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성평등을 중요한 가치로 여기며 배우자와 대등한 파트너 관계를 꿈꾸던 진보적인 요즘 젊은이들도 막상 자녀가 태어나면 전통적인 성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고 <뉴욕타임스>가 보도했습니다. 이에 대해 UC 샌타바버라의 사회학자 새라 테보는 “젊은 남녀 대다수가 직장 일과 양육을 배우자와 평등하게 나누어 맡는 것이 이상적이라고 생각하지만, 이런 대등한 관계를 현실적으로 가능케 하는 제도나 다양한 탄력 근무 선택지를 갖춘 직장이 없다는 점이 문제”라고 지적합니다. 육아휴가 등 제도는 주로 여성이 이용하고, 남성은 여전히 이런 제도를 이용했다가 직장 내에서 좋지 않은 평가를 받을지 모른다고 우려합니다. 또한, 바깥일과 가사를 동등하게 분담하려는 생각을 가졌던 밀레니얼 세대도 자녀가 생긴 뒤에는 양육을 공평하게 나누어 맡는 것이 쉽지 않다는 현실을 깨닫고 전통적인 성 역할로 회귀하는 경향을 보이기도 합니다.
뉴스페퍼민트는 SBS의 콘텐츠 플랫폼 스브스프리미엄(스프)에 뉴욕타임스 칼럼을 한 편씩 선정해 번역하고, 글에 관한 해설을 쓰고…
우크라이나와 가자지구에서 몇 년째 계속된 전쟁으로 수많은 사람이 목숨을 잃었습니다. 화를 면한 이들도 삶의 터전을…
뉴스페퍼민트는 SBS의 콘텐츠 플랫폼 스브스프리미엄(스프)에 뉴욕타임스 칼럼을 한 편씩 선정해 번역하고, 글에 관한 해설을 쓰고…
뉴욕타임스 칼럼니스트 마샤 게센은 트럼프가 법치(rule of law) 대신 권위주의적 통치에 필요한 법(law of rule)을…
뉴스페퍼민트는 SBS의 콘텐츠 플랫폼 스브스프리미엄(스프)에 뉴욕타임스 칼럼을 한 편씩 선정해 번역하고, 글에 관한 해설을 쓰고…
뉴스페퍼민트는 SBS의 콘텐츠 플랫폼 스브스프리미엄(스프)에 뉴욕타임스 칼럼을 한 편씩 선정해 번역하고, 글에 관한 해설을 쓰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