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미국 문화 전쟁의 핵심 키워드 가운데 하나였던 비판적 인종 이론은 이 글의 마지막에 쓴 것처럼 올해 말 중간선거와 2024년 대선 정국에서 인종 문제가 미국 정치에서 어떤 식으로 쟁점화되는지를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키워드가 될 것입니다.
1970년대, 학계의 비주류였던 일부 흑인 법학자들의 논의에서 유래된 학술용어 “비판적 인종 이론(CRT, critical race theory)”이 미국 사회의 뜨거운 키워드로 부상했습니다. 한국 언론도 올 들어 CRT를 정면 비판한 플로리다 주지사의 트윗, ‘인종적 정체성을 강조하는 교육’에 대한 한 중학교 교사의 위헌 소송 제기 등을 조명하며 미국 사회의 논쟁을 소개했습니다.
비판적 인종 이론은 한 사회에서 인종과 인종차별이 어떻게 작용하는지 파악하기 위한 하나의 분석 틀로, 인종차별이 단순히 개개인의 편견과 신념을 넘어서는 구조적, 제도적인 문제라는 주장입니다.
1950, 60년대 민권운동을 통해 민권법이 제정되었지만, 여전히 인종차별이 해소되지 않고 유색인종에게 불리한 기울어진 운동장이 견고하게 유지된 이유는 미국 사회의 법과 제도, 정책에 인종차별이 단단하게 얽혀있기 때문이라는 것이죠. 비판적 인종 이론은 데릭 벨, 킴벌리 크렌쇼, 패트리샤 윌리엄스와 같은 대표 주자들이 제시한 몇 가지 큰 틀을 기반으로 법학 분야를 넘어 다양한 학문에 영향을 미치게 되었지만, 여전히 유동적이고 내부적으로도 논쟁이 활발한 이론이라고 이코노미스트는 설명합니다.
대부분 시민이 정확한 뜻도 알지 못하는 개념을 놓고 싸움을 부추기는 것이 내년 중간선거를 앞둔 공화당의 정치 전략이라는 지적도 나옵니다. 애틀랜틱은 5월 7일 기사를 통해 그 흐름을 자세히 소개했습니다. 1990년대 초반, 빌 클린턴 대통령이 래니 귀니어라는 진보 성향의 로스쿨 교수를 법무부 차관으로 지명했을 때도 공화당은 후보자가 “CRT라는 급진적인 사상을 가진 인물”이라며, “인종이나 성별 할당제의 여왕” 같은 꼬리표를 달아 공격했고, 결국 지명이 철회된 바 있습니다. 오바마 대통령이 재선을 앞두고 있던 2012년, CRT의 아버지로 불리는 데릭 벨 교수가 사망하자 인터넷에서는 오바마와 벨 교수가 만나 포옹하는 영상이 퍼지기 시작했고, 폭스뉴스는 이를 대통령이 급진주의자를 가까이하는 증거라고 보도하기도 했습니다.
이후 10년 가까이 CRT를 거의 언급하지 않았던 폭스뉴스가 다시 이 단어를 언급하기 시작한 것은 공교롭게도 조지 플로이드 사망 사건 이후 흑인에 대한 경찰 폭력과 인종차별에 항의하는 시위가 전국적으로 일어나기 시작한 때와 맞물립니다. 2020년 6월 5일 이후 폭스뉴스는 무려 150회의 방송에서 CRT라는 단어를 언급했죠.
NPR이 인터뷰한 국립교육아카데미의 글로리아 랫슨-빌링스 회장도 선거에서 CRT 논란을 정책으로 승부하지 못하는 세력이 문화전쟁을 부추기려는 시도로 본다며, 반(反) CRT 입법 시도가 일어나는 지역이 유권자들의 투표 참여를 방해하는 법과 제도가 존재하는 지역과 일치한다는 점을 지적하기도 했습니다.
역사의 어두운 부분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는 어느 사회에서나 큰 쟁점이고, 세상을 바라보는 관점에 따라 의견이 크게 갈리는 부분입니다. 교육, 특히 역사 교육의 방향이 정치 이슈화되고, 나아가 국가적인 논쟁의 대상이 되는 것도 우리에겐 낯설지 않습니다. 박근혜 정부 때의 국정교과서 논란이나, 이른바 “자학사관”을 비판한 일본의 역사수정주의 역시 비슷한 맥락에서 바라볼 수 있습니다. 전교조가 특정 이념을 학생들에게 주입한다는 유구한 비판, 최근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까지 진출한 “페미니즘 세뇌 교육 집단” 수사 요청 등과도 겹쳐 보이는 지점이 있습니다.
반(反) CRT 입법을 미국 사회 분열을 우려하는 보수주의자들의 진심 어린 충정으로만, 또 반대로 지지층을 결집하기 위한 정치적 책략으로만 단정 짓기는 어려울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분명한 것은 그러한 움직임이 유력한 선거 전략이 될 만큼 차별의 역사와 구조적 차별을 언급하는 것만으로도 거부감을 느끼는 미국인이 많다는 사실일 것입니다. 2022년 중간선거와 2024년 대선 정국에서 CRT는 인종 문제가 미국 정치에서 어떤 식으로 쟁점화되는지를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키워드가 될 것입니다.
뉴스페퍼민트는 SBS의 콘텐츠 플랫폼 스브스프리미엄(스프)에 뉴욕타임스 칼럼을 한 편씩 선정해 번역하고, 글에 관한 해설을 쓰고…
* 비상 계엄령 선포와 내란에 이은 탄핵 정국으로 인해 한동안 쉬었던 스브스프리미엄에 쓴 해설 시차발행을…
우리나라 뉴스가 반헌법적인 계엄령을 선포해 내란죄 피의자가 된 윤석열 대통령을 탄핵하는 뉴스로 도배되는 사이 미국에서…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탄핵 소추안 투표가 오늘 진행됩니다. 첫 번째 투표는 국민의힘 의원들이 집단으로 투표에…
윤석열 대통령의 계엄령 선포와 해제 이후 미국 언론도 한국에서 일어나는 정치적 사태에 큰 관심을 보이고…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출범하면 미국과 중국의 관계가 어떻게 될지에 전 세계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습니다. 안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