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버드" 주제의 글
  • 2019년 7월 1일. 하버드 졸업 30주년 동문회에 다녀와서

    선생님이나 의사가 된 동기들은 대체로 행복해보였습니다. 그 밖에 1988년 대학교를 졸업한 동기들을 만나고 온 저자의 솔직한 회고를 소개합니다.
    더 보기

  • 2019년 3월 25일. [칼럼] 미국 대학 입시의 현실, 성과주의는 환상에 불과합니다

    이번 미국 대학 입시 스캔들은 흥미로운 소식이지만 놀랍지는 않습니다. 부유층 학부모 30명 이상이 입시 비리로 기소된 이번 사건에서는 자녀를 명문대학에 입학시키기 위해 이들이 동원한 다양한 부정 행위가 화제에 올랐습니다. 입학처 관계자에게 뇌물을 주는 것은 물론, 표준화된 시험에서 특혜를 받기 위해 허위 학습장애 진단을 받는가 하면, 한 아버지는 아들을 스타 운동선수로 포장하기 위해 사진을 합성하기까지 했습니다. 부자들이 자녀를 좋은 학교에 보내기 위해 물불 가리지 않는다는 것은 공공연한 비밀입니다. 하지만 이번 스캔들은 더 보기

  • 2016년 8월 19일. 하버드에 가려면 아이티(Haiti)부터 가라?

    뉴욕타임스 칼럼니스트 프랭크 브루니(Frank Bruni)는 그저 대입 원서 자기소개서에 한줄 넣을 요량으로 떼우고 마는 활동으로 전락해버린 중고등학생들의 봉사활동이 불러오는 문제를 꼬집었습니다.
    더 보기

  • 2014년 12월 1일. 열심히 공부한 학생들이라면 좋은 대학에 입학하는 게 생각만큼 어렵지는 않아요

    하버드와 스탠퍼드 대학의 올해 합격률이 5% 수준이었다는 것은 실제 현실을 대표하지 않습니다.
    더 보기

  • 2014년 11월 26일. 하버드 대학은 아시아계 학생을 차별하고 있습니까?

    100년 전 하버드대는 유대인 학생 입학을 제한하기 위해 복잡한 입시 제도를 만들었습니다. 이제는 아시아계 학생의 입학을 제한하기 위해 입학 심사 제도를 활용하고 있습니다.
    더 보기

  • 2014년 4월 28일. 왜 아이비리그 대학 입학이 더 어려워졌나?

    미국 고등학교 3학년이나 2학년 학생들, 혹은 학부모들은 예전보다 명문 대학에 입학하기가 어려워졌다고 말합니다. 실제로 명문 대학에 입학하는 것은 어려워졌습니다. 하지만 왜 그런지에 대해서 우리는 정확히 이해하고 있지 못합니다. 인구 증가가 한몫 하긴 했지만 30년 전에 비해 청소년의 비율이 크게 증가한 것은 아닙니다. 더 많은 미국인들이 대학에 진학하고 있긴 하지만 대학 진학률이 증가한 이유는 자원이 적고 대학 졸업율이 낮은 대학들에 입학하는 사람들의 비율이 증가한 것이기 때문에 명문 대학들과는 크게 상관이 없습니다. 더 보기

  • 2013년 9월 6일. 하버드 학부 올 해 신입생 14%가 소득 상위 1% 출신

    하버드 대학의 대학 신문인 하버드 크림슨(Harvard Crimson)은 지난 8월 올 해 학부 신입생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했습니다. 전체 신입생의 80%에 해당하는 1,311명이 설문에 참여했습니다. 이 설문 조사에서 신입생의 14%가 가족의 연간 소득이 50만 달러 이상이라고 말했습니다. 연 소득 50만 달러는 미국 전체 소득 분포에서 1%에 해당합니다. 신입생의 절반 이상이 가계 소득이 12만 5천 달러 이상이라고 말했습니다. 최근 미국 인구조사에 따르면 미국 전체의 중위 소득 (median income)은 5만 달러입니다. 올 해 하버드 더 보기

  • 2013년 6월 25일. 상위 1%를 위한 변호 (Defending the One Percent)

    *역자주:  이 글은 Journal of Economic Perpsectives에 곧 출판될 하버드대학 경제학과 그레고리 맨큐(N. Gregory Mankiw) 교수의 논문 “Defending the One Percent”를 요약 번역한 것입니다. 원문이 길어 생략한 부분들이 많으니 관심있는 독자들은 원문을 읽어보시길 바랍니다. 완벽한 경제적 평등을 이룩한 사회를 상상해보세요. 이 사회에서는 부의 재분배를 위해 공공정책을 어떻게 펼쳐야 하는지에 대한 토론은 쓸모없을 거에요. 그러던 어느날,  스티브잡스나 J.K.롤링, 스티븐 스필버그와 같은 혁신가가 등장해서 제품을 만들었고 모두가 이 제품을 원한다고 가정해봅시다. 원하는 더 보기

  • 2013년 5월 6일. 하버드 역사학자 니알 퍼거슨 막말 파문, “케인즈가 동성애자에 자식도 없어서 미래 세대 걱정 안했던 것”

    저명한 하버드 대학교의 역사학자 니알 퍼거슨(Niall Ferguson)이 캘리포니아에서 열린 포럼에서 한 발언이 큰 파문을 일으켰습니다. 가장 영향력 있는 20세기 경제학자 중 한 명인 케인즈(John Maynard Keynes)는 경기 침체 시에 정부가 부채가 증가하더라도 시장에 적극 개입해야 한다고 주장했고, 이는 정부의 적극적인 경기부양책을 주장하는 시각의 이론적 토대가 되어 왔습니다. 퍼거슨 교수는 케인즈가 남긴 “장기적인 요인을 너무 고려하면 현재 상황에 대해 올바른 해결책을 낼 수 없다. 결국 우리는 모두 죽지 않는가(The long run 더 보기

  • 2013년 5월 2일. 자살한 하버드 학생의 A.D.H.D 진단을 둘러싼 소송

    조니 에드워즈(Jonny Edwards)는 하버드 학부 1학년을 마친 2007년 6월 교내 보건소에서 A.D.H.D(주의력 결핍 및 과잉행동 장애) 진단을 받았습니다. 보건소를 한 번 방문한 뒤 나온 결과였고, 이후 치료제를 복용했습니다. 보건소는 항우울제도 함께 처방했는데, 6개월 뒤 조니는 스스로 목숨을 끊었습니다. 조니의 아버지인 존 에드워즈는 자신의 아들은 A.D.H.D를 전혀 가지고 있지 않았으며 하버드의 진단과 이에 따른 약 처방이 의약 기준에 부합하지 않았다며 하버드 대학교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하버드 측은 조니 에드워즈에 대한 진단과 더 보기

  • 2013년 4월 18일. 긴축 정책 기반이 된 로코프-라인하트 논문, 엑셀 실수?

    2008년 금융 위기 이후 유럽과 미국의 정책 결정자들은 국가 부채가 특정 수준에 도달하면 미래의 경제 성장을 방해할 수 있다는 신념을 공유했고 이는 긴축 재정(austerity)으로 이어졌습니다. 하지만 몇몇 경제학자들이 이러한 신념의 기반을 제공한 연구 결과에 의문을 제기하고 나섰습니다. 매사추세츠대학-앰허스트(Amherst)의 경제학자 세 명은 2010년 하버드의 라인하트(Carmen Reinhart)와 로고프(Kenneth Rogoff) 교수가 발표한 논문에 쓰인 데이터에서 아주 기본적인 실수가 발견되었다고 주장했습니다. 국가의 경제성장과 부채 비율사이의 관계를 조사한 라인하트와 로고프의 논문에 따르면 부채가 GDP의 90%이하인 경우는 경제성장과 더 보기

  • 2013년 4월 18일. 보스턴 폭탄공격에 대한 전문가들의 생각: 테러는 우리의 삶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가

    보스턴에 위치한 하버드대학의 전문가들은 지난 15일의 폭탄공격이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앞으로 우리에게 어떤 변화를 가져올지를 예측했습니다. 가브리엘라 블럼(법학대학원): 이스라엘에서 자랐고 여군으로도 복무한 바 있는 블럼에게 폭탄공격은 생소한 일이 아닙니다. “보스턴 시와 경찰들은 시민들이 정상적인 생활로 돌아가도록 현명하게 처신하고 있습니다. 끔찍한 일이 일어났지만, 보스턴은 미국의 역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 역사와 부를 모두 가지고 있는 강력한 도시이고 이를 잘 이겨낼 수 있을것입니다.” 제롤드 케이덴(건축대학원): “9/11을 생각해본다면, 적어도 한 동안은 공공장소에서는 보안이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