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팬데믹으로 가장 큰 타격을 입은 건 원래 사회적 안전망의 보호를 받지 못하던 취약 계층 노동자들이었습니다. 그 가운데서도 미국에선 플랫폼 노동으로 생계를 이어가는 배달 노동자들은 기존의 저임금, 열악한 노동 조건에 바이러스에 감염될 위험까지 떠안은 채 밀려드는 주문을 처리해야 했죠. 지난해 뉴욕시 의회는 미국에서 처음으로 배달 노동자 보호법안을 통과시켰습니다. 9월 29일에 네이버 프리미엄 콘텐츠에 쓴 글입니다.
지난해 4월 뉴욕시는 미국 내에서 코로나19 바이러스의 타격을 가장 크게 입은 도시였습니다. 전 세계로 범주를 넓혀도 아마 가장 피해가 컸던 지역이었을 겁니다. 매일 확진자가 수천 명씩 나왔고, 도시는 순식간에 얼어붙었습니다. 교외에 별장이 있거나 맨해튼 집을 비우고 한적한 지역에 있는 거처를 빌릴 여력이 있는 부자들은 도시를 떠났지만, 그럴 수 없던 많은 사람은 도시에 남아 외출을 최소화하며 숨죽여 지냈습니다. 식당에 가서 밥을 먹으려는 사람들이 없다 보니, 식당 대부분은 문을 닫거나 배달 또는 포장 주문만 받기 시작했습니다.
코로나19 팬데믹을 거치며 음식 배달 서비스는 급격히 성장했습니다. 벌써 1년 반 가까이 음식 배달 서비스는 뉴욕 시민들의 삼시세끼의 적잖은 부분을 책임지고 있습니다. 음식 배달 서비스 중 하나인 심리스(Seamless)의 뉴욕 광고 문구는 “Seamless: How New York Eats”입니다. 우리말로 옮기면 “뉴욕에서 밥은 배달해 먹는 게 ‘국룰'” 정도가 되겠죠. 원래 밀집된 도시의 아파트보다 이웃과 거리를 두고 떨어진 근교의 주택에 사는 사람이 더 많은 미국에서 뉴욕은 배달 서비스 수요가 높은 곳이었습니다. 미국 전체로 보면 미국인을 ‘배달의 민족’이라고 부를 수 없겠지만, 뉴요커들 만큼은 ‘배달의 시민’이라고 불러도 손색없을 정도입니다.
뉴욕 거리에서는 자동차와 자전거 사이를 주로 전동 자전거를 타고 바삐 달려가는 배달 노동자들이 이미 익숙한 풍경이 됐습니다. 심지어 지난달 말 허리케인 아이다의 잔재가 뉴욕과 뉴저지 일대에 폭우를 뿌렸을 때 발목 이상 물이 찼는데도 손님의 음식을 싣고 도로를 달리는 배달 노동자들의 모습이 이슈가 되기도 했죠. 현재 뉴욕시에서 일하는 배달 노동자는 8만 명이 넘는 것으로 추산됩니다. 대다수 노동자는 열악한 노동 조건과 저임금, 위험천만한 노동 환경을 감내하며 생계를 위해 일하고 있습니다.
지난 23일, 뉴욕시 의회가 마침내 배달 노동자를 보호, 지원하는 법안을 통과시켰습니다. 빌 드블라지오 시장도 법안을 지지하고 있는 만큼 이번 법안은 곧 발효될 것으로 보입니다. 심리스나 그럽허브(Grubhub), 도어대시(DoorDash), 우버이츠(Uber Eats) 등 플랫폼에서 소비자들의 음식 주문이 들어오면 이를 배달하는 노동자들의 삶에 새로운 법안이 미칠 영향을 정리했습니다.
앱 기반 음식 배달 노동자 50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를 보면, 응답자의 42%가 배달비를 덜 받거나 아예 못 받은 적이 있다고 답했습니다. 배달 중에 크고 작은 교통사고를 당한 노동자도 절반 가까이 됐고, 의료비를 지원받지 못해 아프면 자기 돈으로 치료받는다고 답한 노동자도 75%나 됐습니다. 배달 중에 강도를 당한 노동자는 54%, 강도에게 폭행을 당한 노동자는 30%나 됐습니다.
배달 노동자들을 보호하고 이들의 처우를 개선하는 데 관한 이번 법률에 대해서는 배달 앱들도 기본적으로 환영하며, 최대한 협력하겠다고 말했습니다. 다만 노동자들이 배달 지역을 직접 설정하게 되면 가뜩이나 배달 서비스를 이용하기 어려운 우범 지역, 소외 지역 주민들은 서비스에서 더 배제될 수도 있다는 우려도 있습니다. 또한, 노동자들이 화장실을 쓰는 문제도 노동자의 기본권에 해당하는 문제인 만큼 원칙적으로 동의하지만, 시 정부나 배달 앱이 레스토랑에 화장실을 개방하라고 명령할 수 있는지는 법적인 검토가 필요하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미국의 연방 최저임금은 물가 인상률을 전혀 반영하지 못한 채 정체돼 있습니다. 주별로, 도시별로 노동 소득만으로 생활할 수 있는 생활 임금(living wage)을 최저임금으로 정한 곳도 있지만, 그렇지 않은 곳도 여전히 많습니다. 터무니없이 낮은 최저임금마저 보장되지 않는 직군이 몇 개 있는데, 대표적인 게 식당에서 일하는 서버들입니다. 이들은 수입의 대부분을 팁에 의존합니다. 팁 문화가 없는 나라에서 온 손님이 팁을 내지 않으면 서버들이 때로 화를 내는 이유도 그 때문입니다. 그냥 기분이 나빠서가 아니라 자신의 생계가 위태로워지는 거죠.
배달 노동자들도 별다른 규제가 없는 상황에서 그동안 얼마 되지 않는 벌이에서 일정 부분을 수수료로 앱에 떼이고, 나머지는 음식을 주문한 손님이 주는 팁에 의존해 왔습니다. 식당에서는 보통 음식값의 15~20%를 팁으로 내는데, 저는 배달 음식을 시킬 때 배달 노동자를 식당의 서버라고 생각해서 그 정도 금액을 팁으로 냅니다. 그러나 팁이 법으로 정해진 것도 아니고, 다분히 관습에 기댄 문화인데, 배달 음식을 시켜 먹는 건 오랜 관습이 아니다 보니 고객들이 주는 팁도 천차만별이고, 그만큼 배달 노동자들의 수입도 들쭉날쭉했던 겁니다.
뉴욕시 의회가 제정한 법이 모든 문제를 해결하기엔 아직 갈 길이 멉니다. 그래도 뉴욕에서만 8만 명 넘는 배달 노동자의 열악한 노동 환경을 부각한 것만으로도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법은 또 배달 노동자들이 받아야 할 적정 임금을 계산하는 데 필요한 데이터를 모으기 위해 뉴욕시가 별도의 연구를 시작해야 한다고 명시했습니다.
미국보다는 나은 최저임금 제도가 있다고 하지만, 한국에서는 사람의 노동이 훨씬 더 싼값에 소비됩니다. 자정 전에 물건을 주문해도 다음 날 새벽이면 택배가 집앞에 와 있고, 아무리 지저분했던 거리도 아침이면 깨끗이 청소돼 있죠. 음식 배달도 마찬가지입니다. 음식값에 배달료도 포함돼 있다고 생각하는 게 보통이다 보니, 소비자는 당연히 배달료가 없거나 싼 집에서 주문하려 하고, 업주들도, 배달 서비스 앱도 배달료를 내리려는 가격 경쟁을 할 수밖에 없습니다. 그러다 보니 배달 노동자들의 노동은 제대로 된 대가를 받지 못하는 노동에 속합니다. 한국에서도 이런 플랫폼 노동자들의 처우에 관한 논의가 시작되면 좋겠습니다.
뉴스페퍼민트는 SBS의 콘텐츠 플랫폼 스브스프리미엄(스프)에 뉴욕타임스 칼럼을 한 편씩 선정해 번역하고, 글에 관한 해설을 쓰고…
뉴스페퍼민트는 SBS의 콘텐츠 플랫폼 스브스프리미엄(스프)에 뉴욕타임스 칼럼을 한 편씩 선정해 번역하고, 글에 관한 해설을 쓰고…
미국 캘리포니아 남부 LA 일대에서 난 산불로 큰 피해가 났습니다. 사망자도 20명을 넘었고, 강풍에 불길이…
뉴스페퍼민트는 SBS의 콘텐츠 플랫폼 스브스프리미엄(스프)에 뉴욕타임스 칼럼을 한 편씩 선정해 번역하고, 글에 관한 해설을 쓰고…
다른 사람의 처지와 경험을 잘 이해하지 못하고, 다른 이가 느끼는 감정에 공감하지 못하는 사람이 너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