼프 대통령 취임 후에는 정부효율부(DOGE) 수장이…
뉴스페퍼민트는 SBS의 콘텐츠 플랫폼 스브스프리미엄(스프)에 뉴욕타임스 칼럼을 한 편씩 선정해 번역하고, 글에 관한 해설을 쓰고…
뉴스페퍼민트는 SBS의 콘텐츠 플랫폼 스브스프리미엄(스프)에 뉴욕타임스 칼럼을 한 편씩 선정해 번역하고, 글에 관한 해설을 쓰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