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분류의 글
  • 2015년 6월 15일. 메르스 바이러스 확산 경로: 첫 환자가 여러 병원을 방문해

    뉴욕타임즈는 지난 8일 한국의 메르스 사태를 보도하며, 한국의 독특한 병원 문화가 이번 사태의 원인 중 하나라고 밝혔습니다.
    더 보기

  • 2015년 6월 1일. 한국의 버려지는 아이들과 입양특례법

    한국의 해외 입양은 한국 전쟁 이후 지난 몇십 년간 전 세계에 유래 없는 큰 규모로 이루어졌습니다. 경제가 발전하고 해외 입양의 부작용이 불거지면서 그 규모를 줄이려는 한국 정부의 노력은 성공했습니다. 그러나 2012년 제정된 입양특례법은 아이의 알 권리를 보장하려는 원취지와 달리 비현실적인 출생신고 강제로 국내 입양 숫자 감소라는 부작용을 낳았습니다. 버려지는 아이들의 90% 가 미혼모의 아이인 상황에서, 기록을 공개하는 절차가 사회적 압박을 강화하는 결과를 낳은 셈이지요. 한국의 입양 역사를 이코노미스트 지가 소개합니다.
    더 보기

  • 2015년 5월 20일. 뉴욕타임즈의 “네일 살롱” 기사, 그 이후

    뉴욕타임즈가 네일살롱에서 일하는 노동자들의 현실을 한국어로 번역하여 소개한 이래 다양한 논란과 반응이 뒤따랐습니다. 본 기사는 뉴욕타임즈가 번역판을 준비하는 과정 및 보도 후 독자의 반응에 어떻게 대처하는지 간략하게 보여 주는 글입니다. 이는 미디어가 디지털 시대에서 살아남기 위해 다양한 시도를 거듭하는 한 사례일 것입니다.
    더 보기

  • 2015년 4월 28일. 스타 셰프 앤서니 보데인, 한국에 가다

    CNN에서 자신의 이름을 내건 TV쇼 "미지의 세계(Parts Unknown)"를 진행하는 스타 셰프 앤서니 보데인이 그의 다섯 번째 시즌의 시작지로 한국을 택했습니다. 예고편을 갈음하여 그가 CNN에 쓴 글을 소개합니다.
    더 보기

  • 2015년 4월 23일. 명품 브랜드 옷을 입고 면접을 보면 합격 확률이 높아진다?

    다른 조건은 모두 동일하게 두고 상의에 붙은 브랜드 로고만 바꾼 뒤 지원자에 대한 평가를 들어봤더니 명품 브랜드를 입은 사람에 대한 평가가 더 후했습니다. 하버드비즈니스리뷰에 실린 글을 소개합니다.
    더 보기

  • 2015년 4월 17일. [뉴욕타임즈] 세월호 1주기, 여전히 고통 받는 희생자 가족과 한국 사회

    뉴욕타임즈가 세월호 1주기를 맞아 실은 기사를 옮깁니다.
    더 보기

  • 2015년 4월 7일. 미국에서 한국어 수업이 점점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LA타임스에 실린 한국어 강좌 르포 기사입니다
    더 보기

  • 2015년 4월 6일. 프랑스 언론에 소개된 파리 몽쥬 약국의 한국인 관광객

    한국인 관광객이 빼놓지 않고 들리는 명소가 되면서 몽쥬 약국에는 직원 50명 중 한국어를 할 수 있는 직원이 아홉 명이나 됩니다.
    더 보기

  • 2015년 4월 6일. 간통법을 폐지한 한국, 더 큰 문제는?

    대한민국 헌법 재판소가 얼마 전 62년간 시행됐던 간통법을 폐지하였습니다.
    더 보기

  • 2015년 3월 2일. 통일의 경제적 이득

    한반도 분단 70년이 되는 올해, 박근혜 대통령은 통일은 대박(bonanza) 라는 표현을 썼습니다. 경제규모가 남한의 1/40 밖에 안되는 북한의 입장에서야 물론 그렇겠죠. 그러나 남한 입장에서 얻을 것은 무엇일까요? 통일 후 들어갈 비용은 보수적으로 잡아도 1천조원, 한해 GDP의 75% 으로 예상됩니다. 충분히 먹지 못하고 폭력에 시달려오던 2천5백만 북한 인구에 사회 보장 제도를 제공해야 하고 강제 노동 수용소에 끌려가 있는 수만 명 수감자도 먹여 살려야하죠. 그러나 남한에 젊은 인구와 두 배는 많은 아기가 더 보기

  • 2015년 2월 12일. 독일인 다니엘이 한국에서 인기를 끄는 이유

    독일 신문 '디 자이트'가 '비정상회담'에 출연하고 있는 다니엘 린데만을 인터뷰했습니다.
    더 보기

  • 2015년 2월 5일. 교육 격차를 줄이는 것이 경제를 살리는 길입니다

    만약 미국이 소득 하위층의 교육 성취를 끌여 올려 OECD 학력 평가에서 한국과 비슷한 수준이 된다면 미국의 총생산은 10%가 증가하고 소득 하위 25%의 평생 소득은 22%가 증가할 것이라고 연구는 밝히고 있습니다.
    더 보기