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ies: 건강

동성 커플이 불임 치료비를 지원받아야 할까요?

뉴욕에 거주하는 질과 새라 솔러밀렉(Jill and Sarah Soller-Mihlek) 부부는 정자를 기증받아 아기를 갖고 싶었습니다. 질과 새라 부부는 불임 치료를 지원해주는 의료 보험에 가입해있지만, 이들은 동성 부부이기 때문에 남자와 성관계를 가진 것이 아니라는 이유로 치료비 지원을 받을 수 없었습니다.

이 부부가 가입한 의료보험 약관은 불임을 “피임하지 않고 12개월간 이성과 성관계를 했음에도 불구하고 임신이 되지 않았을 경우”로 규정합니다. 하지만 정자 기증을 통해 임신을 시도하는 여성은 불임 기준에 들기 위해 값비싼 인공 수정을 12개월간 시도해야 합니다. 질과 새라 부부는 9번의 인공수정을 시도하였으나 임신에 성공하지 못했고, 이 과정에서 13,507달러를 냈습니다.

질과 새라 부부는 그들의 의료보험 약관이 동성 부부에 대한 차별을 내포하고 있다고 주장합니다. 동성 부부들은 이성과의 성관계를 통해 임신할 수 없고, 임신을 위해서는 의학적 기술이 필요하지만, 의료보험 회사 정책은 여성 동성애자들이 남자들과 성관계를 통해서 임신할 수 있음에도 임신을 하지 않기로 ‘선택’했다고 왜곡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12번째 인공 수정까지 실패로 돌아간 이후, 질은 의료보험회사에 앞으로의 불임 치료에 대한 비용을 지원해 달라고 요청했습니다. 하지만 이번에는 의료보험회사가 다른 이유로 그들을 치료비 지원 대상에서 제외했습니다. 질이 이미 12번의 인공 수정을 통해 임신을 시도했기 때문에 이제는 인공 수정 대신 체외 수정을 통해 임신을 시도해야 한다는 것이었습니다. 그리고 이 보험 회사는 어떤 상황에서도 체외 수정에 대한 지원은 제공하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었습니다.

“남편과 12번 성관계 후 임신하지 못하면 의료보험 혜택을 받을 수 있지만, 자비로 인공수정을 12번이나 시도한 후에는 오히려 의료보험 지원 대상에서 거절되는 것이 현실입니다.” 질은 말했습니다.

불임 치료로 총 22,000달러를 지출한 후에야, 그녀는 아이가 생기지 않는 이유를 좀 더 자세히 살펴보고자 의학 자문을 구했습니다. 그녀는 자궁내막증(자궁 내막에 있어야 할 조직이 자궁 바깥에 자라는 질병) 진단을 받았습니다. 그제야 그녀는 의료 보험 혜택을 받을 수 있었습니다.

마침내 의료보험회사의 치료비 지원을 받게 된 질은 13번째 인공수정을 시도했습니다. 결국, 그녀는 임신에 성공했고, 현재 임신 18주째입니다.

“우리 부부는 제 배가 커지는 것을 보면서 기쁨에 차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가 임신하기 위해 겪어야 했던 수많은 어려움을 다른 가족이 겪지 않아도 될 때까지 우리는 지금 상황에 만족하지 않을 것입니다.” (뉴욕타임스)

원문보기

rukahs

Recent Posts

[뉴페@스프] “응원하는 야구팀보다 강한” 지지정당 대물림… 근데 ‘대전환’ 올 수 있다고?

뉴스페퍼민트는 SBS의 콘텐츠 플랫폼 스브스프리미엄(스프)에 뉴욕타임스 칼럼을 한 편씩 선정해 번역하고, 글에 관한 해설을 쓰고…

2 일 ago

[뉴페@스프] ‘이건 내 목소리?’ 나도 모를 정도로 감쪽같이 속였는데… 역설적으로 따라온 부작용

* 비상 계엄령 선포와 내란에 이은 탄핵 정국으로 인해 한동안 쉬었던 스브스프리미엄에 쓴 해설 시차발행을…

4 일 ago

살해범 옹호가 “정의 구현”? ‘피 묻은 돈’을 진정 해결하려면…

우리나라 뉴스가 반헌법적인 계엄령을 선포해 내란죄 피의자가 된 윤석열 대통령을 탄핵하는 뉴스로 도배되는 사이 미국에서…

5 일 ago

미국도 네 번뿐이었는데 우리는? 잦은 탄핵이 좋은 건 아니지만…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탄핵 소추안 투표가 오늘 진행됩니다. 첫 번째 투표는 국민의힘 의원들이 집단으로 투표에…

1 주 ago

“부정 선거” 우기던 트럼프가 계엄령이라는 카드는 내쳤던 이유

윤석열 대통령의 계엄령 선포와 해제 이후 미국 언론도 한국에서 일어나는 정치적 사태에 큰 관심을 보이고…

2 주 ago

트럼프, 대놓고 겨냥하는데… “오히려 기회, 중국은 계획대로 움직이는 중”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출범하면 미국과 중국의 관계가 어떻게 될지에 전 세계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습니다. 안보…

3 주 a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